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a security control

검색결과 947건 처리시간 0.033초

Big Data Key Challenges

  • Alotaibi, Sulta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4호
    • /
    • pp.340-350
    • /
    • 2022
  • The big data term refers to the great volume of data and complicated data structure with difficulties in collecting, storing, processing, and analyzing these data. Big data analytics refers to the operation of disclosing hidden patterns through big data. This information and data set cloud to be useful and provide advanced services. However, analyzing and processing this information could cause revealing and disclosing some sensitive and personal information when the information is contained in applications that are correlated to users such as location-based services, but concerns are diminished if the applications are correlated to general information such as scientific results. In this work, a survey has been done over security and privacy challenges and approaches in big data. The challenges included here are in each of the following areas: privacy, access control, encryption, and authentication in big data. Likewise, the approaches presented here are privacy-preserving approaches in big data, access control approaches in big data, encryption approaches in big data, and authentication approaches in big data.

The Security Architecture for Secure Cloud Computing Environment

  • Choi, Sang-Yong;Jeong, Kim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12호
    • /
    • pp.81-87
    • /
    • 2018
  • Cloud computing is a computing environment in which users borrow as many IT resources as they need to, and use them over the network at any point in time. This is the concept of leasing and using as many IT resources as needed to lower IT resource usage costs and increase efficiency. Recently, cloud computing is emerging to provide stable service and volume of data along with major technological developments such as the Internet of Thing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However, for a more secure cloud environment, the importance of perimeter security such as shared resources and resulting secure data storage and access control is growing. This paper analyzes security threats in cloud computing environments and proposes a security architecture for effective response.

인공지능기반 보안관제 구축 및 대응 방안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ecurity Control Construction and Countermeasures)

  • 홍준혁;이병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531-540
    • /
    • 2021
  • 사이버 상의 공격과 범죄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와 해킹 공격들이 지능화, 고도화되면서 해킹 공격방법 및 루트가 복자하고 예측 불가능하게 진화하고 있어 실시간으로 범죄 발생을 예측, 예방과 대규모의 지능적인 해킹 공격에 대한 선제적 대응력 강화하기 위해 스스로 학습해 이상 징후를 감시 및 공격을 차단하여 대응하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차세대 보안 시스템 구축을 통한 인공지능기반 보안관제 플랫폼 개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인공지능기반 보안관제 플랫폼은 데이터 수집, 데이터 분석, 차세대 보안체계 운영, 보안체계 관리 등의 기반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빅데이터 기반과 관제시스템, 외부위협정보를 통한 데이터 수집 단계, 수집된 데이터를 전처리 후 정형화시켜 딥러닝 기반 알고리즘을 통해 정·오탐 선별과 이상행위 분석 등을 수행하는 데이터 분석 단계, 분석된 데이터로 통해 예방·관제·대응·분석과 유기적 순환구조의 보안체계를 운영하여 신규위협에 대한 처리범위 및 속도향상을 높이고 정상기반과 비정상행위 식별 등을 강화시키는 차세대 보안체계 운영, 그리고 보안위협 대응 체계 관리, 유해IP 관리, 탐지정책 관리, 보안업무 법제도 관리이다. 이를 통해 방대한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빠른 시간에 선제적으로 대처가 될 수 있도록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EDI시스템에 있어서 내부통제가 정보시스템 보안성 및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Internal Control on the Security and Usefulness of EDI System)

  • 한인구;이재창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9권3호
    • /
    • pp.143-157
    • /
    • 1999
  • EDI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technologies in todays business environment.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DI control of Korean companies in their early stage of EDI implemen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EDI controls on the security and usefulness of EDI systems for Korean companies who have adopted EDI. The data of fifty-one Korean companies for financial, manufacturing, and trade industries are collected by the mail survey and interview methods. The level of EDI control is mediocre on the average. The level of EDI security is low while that of EDI usefulness is mediocre.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EDI controls in general improve the EDI security and usefulness significantly. Especially, the application and security control affect the EDI security significantly while the management, application, and security controls affect the EDI usefulness significantly. The gap between the level and perceived importance of control does not affect the EDI security but decreses the EDI usefulness at the marginal level of significance.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only a small number of companies are available for data collection because Korea is in the early stage of EDI implementation.

  • PDF

스마트폰 사용자의 보안수칙 실천 부족에 관한 연구 : 효능감의 역할을 중심으로 (A Study on Disconfirmity to Security Practices of Smart-phone : Focused on Roles of Efficacy)

  • 김재현;김종기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4권3호
    • /
    • pp.1-19
    • /
    • 2015
  • Purpose This study discusses the contradictory behavior of smart-phone users who consider security is important, but they do not follow the security recommendations. We foun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at this contradictory behavior is resulted from a low level of efficacy. Design/methodology/approach Research hypotheses were set based on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 Control Theory, and Self Efficacy Mechanis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undergraduate students. Total of 178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Findings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at and security attitude varies with the level of coping efficacy. Second,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at and fear does not vary with the level of coping efficacy. Both the groups with high coping efficacy and low coping effica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at and fear.

접근제어 정책구현을 위한 역할기반 XML 암호화 (Role based XML Encryption for Enforcing Access Control Policy)

  • 최동희;박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3-15
    • /
    • 2005
  • XML문서가 웹 문서의 표준으로 자리잡음에 따라 많은 정보들이 XML문서의 형식으로 표현되면서 XML문서의 보안에 관한 요구도 커지고 있다. XML문서의 보안은 암호화, 전자서명, 키 관리, 접근제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까지의 XML보안에 관한 연구는 암호화와 전자서명 같은 통신상의 보안에 관한 연구가 중심이 되었으나, XML문서가 방대해지고 복잡해짐에 따라 XML문서에 대한 통신상의 보안 뿐 아니라 관리적인 보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관리적인 보안은 접근제어를 통해 보장할 수 있다. 하지만 XML문서의 암호화는 단순한 통신상의 보안만을 제공할 뿐 관리적 보안 요소인 다양한 사용자와 다양한 접근권한 정책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XML-문서의 보안을 위해 역할별 권한정책을 반영한 접근제어를 보장하는 주체기반 암호화 기법을 제안한다. 접근제어를 보장하는 암호화를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의 다양한 권한정책을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제안하는 암호화 기법은 전처리 과정을 이용하여 기존의 접근제어 기법의 복잡한 접근 권한 평가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금융기관의 테스트시스템 데이터 보안통제 모델 연구 (A Study on Data Security Control Model of the Test System in Financial Institutions)

  • 최영진;김정환;이경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1293-1308
    • /
    • 2014
  • 2014년 카드사 개인정보유출 사고의 원인은 테스트시스템에서 원본 데이터가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금융감독규정과 금융회사 정보기술(IT)부문의 정보보호업무 모범규준에는 테스트시스템에서 고객을 식별하는 정보는 변환하여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금융회사는 이 지침에 따라 고객식별정보를 변환한 데이터를 테스트시스템에 적재하여 사용한다. 하지만, 테스트 과정에서의 사용자 실수 또는 기술적, 관리적 보안의 미비 등으로 의도치 않게 실제 개인식별정보가 유입될 수 있으나, 이를 통제 및 관리하는 프로세스는 현재 연구된 바가 없고, 감독기관의 컴플라이언스 위반 가능성을 높이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테스트시스템의 변환 미확인 고객식별정보를 관리 및 통제함으로써 감독기관의 컴플라이언스 위반 가능성을 없애는 프로세스를 제시 및 실증하고, 그 효과성을 확인해 본다.

데이터 내용 보호를 위한 이미지 특징 기반의 보안 접근 제어 (Image Features Based Secure Access Control for Data Content Protection)

  • 하선주;박대철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71-180
    • /
    • 2013
  • 데이터의 보안은 항상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현재 각광받고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은 필연적으로 데이터 보안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단순한 보안방법으로는 더 이상 데이터가 안전하지 않으며, 데이터 보안을 위해서 보다 진보된 방법을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텍스트 기반의 암호 방식보다 더 높은 레벨의 보안방식을 제시하기 위해 이미지 정보 기반의 데이터 내용 접근 제어 방식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원본 이미지에서 히스토그램 값을 이용하여 칼라키를 생성하고 이미지를 변환시켜 위치정보와 색상정보를 추출하여 보안 키를 생성하여 보안처리된 데이터 내용을 접근한다. 끝으로 본 몬문은 제안한 기법를 평가하기 위해 데이터 내용의 접근을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Development of the framework for quantitative cyber risk assessment in nuclear facilities

  • Kwang-Seop Son;Jae-Gu Song;Jung-Woon Le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5권6호
    • /
    • pp.2034-2046
    • /
    • 2023
  • Industrial control systems in nuclear facilities are facing increasing cyber threats due to the widespread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To implement cyber security programs effectively through the RG 5.71, it is necessary to quantitatively assess cyber risks. However, this can be challenging due to limited historical data on threats and customized Critical Digital Assets (CDAs) in nuclear facilities. Previous works have focused on identifying data flows, the assets where the data is stored and processed, which means that the methods are heavily biased towards information security concerns. Additionally, in nuclear facilities, cyber threats need to be analyzed from a safety perspective. In this study, we use the system theoretic process analysis to identify system-level threat scenarios that could violate safety constraints. Instead of quantifying the likelihood of exploiting vulnerabilities, we quantify Security Control Measures (SCMs) against the identified threat scenarios. We classify the system and CDAs into four consequence-based classes, as presented in NEI 13-10, to analyze the adversary impact on CDAs. This allows for the ranking of identified threat scenarios according to the quantified SCMs. The proposed framework enables stakeholders to more effectively and accurately rank cyber risks, as well as establish security and response strategies.

블록체인 환경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한 사용자 동적 접근제어 메커니즘 (User Dynamic Access Control Mechanism Using Smart Contracts in Blockchain Environment)

  • 조도은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9권1호
    • /
    • pp.46-57
    • /
    • 2021
  • 최근 블록체인 기술을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는 분산 원장 환경에서 데이터를 기록하여 데이터의 무결성과 유효성이 검증되며, 미리 작성되어 등록된 코드에 의하여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이행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신뢰성을 요구하는 다양한 자동화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블록 체인에서는 네트워크 참여자들에게 데이터가 공유되기 때문에 데이터 접근 제어와 정보의 보안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블록체인 환경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한 사용자 동적 접근 제어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메커니즘은 사용자가 데이터 접근시 사용자의 상황정보를 판별하여 사용자의 역할을 할당하고 데이터 접근 범위를 동적으로 제어한다. 이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자 그룹별로 할당된 역할로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보다는, 사용자 인증 시점에 동적으로 데이터 접근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시스템의 보안성과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안된 메커니즘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 저장된 데이터의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자의 동적인 데이터 접근 제어를 통해 유연한 인증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