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a registry

검색결과 527건 처리시간 0.033초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 관리 시스템 모델 (A Model for Metadata Registry Management Systems)

  • 신동길;정은주;정동원;박수현;백두권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73-177
    • /
    • 2003
  • Until now, many metadata registries have been built in various fields and the metadata registries were built based on ISO/IEC 11179 which is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metadata management. However, their management systems do not fully support various and useful tools to easily and systematically manage the metadata registries.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metadata registry management system w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implemented metadata registry management system provide many useful tools for efficient and easy metadata management. Finally, the developed system is also based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 ISO/IEC11179. Therefore, we can apply it to other fields for building and managing metadata registries.

  • PDF

침샘 악성종양의 발생에 대한 최신 경향 (Recent Trends in the Incidence of Salivary Gland Malignancies)

  • 석준걸;박은혜;정규원;장재원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5
    • /
    • 2022
  • Due to the low incidence and histologic diversity of salivary gland cancer, analyzing the incidence of salivary gland cancer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macroscopic aspects. We intend to investigate the international trend of the reported incidence rate of salivary gland cancer. Using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data, the domestic change in the incidence rate was examined. As a result, a significant increasing trend was confirmed, consistent with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rends. The etiology of the change is unclear, and various factors that may influence the direction are reported.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the pathophysiology of salivary gland cancer, and further efforts are required to understand salivary gland cancer.

XMDR을 이용한 정형화된 메시지 교환 기법 설계 (Design of Formalized message exchanging method using XMDR)

  • 황치곤;정계동;최영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1087-1094
    • /
    • 2008
  • 최근 들어 XML은 데이터 교환을 위한 표준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XML 문서의 크기가 커지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데이터 웨어하우스와 같이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경우 데이터 이동은 트래픽의 증가로 인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XMDR 래퍼는 XML Schema의 트리 구조를 분석하고, 분석된 트리 구조를 통해 XML Schema를 재생성하여 XMDR_Query와 함께 각 스테이션에 전송한다. 결과로 반환되는 XML 문서는 XML Schema에 따라 XML 태그를 코드화하여 정형화된 메시지를 전달한다. 정형화된 XML 문서는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감소시키고, XML 계층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데이터 추출, 변환 및 정렬에 효율적 이라는 장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정형화된 형식 이므로 XSLT를 통한 변환과정에서도 효율적이다. 각 스테이션에 전송되는 XML Schema와 XMDR_Query는 XMDR(eXtended Meta-Data Registry)을 통해 생성하고, 각 스테이션의 래퍼에서 결과 생성 및 XML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예방접종등록 정보시스템의 등록자료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gistration Data Analysis of National Immunization Registry Information System)

  • 김창수;박옥;김미영;김명진;이석구;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151-1156
    • /
    • 2015
  • 예방접종등록 정보시스템에 구축되어 있는 접종등록자료의 정확성, 중복성, 등록률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접종데이터 미등록 현황, 중복데이터, 누락데이터, 오류데이터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예방접종 등록 정보시스템의 접종등록자료의 품질 개선을 위한 품질관리 오류기준안을 마련하여 데이터베이스 품질관리체계 수립을 제안한다.

여성 난임환자의 한의치료 현황 및 경과 관찰을 위한 전향적 다기관 관찰연구 프로토콜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in infertile women: an observational multi-center study protocol)

  • 최수지;김동일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42-50
    • /
    • 202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infertility patients who come to Korean medicine clinics and analyze the trend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methods and the effects of female infertility by registry data. Methods: We are recruiting study participants from Korean medicine hospitals and clinics. If female infertility patients come, we will ask them to register for this study. After enrollment, we will collect demographic information, treatment methods, pregnancy results, adverse events, and treatment costs. Result: First, we will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the status of the use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interventions, the cost status of Korean medicine infertility treatment, and the delivery characteristics of pregnant women after Korean medicine treatment. Second, we will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The primary outcome is clinical pregnancy rate, and secondary outcomes are 12-week pregnancy maintenance rate, degree of dysmenorrhea and premenstrual syndrome, stress level,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core. Discussion: This study is the first observational multi-center study in Korea for female infertility. By establishing the registry, we are creating a resource that contains patient-reported outcome measures for female infertility. The registry is expected to provide valuable data for developing Korean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female infertility.

eMRA: MDR의 개념간 관계성을 고려한 MRA 확장 (eMRA: Extension of MRA Consider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MDR Concepts)

  • 주영민;김장원;정동원;백두권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2권3호
    • /
    • pp.161-172
    • /
    • 2013
  •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Metadata Registry, MDR)는 데이터베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및 공유를 위해 ISO/IEC에서 개발한 국제 표준이며, 의료 서비스, 서지, 환경 등 다양한 도메인에서 데이터 공유 및 통합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MDR 표준은 메타데이터 등록 및 저장을 위한 메타모델만을 정의하고 있기 때문에 이 시스템들은 서로 다른 물리적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해 MDR 시스템 간 불일치가 발생하고 메타데이터의 상호운용을 위해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SO/IEC 13249-8 Metadata Registry Access (MRA)가 개발 중에 있으며, MRA는 상이한 MDR 시스템에 일관된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는 표준 인터페이스이다. 그러나 MRA는 MDR 표준에 정의되어 있는 개념 즉, 클래스 간 관계성을 고려하지 않는다. 이는 부정확한 결과를 생성할 수 있으며, 각 MDR 시스템의 물리적 구조를 고려하여 질의를 모델링하고 재작성하는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한다. 이 논문에서는 클래스 간 관계성을 고려한 확장된 인터페이스 eMRA(Extened MRA)를 제안하며, 비교 평가를 통해 확장 인터페이스의 장점을 기술한다. eMRA는 MDR의 개념간 관계성을 정의하여 질의 모델링과 시스템의 참조무결성 측면에서 MRA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진다.

XMDR 데이터 허브 기반의 Proxy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데이터 상호운용 프레임워크 (Data Interoperability Framework based on XMDR Data Hub using Proxy DataBase)

  • 문석재;정계동;최영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1463-147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XMDR(eXtended Meta-Data Resistry) 데이터 허브 기반의 Proxy Database를 이용하여 Legacy Database간의 데이터 상호운용이 가능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협 업 환경에서는 Legacy Database간의 상호운용을 하는데 있어서 데이터의 구조, 의미, 형식상의 이질적인 문제들이 발생한다. 또한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데이터를 종류와 형식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일관성을 유지하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XMDR 데이터 허브를 이용하여 Legacy DB간의 데이터 통합 및 상호운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 질적인 문제를 해결한다. Proxy Database를 이용하여 상호운용하고자 하는 데이터들이 종류와 형식에 상관없이 호환이 가능하고, 지속적으로 정확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일관성 있게 제공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Global Data Repository Status and Analysis: Based on Korea, China and Japan Data in re3data.org

  • Kim, Suntae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8권1호
    • /
    • pp.79-89
    • /
    • 2018
  • We collected and analyzed data from e3data.org, which is a global registry of data repository services. We analyzed data profile for three leading Asian economies-Korea, China, and Japan-against the reference data for other participating countries. In particular, we examined how individual countries contribute to the repository, organizational type, versioning and product quality management, and subject tagging. W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all three Asian countries still fall short in terms of involvement. As for participating institutions, there are 7 from Korea, 64 from China, and 120 from Japan. Among Chinese organizations, 3 are profit, 61 non-profit, and 37 organizations (which yields 1.8%) are involved in repository building. In Japan, there is 1 is commercial and 119 non-profit organizations, of which 57 (3.0%) are involved in repository building. All 7 organizations from Korea are non-profit, and 6 of them (0.3%) are involved in repository building. As regards versioning and product quality management, Korea, China, and Japan are up to par with other countries. Subject analysis reveals that Korea contributes more to geosciences, Japan to physics and geosciences, while China, unlike Korea and Japan, is more active in life scienc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help planning domestic infrastructure for research data repositories with proper consideration for specific research domains and national characteristics.

Estimation of Esophageal Cancer Incidence in Tehran by Log-linear Method using Population-based Cancer Registry Data

  • Mosavi-Jarrahi, Alireza;Ahmadi-Jouibari, Toraj;Najafi, Farid;Mehrabi, Yadollah;Aghaei, Abbas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9호
    • /
    • pp.5367-5370
    • /
    • 2013
  • Background: Having knowledge or estimation of cancer incidence is necessary for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any cancer prevention and control programs. Population-based registries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o achieve these objectives but require extra techniques to estimate the incidence rate. The present study aimed to estimate the esophageal cancer incidence using a log-linear method based on Tehran population-based cancer registry data. Materials and Methods: New cases of esophageal cancer reported by three sources of pathology reports, medical records, and death certificates to Tehran Metropolitan Area Cancer Registry Center during 2002-2006 were entered into the study and the incidence rate was estimated based on log-linear models. We used Akaike statistics to select the best-fit model. Results: During 2002-2006, 1,458 new cases of esophageal cancer were reported by the mentioned sources to the population-based cancer registry. Based on the reported cases, cancer incidence was 4.5 per 100,000 population and this was estimated to be 10.5 per 100,000 by the log-linear method. Conclusions: Based on the obtained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an estimated incidence for 2004 of 8.3 per 100,000 population could be a good benchmark for the incidence of esophageal cancer in the population of Tehran metropolis.

객체-관계 변환 방법론 기반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 데이터베이스 설계 (A Design of Metadata Registry Database based on Object-Relational Transformation Methodology)

  • 차수영;이석훈;정동원;백두권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9호
    • /
    • pp.1147-1161
    • /
    • 2015
  • ISO/IEC 11179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Metadata Registry, MDR)는 메타데이터의 등록 및 공유를 위해 개발된 국제표준이다. ISO/IEC 11179는 MDR을 객체 모델인 메타모델로 표현한다. 하지만 ISO/IEC 11179는 메타모델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기 위한 명확한 기준이 없으므로 표준 기반의 MDR 개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 논문은 MDR 구현을 위해 객체-관계 변환 방법론 기반의 MDR 데이터 모델을 설계한다. 이를 위해 연구된 객체-관계 변환 방법론의 변환 기법들을 관계성에 기준하여 분류하고, 이 변환 기법들의 사용 기준을 정의함으로 모델링 규칙을 제안한다. 이 논문은 MDR 데이터 모델에 대한 구현 결과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구축한다. 실험 및 평가를 통하여 제안하는 모델링 규칙을 검증하고 구축된 테이블 구조의 적합성을 평가한다. 평가 결과로 제안 기법에 의해 구축된 테이블 구조는 표준 메타모델의 클래스와 관계성을 잘 보존함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