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a security control

검색결과 947건 처리시간 0.03초

모바일 클라우드 환경에서 안전한 데이터 접근 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cure Data Access Control in Mobile Cloud Environment)

  • 김시정;여상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317-322
    • /
    • 2013
  • 최근 다양한 환경을 통한 인터넷 접속으로 모바일 클라우드 환경이 대중화되고 있다. 컴퓨터의 성능 향상과 서비스 개발을 통해 그 수요가 날로 증가됨에 따라 그 피해도 급증하고 있다. 때문에 모바일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대량의 데이터베이스 관리에서 요구되는 보안 사항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현재 다양한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로의 접근을 제한하는 보안 솔루션이 적용되고 있으나 모바일 클라우드와 같이 새로운 사용자 환경에 대한 보안 정책의 분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모바일 클라우드 환경에서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통한 안전한 데이터 접근에 관한 취약성을 분석해 보고 안전한 데이터 관리에 대한 보안 요구사항을 알아본다. 클라우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상에서 발생하는 보안 위협에 관한 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보다 안전한 접근제어에 대한 보안 요구사항을 도출한다. 향후 접근제어에 대한 보안 요구사항에 대한 시스템 적용과 평가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XML 암호화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패키지의 접근 제어 (Access Control of Digital Content Package by Using XML Encryption)

  • 조광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1-295
    • /
    • 2004
  • XML 문서가 웹 문서의 표준으로 자리 잡음에 따라 많은 정보들이 XML 문서 형식으로 표현되면서 XML 문서의 보안에 관한 요구도 커지고 있다. 현재까지의 XML 보안에 관한 연구는 암호화와 전자 서명 같은 통신상의 보안에 관한 연구가 중심이 되었으나 XML 문서가 방대해지고 복잡해짐에 따라 XML 문서에 대한 통신상의 보안 뿐 아니라 관리적인 보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하지만 XML 문서의 암호화는 단순한 통신상의 보안만을 제공할 뿐 관리적 보안 요소인 다양한 사용자와 다양한 접근 권한 정책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XML 문서의 보안을 위해 주체별 권한 정책을 반영한 접근 제어를 보장하는 주체 기반 XML 문서의 암호화 기법을 제안한다. 접근 제어를 보장하는 암호화를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의 다양한 권한 정책을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제안하는 암호화 기법은 전처리 과정을 이용하여 기존의 접근 제어 기법의 복잡한 접근 평가 비용을 줄일 수 있다.

  • PDF

XML의 주체 기반 암호화를 이용한 콘텐츠 패키지의 접근 제어 (Access Control of Content Package by Using XML Subject-based Encryption)

  • 조광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137-142
    • /
    • 2006
  • XML 문서가 웹 문서의 표준으로 자리 잡음에 따라 많은 정보들이 XML 문서 형식으로 표현되면서 XML 문서의 보안에 관한 요구도 커지고 있다. 현재까지의 XML 보안에 관한 연구는 암호화와 전자 서명 같은 통신상의 보안에 관한 연구가 중심이 되었으나 XML 문서가 방대해지고 복잡해짐에 따라 XML 문서에 대한 통신상의 보안뿐 아니라 관리적인 보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하지만 XML 문서의 암호화는 단순한 통신상의 보안만을 제공할 뿐 관리적 보안 요소인 다양한 사용자와 다양한 접근 권한 정책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XML 문서의 보안을 위해 주체별 권한 정책을 반영한 접근 제어를 보장하는 주체 기반 XML문서의 암호화 기법을 제안한다. 접근 제어를 보장하는 암호화를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의 다양한 권한 정책을 반영할 수 있다.

  • PDF

Security Issues & Application in Korea SCADA

  • Kim, Hak-Man;Kang, Dong-Joo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95-100
    • /
    • 2007
  •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security is increased in the power industry. The representative communication network of power industry is the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s. The SCADA system has been used for remote measurement and control in the power industry. Recently, many studies of SCADA network security have been carried out around the world. In this paper, we introduce recent security issues in the SCADA network and propose the application of a symmetric encryption method to the Korea SCADA network.

빌딩시설 제어시스템용 안전한 망간 자료전송 방안 (Secure Data Transmission Scheme between Network for Building Facilities Control System)

  • 조인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02-108
    • /
    • 2018
  • 비 보안영역의 외부인터넷과 보안영역의 내부업무망간에 적용된 기존의 망간 자료전송기술을 빌딩시설관리 SCADA시스템 제어망에 그대로 적용할 경우에 다양한 문제들이 도출된다. 기존의 망간 자료전송기술은 모든 데이터를 대상으로 블랙리스트 기반의 보안기법이 적용되기 때문에 고 복잡성 및 고 비용이 수반된다. 하지만, 빌딩시설관리 SCADA제어시스템에서 유통되는 데이터의 특성은 소수의 정형적인 제어 데이터가 반복성과 주기성을 갖기 때문에 이를 대상으로 화이트리스트 기반의 보안기법 적용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서 망간 자료전송에 적용된 보안기술이 단순화되어 저 비용으로 빌딩시설관리 SCADA시스템 제어망 구축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정리하고 이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빌딩시설관리 SCADA제어시스템에 특화된 빌딩 제어망 구축방안을 제안하였다.

전력 제어시스템의 시리얼 기반 DNP통신 취약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ulnerabilities of serial based DNP in power control fields)

  • 장지웅;김휘강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1143-1156
    • /
    • 2013
  •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원방감시제어시스템) 등 상당수의 전력 제어시스템은 RS232C 시리얼 통신 및 9.6kbps의 저속 아날로그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DNP3.0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력현장으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고 있다. 이는 아날로그 통신구간에서의 공격불가, 시리얼 방식의 내재적 보안성, Master/Slave 중 Master만이 통신을 시작하는 프로토콜 특성 등으로 인해 안전하다고 알려져 왔다. 본 논문에서는 상용 제어시스템 시뮬레이터를 통해 DNP 통신을 구현한 후, 탭핑(Tapping)을 통해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관점에서 보안실험을 진행하여 취약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기존에 안전하다고 여겨진 전력 현장으로부터의 데이터 취득에도 적절한 인증 및 암호화 방식을 도입하여야 함을 보일 수 있었다. DNP User Group을 중심으로 DNP 인증과 암호화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지 7~8년이 경과하였지만 실제 전력계통망에 도입하여 사용하는 곳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전력시스템의 특수성에 따른 부가적인 보안 요구사항에 기인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고 실제 전력계통망에 인증과 암호화 도입을 위한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델파이 XE2 DataSnap 서버의 보안성 개선을 위한 시큐어 코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cure Coding for Security Improvement of Delphi XE2 DataSnap Server)

  • 정명규;박만곤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706-715
    • /
    • 2014
  • It is used to lead to serious structural vulnerability of the system security of security-critical system when we have quickly developed software system according to urgent release schedule without appropriate security planning, management, and assurance processes. The Data Set and Provider of DataSnap, which is a middleware of Delphi XE2 of the Embarcadero Technologies Co., certainly help to develop an easy and fast-paced procedure, but it is difficult to apply security program and vulnerable to control software system security when the connection structure Database-DataSnap server-SQL Connection-SQL Data set-Provider is applied. This is due to that all kinds of information of Provider are exposed on the moment when DataSnap Server Port is sure to malicious attackers. This exposure becomes a window capable of running SQL Command. Thus, it should not be used Data Set and Provider in the DataSnap Server in consideration of all aspects of security management. In this paper, we study on the verification of the security vulnerabilities for Client and Server DataSnap in Dlephi XE2, and we propose a secure coding method to improve security vulnerability in the DataSnap server system.

A Study on the Impact Analysis of Security Flaws between Security Controls: An Empirical Analysis of K-ISMS using Case-Control Study

  • Kim, Hwankuk;Lee, Kyungho;Lim, Jongi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9호
    • /
    • pp.4588-4608
    • /
    • 2017
  • The measurement of information security levels is a very important but difficult task. So far, various measurement methods have studied the development of new indices. Note, however, that researches have focused on the problem of attaining a certain level but largely neglecting research focused on the issue of how different types of possible flaws in security controls affect each other and which flaws are more critical because of these effects. Furthermore, applying the same weight across the board to these flaws has made it difficult to identify the relative importance. In this paper,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security flaws that occurred in the security controls of K-ISMS were analyzed, and the relative impact of each security control was measured. Additionally, a case-control study was applied using empirical data to eliminate subjective bias as a shortcoming of expert surveys and comparative studies. The security controls were divided into 2 group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 security flaw occur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impact relationship and the severity among security flaws. We expect these results to be applied as good reference indices when making decisions on the removal of security flaws in an enterprise.

보안 및 통제와 정보기술 사용자의 성격의 관계 (Relationship of Information Technology User Personality, Security and Control)

  • 이장형;김종원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9권3호
    • /
    • pp.1-12
    • /
    • 2010
  • Personality is comprehensive nature of the mood and attitude of people, most clearly revealed in the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 This study is a analysis on personality type to information system security and control from financial institute employee. Based on 'The Big Five' personality model, this study develops hypothetical causal relationships of potential organization member's personality and their information system security and control. Research hypotheses are empirically tested with data collected from 901 employees. Results show that employees of high level security mind are the owner of conscientious and emotional stable personality and the employees of high level control mind are the owner of agreeable and emotional stable personality. Therefore the owner of agreeable and stable personality is higher security and control than others.

Wide-Area SCADA System with Distributed Security Framework

  • Zhang, Yang;Chen, Jun-Liang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4권6호
    • /
    • pp.597-605
    • /
    • 2012
  • With the smart grid coming near, wide-are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CADA)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However, traditional SCADA systems are not suitable for the openness and distribution requirements of smart grid. Distributed SCADA services should be openly composable and secure. Event-driven methodology makes service collaborations more real-time and flexible because of the space, time and control decoupling of event producer and consumer, which gives us an appropriate foundation. Our SCADA services are constructed and integrated based on distributed events in this paper. Unfortunately, an event-driven SCADA service does not know who consumes its events, and consumers do not know who produces the events either. In this environment, a SCADA service cannot directly control access because of anonymous and multicast interactions. In this paper, a distributed security framework is proposed to protect not only service operations but also data contents in smart grid environments. Finally, a security implementation scheme is given for SCADA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