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a availability

검색결과 1,720건 처리시간 0.026초

무기체계의 고장률과 지원수준의 변화에 따른 운용가용도 변화 분석 (Analysis of Operational Availability under Changing Failure Rate and Supportability)

  • 탁정호;정원
    • 한국신뢰성학회지:신뢰성응용연구
    • /
    • 제18권1호
    • /
    • pp.1-7
    • /
    • 2018
  • Purpose: Maintaining appropriate operational availability (Ao) is a key element of combat victory, but estimates vary according to estimation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accuracy of estimating operational availability by tracing the changes of the weapon system's failure rate, repair rate, and the level of logistic support. Methods: In order to track the change in the operating availability, the MDT (mean down time) is modeled by adding the repair time and the ALDT (administration and logistic delay time) to the service time. Results: Using the field data of the weapon system A operated by the ROKAF, the failure rate follows a non-homogeneous Poisson process that changes with time, and it is modeled considering the changing repair rate and the logistic support time. Conclusion: The accuracy of the analytical results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actual operating data with the estimated avail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track and evaluate the availability in a realistic situation where the failure rate and maintenance rate continuously change in operating environment.

야전데이터 기반 하푼 유도탄 정비 소요시간이 가동률에 미치는 영향 연구 (Impact of Maintenance Time of Anti-Ship Missile Harpoon on Operational Availability with Field Data)

  • 최영재;마정목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26-434
    • /
    • 2020
  • This paper studies the impact of the maintenance time of anti-ship missile Harpoon on operational availability with real field data. The Harpoon maintenance simulation model is developed as a testbed for identifying the optimal inventory levels on operational availability.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integer programming, the optimal inventory levels of essential assemblies are suggested. Finally, the result of sensitivity analysis shows the quantitative impact of maintenance time on operational availability and inventory costs. The authors believe that this quantitative analysis can support policy decisions to decrease maintenance time of missiles.

단순화된 메타데이타를 이용한 고스트 기반 정족수 동의 기법의 개선 (Quorum Consensus Method based on Ghost using Simplified Metadata)

  • 조성연;김태윤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7권1호
    • /
    • pp.34-43
    • /
    • 2000
  • 중복 데이타는 분산 시스템에서 결함을 포용하는 방법 중 하나로 여러 복사본들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복제 제어 프로토콜(replica control protocol)을 필요로 한다. 복제 제어 프로토콜 중 정 족수 동의 기법(quorum consensus method)은 정족수 이상의 동의를 얻어서 데이타에 접근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사이트나 통신 링크의 실패로 인하여 정족수 이상의 동의를 얻을 수 없으면 데이타 접근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부족한 정족수를 고스트(ghost)로 대치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고스트는 메타 데이타(meta data)에 상태 정보만을 저장한 프로세스이기 때문에 생성과 관리의 비용을 줄이려면 메타 데이타를 간략화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동료 집합을 이용하여 메타 데이타를 구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2N+logN 비트만으로 메타 데이타를 구성할 수 있게 하고 동료 집합만을 이용하는 프로토콜이나 동적 선형 보우팅 프로토콜보다 향상된 가용성을 나타낸다. 제안된 방법의 가용성은 마코브 모델(Markov model)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다른 프로토콜들과 비교 분석한다.

  • PDF

수자원 가용능력을 고려한 수문학적 가뭄지수의 개발 (Development of a Hydrological Drought Index Considering Water Availability)

  • 박민지;신형진;최영돈;박재영;김성준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3권6호
    • /
    • pp.165-170
    • /
    • 2011
  • Recently natural disasters such as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drought have been increasing as a result of climate change. This study suggests a drought index, WADI (Water Availability Drought Index), that considers water availability using 6 components (water intake, groundwater level, agricultural reservoir water level, dam inflow, streamflow, and precipitation) using the Z score and data monitoring on a nationwide level.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was applied in coastal area. For the severe droughts of 2001 spring and 2008 autumn, the index was evaluated by comparison with reported damage areas. suggested to combine The spatial concordance rate of WADI in 2001 and 2008 for estimation of the degree of drought severity was 50 % and 24 % compared to the actual recorded data respectively.

다중 측면 기반의 분산 데이터 할당을 위한 MAPN 모델링 (The MAPN Modeling for the distributed Data Allocation based on Multiple Aspects)

  • 박성진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745-755
    • /
    • 2000
  • In designing distributed databases, DAP(Data Allocation Problem) is one of the key design issues. Because, however, most of previous researches on DAP have considered only cost aspect, they cannot increase the performance and availability and they are not proper to the system requiring high-availability or real-time processing. Therefore, we need a more formal data allocation model considering multiple aspect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MAPN (Multiple Aspects Petri Net) modeling method for the distributed transaction modeling. The MAPN model, an extended classical petri net, is proposed for the formal modeling considering multiple aspects (cost, performance and availability) concurrently. We demonstrate that we can compose the valid DAP evaluation model considering not only cost but also performance and availability concurrently by using the MAPN structure and MAPN graph.

  • PDF

다중 플랫폼 영상정보용 공용 데이터링크의 링크 가용도 성능 분석 (Aeronautical Link Availability Analysis for the Multi-Platform Image & Intelligence Common Data Link)

  • 류영재;유정훈;박의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C권10호
    • /
    • pp.965-976
    • /
    • 2012
  • 본 논문은 공지(Aeronautical to Ground) 통신 환경에서 장거리용 공용 데이터링크로 개발되는 다중플랫폼 영상 정보용 공용 데이터링크(MPI-CDL : Multi-Platform Image & Intelligence Common Data Link)의 링크 가용도 분석 방법을 제안하고 링크 가용도를 만족하기 위해 필요한 링크마진을 분석한다. 제안된 링크 가용도 분석 방법은 강우감쇄와 다중경로 페이딩 분석모델을 하나의 조건부 확률로 변환함으로써 강우감쇄와 다중경로 페이딩을 함께 고려하여 링크 가용도를 분석할 수 있다. 영상정보용 공용 데이터링크의 주파수, 운용 고도, 통달거리에 따른 링크 가용도를 만족하기 위한 링크마진을 분석하고 실제 영상정보용 데이터링크가 적용되는 무인항공기의 운용환경을 고려한 링크마진 분석결과를 제시한다.

Availability of Repairable Network System

  • Lee, Jung-Yeon;Lee, Eui-Yo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5권1호
    • /
    • pp.21-29
    • /
    • 2004
  • In this paper, we define an availability of repairable network system, when the states of links are modeled by alternating renewal processes. The actual availabilities of some well-known network systems are obtained. The expected numbers of failures and repairs of the network systems are also calculated.

  • PDF

Docker 기반의 BGP 세션 절체 방안 (BGP Session Takeover Method Based on Docker)

  • 김상일;김화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2호
    • /
    • pp.238-240
    • /
    • 2016
  • 최근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날로 증대 하면서 높은 가용성과 신뢰성 높은 서비스 제공이 중요한 쟁점으로 대두 되고 있다. 이런 면에서 실질적으로 데이터의 경로를 제어하는 라우터에 대한 가용성, 신뢰성 및 확장성이 매우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데이터 통신망에서 라우터의 장애로 발생하게 될 손실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뢰성 및 가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많은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가지 라우팅 프로토콜 중,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를 이용하는 프로토콜인 BGP(Border Gateway Protocol)세션의 고가용성을 지원하기 위해 Docker 기반의 BGP 세션 절체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리눅스 고가용 시스템에서 로컬 디스크 간 데이터 동기화 구현 (Implementation of data synchronization for local disks in Linux high availability system)

  • 박성종;이철훈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47-550
    • /
    • 2008
  • 최근에 블로그, UCC, IPTV 등 사용자 중심의 인터넷 서비스와 언제 어디서나 웹을 통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으로의 변화는 안정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고가용 시스템 플랫폼을 필요로 한다. 고가용 시스템이란 네트워크상에 서버들을 클러스터로 구성함으로써 만약 서비스 하던 시스템이 고장과 같은 시스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계속해서 안전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고가용 시스템 플랫폼에서 서비스의 신뢰성을 위해 시스템 간 데이터 동기화는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리눅스 고가용 시스템에서 로컬 디스크 간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 기술인 DRBD(Distributed Replicated Block Disk)를 구현하였다.

  • PDF

위치 정보와 이동 예측 기법을 이용한 데이터 가용성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ata Availability Improvement using Mobility Prediction Technique with Location Information)

  • 양환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43-149
    • /
    • 2012
  • MANET is a network that is a very useful application to build network environment in difficult situation to build network infrastructure. But, nodes that configures MANET have difficulties in data retrieval owing to resources which aren't enough and mobility. Therefore, caching scheme is required to improve accessibility and availability for frequently accessed data. In this paper, we proposed a technique that utilize mobility prediction of nodes to retrieve quickly desired information and improve data availability. Mobility prediction of modes is performed through distance calculation using location information. We used technique which global cluster table and local member table is managed by cluster head to reduce data consistency and query latency time. We compared COCA and CacheData and experimented to confirm performance of proposed scheme in this paper and efficiency of the proposed technique through experience was confirm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