Browse > Article

A Study on Assessment of Face Image with Color Correction of Base Makeup - Focussed on the complementary color contrast -  

Barng, Kee-Jung (Dept. of Clothing, Sungshin Women's University)
Kim, Kyung-Hee (Dept. of Clothing, Sungshin Women's University)
Mun, Yung-Kyung (Dept. of Clothing, Sungshin Women's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 v.14, no.1, 2010 , pp. 43-5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the modern 21st century society, the personal image is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presenting one's personal image through personal color in fashion and beauty related fields are increasing, and is the most realistic and practical field of color. When the color of the wardrobe and the skin color are in disharmony, that disharmony becomes the source of the lines and wrinkles that appear on one's face, resulting in shades. The boundary that is created when the color of the wardrobe and the skin color are in disharmony, it works negatively on one's image. When color arrangements are close or similar (in harmony) or are in complementary color arrangements or in strong contrasting state (contrasting harmony), it is generally believed to be beautifully harmonious. Personal color assessment is finding colors, through systematic and scientific methods, that improve the personal image by reaching harmony with skin colors that each and every individual are uniquely born with. In this study, one was able to learn the improved visual effects of the face image through creating harmony with the wardrobe and color shade make up and complementary colors that were selected based on personal colors. The base make up, through using the contrasting effects of the complementary colors which represents the supplementing, correcting, and complementing of the face image by contrasting with complementary colors, brings positive changes through correcting the base skin color.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finds its importance in that the improved image that is created by the overall harmony of the wardrobe and body can be used as valuable data in marketing and new product development efforts in the related industries.
Keywords
Base Make-up; Personal Color; Color Correction; Complementary Color; Face Imag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희숙.이은임(1996), 메이크업과 패션, 수문사, p. 115.
2 정수진.강경자(2006), "메이크업의 컬러코디네이션에 따른 얼굴이미지의 시각적 평가", 한국생활과학회지, 15(4), pp. 612-613.
3 안영면(1999), 국제관광마케팅, 부산:동아대학교출판사, p. 143.
4 원명심.이명숙(1998), "한국여대생의 의복 및 화장품 색채 선호에 관한 연구". 한국색채학회지, 10(6), pp. 47-67.
5 김희선(2002), "색조제품의 유행색 데이터 관리를 위한 색채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4(2), pp. 107-110.
6 김영인 外(2004), "국내외 메이크업 브랜드 색조화장품의 색채 특성", 한국색채학회지, 18(2), p. 91-101.
7 정수진(2007), "메이크업과 의복의 컬러코디네이션에 따른 이미지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7-9.
8 이연희(2001), "색채화장이 얼굴 이미지 지각에 미치는 영향-유행 예측색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42.
9 요하네스 이텐 (Johannes Itten, 1888-1967) 독일 바우하우스의 예술가, 교수
10 서원숙(2007). "베이스 메이크업 디자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6-20.
11 류영미(2002), "효과적인 메이크업을 위한 색채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6(2), p. 88.
12 김병우(1993), 피부과학.향장품학, 유신문화사, p. 35.
13 김수정(2005), "퍼스널 컬러 진단에 따른 메이크업 색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3.
14 이경민(2001), 이경민 뷰티 메이크업 북, 김영사, pp. 49-55.
15 설현진(2004), "Body painting의 교육적 가치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31.
16 이연희(2001), "색채화장이 얼굴이미지 지각에 미치는 영향-유행 예측색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5.
17 사토 쿠니오.히라사와 데츠야(感性マ-ケティングの技法)(1999), 감성마케팅; 오감을 디자인한다. 이해선(역), 그린비, pp. 31-43.
18 태동숙(2004),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에 의한 피부색 보정과 문제성 피부의 효과분석",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0-25.
19 강경화(2000), 메이크업 총론=Introduction to Make Up, APC, p. 29.
20 Cox, C. L., Glick, W. H (1986), "Resume Evaluations and Cosmetics use : When more is not better". Sex Role, 14, pp. 51-58.   DOI
21 김수정(2005), "퍼스널 컬러 진단에 따른 메이크업 색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4.
22 Pooser, Doris (1997), Always In Style, New York: Crisp, p. 13.
23 신향선(2003), 패션 & 뷰티를 위한 Color image making, 국제, p.115.
24 G. P. Putnam's Sons (2005), Beauty Personal, The Beauty of Color : the ultimate beauty guide for skin of color, New York : Iman, p.11.
25 김미현 外(2003), 컬러진단과 이미지 메이킹, 예림, p. 73.
26 신향선(2002), "퍼스널 컬러시스템에 따른 유형의 분포도와 색채진단 변인에 관한 연구 - 메이크업, 헤어, 의상 색채 중심으로 -",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5.
27 최용훈(1987), 색채학 개론, 미진사, p. 6.
28 김경순(2003), "피부색과 어울리는 메이크업색상의 이론적 고찰", 한국미용학회, 5(1), p. 63.
29 권구정 外(2006), Make-up icon, 청구문화사, p. 77.
30 강경화(2000), 메이크업 총론=Introduction to Make Up, APC, p. 28.
31 정수진(2007), "메이크업과 의복의 컬러코디네이션에 따른 이미지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
32 김효정 外(2000), 미용색채학, 정문각, p. 41.
33 한국색채학회(편)(2002), 색이 만드는 미래, 국제, p. 23.
34 신향선(2002), "퍼스널 컬러시스템에 따른 유형의 분포도와 색채진단 변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7.
35 설현진(2004), "Body painting의 교육적 가치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34.
36 신수현(2003), "얼굴형과 메이크업 컬러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1.
37 김병우(1993), 피부과학.향장품학, 유신문화사, p. 34.
38 Hamid, P (1972), "Some Effects of Dress Cues on Observational Accuracy : A Perceptual Estimate, and Impression Formatio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86, pp. 279-289.   DOI
39 김미현 外(2003), 컬러진단과 이미지 메이킹, 예림, p. 145.
40 Itten, J (1996), The Art of Color, New York: Reinhold Pub. p. 25.
41 신향선(2003), 패션 & 뷰티를 위한 Color image making, 국제, p. 30.
42 송미영.박옥련.이영주(2005). "얼굴의 형태적 특성과 메이크업에 의한 얼굴이미지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4(1), pp. 1-11.
43 한보현(2003), "성인여성의 화장색에 관한 분석 - 메이크업 제품을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4.
44 윤소영(2001),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이 인상 형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
45 G. P. Putnam's Sons (2005), Beauty Personal, The Beauty of Color : the ultimate beauty guide for skin of color, New York : Iman, p. 25.
46 한국색채학회(편)(2003), 컬러리스트, 국제, p. 204.
47 신향선(2002), "퍼스널 컬러시스템에 따른 유형의 분포도와 색채진단 변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1.
48 류영미(2002), "효과적인 메이크업을 위한 색채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6(2), pp. 31-39.
49 권은숙(1995), 색으로 승부하는 21세기, 웅진출판. p. 32.
50 Cash, T. F. et al. (1989), "Effects of cosmetics use on the physical attractiveness and body image of American college wome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29(3), pp. 349-355.   DOI   ScienceOn
51 정수진.강경자(2006), "메이크업의 컬러코디네이션에 따른 얼굴이미지의 시각적 평가", 한국생활과학회지, 15(4), p. 621.
52 신향선(2003), 패션 & 뷰티를 위한 Color image making, 국제, p. 116.
53 김희숙.이은임(1996), 메이크업과 패션, 수문사, pp. 2-6.
54 신수길.황상민(1998). "감성이미지 기법과 평가방법이 적용된 색조화장품의 사용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색채학회지, 11(1), pp. 37-44.
55 김효정(2000), MAKE-UP, 학연사, p. 13.
56 신향선(2002), "퍼스널 컬러시스템에 따른 유형의 분포도와 색채진단 변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