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rk spot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7초

잔디 엽병을 유발하는 잠재인자로서의 남조류(Blue-Green algae)에 대한 관찰보고 (Blue-green algae as a Potential agent Causing Turf Leaf Disease)

  • 박대섭;이형석;홍범석;최병만;전재찬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1-170
    • /
    • 2008
  • 본 연구는 아직 국내에서 보고된 바 없는 조류에 의한 잔디 병 발생 가능성에 대한 연구로, 2008년 7월 경기지역 골프장내 켄터키 블루그래스가 식재된 티잉그라운드에서 흑갈색 얼룩 반점병을 일으킨 잎조직이 발견되면서 조류에 의한 잔디 병 발생 요인과 대책을 조사하였다. 1.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흑갈색 반점 염조직으로부터 다수의 남조류(blue-green algae)가 관찰되었고, 흑갈색 반점이 형성 부위의 엽몸, 엽귀, 그리고 엽집에서 남조류가 다수 발견되었으며, 이병조직 이외의 개체내 건전부위와 줄기에서도 남조류 파편이 발견되었다. 발견된 남조류는 Oscillatoria 계통이 많았다. 2. 잔디밭에서 남조류는 토양 내 뿌리나 지제부에서 관찰되는데, 이번 관찰시에는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흑갈색 얼룩반점 병반부위인 상단 엽조직에서 남조류가 관찰되었다. 또한 이병조직 주위의 건전한 부위에서도 작은 파편형태의 남조류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현재까지 식물조직 내 남조류의 이동경로에 대하여 알려진 바가 없지만 조직 내에서 남조류의 이동 가능성도 있다. 3. 흑갈색 얼룩반점이 형성된 켄터키 블루그래스 뿐만 아니라 황화현상이 발생한 벤트그래스 퍼팅그린의 잔디 잎에서도 남조류가 관찰되었으므로, 향후 초종에 따른 조류의 영향에 대한 세부연구가 수행되어져 야 할 것이다. 4. 약제처리로 조류 억제와 흑갈색 얼룩 반점 경감효과를 가져왔는데 프로피코나졸이 가장 우수하였고 이프로디온과 아족시스트로 빈 순으로 조류 억제가 관찰되었다. 6. 특히 고온 다습한 여름철에 조류 방제가 어렵고 적절한 조류억제제를 선택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따라, 조류에 대한 일반적 관리에 머무르기보다는 더 적극적인 방제 방안 및 사전 예방 관리를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6. 끝으로 향후 조류의 잔디 조직 내 이동 및 감염 경로를 규명하고자 하는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독활(獨活)의 외부(外部) 및 내부형태(內部形態)와 이화학패턴연구 (A Study on Internal-External Morphology and Pattern Analysis in Angelicae Pubescentis Radix)

  • 김홍준;김자영;최고야;정승일;주영승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2권3호통권18호
    • /
    • pp.101-11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differential standard of the types of Angelicae Pubescentis Radix. We established the classificatory standard according to the external and internal morphology and the physicochemistrical pattern for the four types of Aucklandiae Radix. The results follow: 1. At the external shape, Angelica pubescens f. biserrata has rising lenticel and dark brown surface, Its section is light gray and its xylem is yellow gray. Aralia continentalis has big stem mark in upper portion, its section has no dense tissue with yellow gray. Heracleum hemsleyanum has dark brown surface and little lenticel, its cortical layer is white yellow and xylem is isabella and powdered. 2. At the internal shape, Angelica pubescens f. biserrata has phloem with half of the root and rare vessel. Aralia continentalis has phloem with two-thirds of the root and it has broad cutting and putting vessel that formed 1-2 row. Heracleum hemsleyanum also has phloem with half of the root and wide scattered latex tube and many large vessel. 3. At the TLC pattern, Heracleum hemsleyanum has remarkable dark spot at $R_{f}$ 0.23 on the sulphuric acid color pattern test, but others have faint. 4. At the HPLC pattern, all samples have generally patterns. But Angelica pubescens f. biserrata shows diminutive continentalic acid content and the peak at Rt 20.278min comes out on Heracleum hemsleyanum, but do not come out on Aralia continentalis and Angelica pubescens f. biserrata. Heracleum hemsleyanum has remarkable peak at Rt 20.278min, but shows no peak at Rt 29.023min unlike Aralia continentalis or Angelica pubescens f. biserrata. Also Aralia continentalis and Angelica pubescens f. biserrata show one remarkable peak at Rt 29.023, but Heracleum hemsleyanum do not show. Consequently, Aralia continentalis and Angelica pubescens f. biserrata are comparable whit continentalic acid content and Heracleum hemsleyanum is comparable with the peak at Rt 20.273 and Rt 29.023. So it is thought that content of continentalic acid and the peaks at Rt 20.278 and Rt 29.023 can apply to differentiate a species from other. It is consid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furnished the basis to succeeding studies and it is needed to extensive comparative study for the same genus-degree of relatedness.

  • PDF

Glomerella cingulata에 의한 유카리나무 탄저병 발생 (Occurrence of Anthracnose Caused by Glomerella cingulata on Eucaly trees in Korea)

  • 권진혁;정선기;지형진
    • 식물병연구
    • /
    • 제13권3호
    • /
    • pp.211-215
    • /
    • 2007
  • 2003년부터 2006년까지 4년 동안 경남 거제시 일운면 지세포 마을의 유카리나무 재배농가에서 잎과 줄기 및 가지에 이상증상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병징은 처음 잎과 줄기에 갈색 또는 암갈색의 작은 둥근 반점으로 나타나고 심하면 잎과 줄기가 말라 죽는다. 균총은 감자한천배지에서 회색이고 균사생육 적온은 $30^{\circ}C$였다. 분생포자의 모양은 단세포로 원통형이며 크기는 $9{\sim}22{\times}3{\sim}6{\mu}m$였다. 부착기의 모양은 원통형 또는 난형으로 암갈색을 띠고 크기는 $6{\sim}18{\times}4{\sim}10{\mu}m$였다. 자낭각의 모양은 구형이고 검은색으로 크기는 $76{\sim}274{\mu}m$였다. 자낭은 바나나 또는 원통형이며 크기는 $42{\sim}76{\times}8{\sim}12{\mu}m$였다. 자낭포자는 방추형 또는 원통형으로 가운데 부분이 약간 굽었으며 크기는 $10{\sim}23{\times}4{\sim}6{\mu}m$였다. 분리된 병원균을 접종하였을 때 자연 감염된 병징과 유사한 병증상을 발생시켰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 병해를 Glomerella cingulata(무성세대: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에 의한 유카리나무 탄저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고온 금속필터 element 표면에 생성된 반점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Dark Spots Formated on the High Temperature Metal Filter Elements)

  • 박승철;황태원;문찬국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71-178
    • /
    • 2008
  • 중 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유리화 실증시설의 고온필터(HTF)시스템에 금속필터를 도입하여 일련의 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고온필터시스템의 여과재는 총 19개의 필터 element로 구성되는데 필터로서 금속 재질별 특성을 알기 위해 316L, 904L, Inconel 600 등 3종의 element를 혼합하여 필터set를 구성하였다. 매 시험을 종료한 후에는 필터하우징에서 종류별로 필터 element를 꺼내어 육안으로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일부 element 표면에서 어두운 색깔의 반점들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AISI 316L 재질의 element에서 많은 반점들이 발견되었다. 이 반점들이 부식을 의미하는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두 가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재질별로 1개씩의 element를 절단하여 정상적인 곳과 반점이 있는 곳의 표면 및 단면을 SEM/EDS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반점은 Na, S, Si 등 무기계 산화물이 집중적으로 침적되어 필터의 미세기공을 막고 있는 현상으로 밝혀졌으며, 이 침적물들은 폐기물 및 유리용탕으로 부터 휘발된 물질로 판단된다. 둘째, 재질별로 필터 element에 대해 ring tensile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반점을 포함한 시험 필터 element의 인장강도 값이 규정값 이상으로 나타나서 필터에 부식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앞서 두 가지 분석결과로 볼 때 시험한 금속필터 표면에 생성된 반점은 부식생성물이라기 보다는 필터 전단으로부터 유입된 무기산화물 필터기공을 막고 있는 현상으로 판단되며, 이 반점이 반점형태로 국부적 지점에만 나타나는 것은 시험 중단시기 필터에 응축된 수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점의 생성은 필터의 유효 여과면적이 줄어 결과적으로 필터에 걸리는 압력손실이 커지기 때문에 필터하우징의 상시보온을 통한 응축 방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보다 장시간의 시험을 통해 필터 부식현상에 대한 검증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한국산 망둑어과 어종 1미기록종, Parioglossus dotul (New Record of the Gobiid Fish, Parioglossus dotui(Pisces, Gobiidae) from Korea)

  • Kim Yong Uk;Han, Kyeong H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9권1호
    • /
    • pp.51-59
    • /
    • 1993
  • 1984년 8월ㅇ부터 1986년 8월가지 제주도 성산포와 부산시 해운대 연안에서 채집한 망둑어 과 어류 가운데 전장 22.0~38.8mm의 359개체를 조사한 결과 한국산 미기록종인 Parioglossus dotui Tomiyams로 동정되었다. 본 종은 소형으로 배지느러미가 좌우로 분리되어 있으나, 새조골이 5개로 망둑어아과 Gobiinae에 속한다. 꼬리지느러미 기저와 접하는 곳에 암색반문이 있어 다른 종과 구별되고, 체측의 비늘은 납작한 돌 모양으로 붙어 있다. 주로 연안의 하천 기수역에 서식하면서 집단으로 유영생활을 한다. 본 종의 한국명은 동설망둑 속 "동설망둑"으로 명명한다. 그 결과 한국산 망둥어 과 어류는 1속 1종이 추가되어 총 34속 56종이 된다.

  • PDF

Two Unrecorded Species of the Snapper (Perciformes: Lutjanidae) Collected from Jeju Island, Korea

  • Kim, Maeng Jin;Kim, Byung Yeob;Kim, Joon Sang;Song, Choon Bo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5권4호
    • /
    • pp.313-316
    • /
    • 2012
  • Two unrecorded species of the snapper, Lutjanus malabaricus (296.0 mm standard length [SL]) and L. stellatus (350.0 mm SL) belonging to the family Lutjanidae, were first collected from the western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Korea. L. malabaricus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dark marking on the upper half of the caudal peduncle, a band of vomerine teeth that does not protrude posteriorly at the middle, and nine anal soft rays. Compared to its Korean relative, L. malabaricus is distinguishable by having rows of scales that run obliquely in the dorsal-posterior direction above the lateral line (vs. parallel to the lateral line in L. argentimaculatus). L. stellatus can be identified by the absence of wavy blue lines on the head (vs. many blue lines in L. rivulatus) and presence of a white spot above the lateral line (vs. a black blotch on the lateral line in L. rivulatus). We propose new Korean names, "Jin-hong-tung-dom" and "Huin-jeom-tung-dom," for L. malabaricus and L. stellatus, respectively.

거주자가 지각한 정신건강 관련 주거의 질 분석에 기초한 주거 개선요소 (Housing Improvement Elements Depended on the Analysis of Urban Residents' Perceived Korean Housing Quality Related to Mental Health)

  • 최병숙;박정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189-197
    • /
    • 2013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improvement elements depended on housing quality measurement tool related to mental health. The data for the analysis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method from November 1, 2012 to January 17, 2013, and the sample consisted of 720 respondents living in single detached houses, multi-families detached houses, apartments, and town houses in 4 cities, Seoul, Busan, Daejeon, and Kwangju.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results of improvement elements are as follows: 1) Pedestrian-threaten street from cars in physical safety 2) A secluded or dark spot and fear of walking at night in social security, 3) Indoor noise, outdoor noise, and evidence of abandoned trash heap/bottle in neighborhood in health & sanitation, 4) Illegal parking and heating control system in facility convenience, 5) Extra kitchen, number of bathrooms, and community spaces in space convenience, 6) Openness and spaciousness of indoor room, and satisfaction of house and neighborhood in comfort, 7) Management common/sharing space in maintenance, 8) Energy saving facility and environment friendly materials use in sustainability, 9) Burden on housing cost, asset value on house, and school district in economic value, 10) Reflection of residents style, surrounding building's number of layers, and neighborhood appearance of preference in housing environment image.

Colletotrichum Disease of Mungbean Sprout by Colletotrichum acutatum

  • Kim, Dong-Kil;Lee, Sun-Chul;Kang, Jin-Ho;Kim, Hee-Kyu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9권4호
    • /
    • pp.203-204
    • /
    • 2003
  • Decayed samples of marketed mungbean sprout were collected from Sacheon, Suncheon, and Dangjin cities in Korea. Initial symptom on hypocotyls was dark-brown diamond speck, which developed into enlarged sunken brownish-black spot with irregular margin, followed by softening yellowish decay. Brown speck on cotyledon further developed into irregular lesions. This study isolated the fungus Colletotrichum sp. The fungal colony was pale orange, which turned greenish gray after 1 week at $25^{\circ}C$. Colony of reverse side in a petri dish was pink. Neither conidiomata nor setae were present in the culture. Typical fusiform conidia sized 7.5-15.0$\times$2.5-2.9 $\mu\textrm$were hyaline, aseptate, smooth, and had salmon color in mass. Conidiogenous cells were phialidic, hyaline, smooth, and cylindrical with terminal distinct collarette. Basedon these mycological characteristics, the casual organism was identified as Colletotrichum acutatum. This is first report of Colletotrichum acutatum in Korea.

경사증착법을 이용한 PM-OLED용 무기박막형 보호층 연구 (Study on the MgO Passivated PM-OLED using the Tilt & Rotate Technique)

  • 김광호;김훈;김재경;도이미;한정인;주병권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812-815
    • /
    • 2003
  • In this study, the MgO thin-film passivation layer was adopted to protect pass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PMOLED) with the cathode separator from moisture and oxygen. Using the substrate rotate and tilt technique during the deposition, the organic and cathode layers were perfectly covered with MgO. And then, we analyzed the difference of the current-voltage and luminescence characteristics between passivated OLED of the MgO and non-passivated OLED.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dark spot generated from the degradated pixel was decreased owing to the Mgo thin-film passivation layer using the tilt & rotate technique. And the half-life time passivated OLED was improved two times more. Thus, the MgO could be vaccum-deposited under the low temperature and had a merit that the organic layer was not much affected. We can consider that MgO thin film passivation method can be adopted to protect the OLED from moisture and oxygen and can offer the enhancement of lifetime.

Enhancing Performance of 1-aminopyrene Light-Emitting Diodes via Hybridization with ZnO Quantum Dots

  • Choi, Jong Hyun;Kim, Hong Hee;Choi, Won Kook
    • 센서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38-243
    • /
    • 2022
  • In this study, a pyrene-core single molecule with amino (-NH2) functional group material was hybridized using ZnO quantum dots (QDs). The suppressed performance of the 1-aminopyrene (1-PyNH2) single molecule as an emissive layer (EML) in light-emitting diodes (LEDs) was exploited by adopting the ZnO@1-PyNH2 core-shell structure. Unlike pristine 1-PyNH2 molecules, the ZnO@1-PyNH2 hybrid QDs formed energy proximity levels that enabled charge transfer.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as an improvement in surface roughness. The uniform and homogeneous EML alleviates dark-spot degradation. Moreover, LEDs with the ITO/PEDOT:PSS/TFB/EML/TPBi/LiF/Al configuration were fabricat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wo emissive materials, where pristine-1-PyNH2 molecules and ZnO@1-PyNH2 QDs were used as the EML materials to verify the improvement in electrical characteristics. The ZnO@1-PyNH2 LEDs exhibited blue luminescence at 443 nm (FWHM = 49 nm), with a turn-on voltage of 4 V, maximum luminance of 1500 cd/m2, maximum luminous efficiency of 0.66 cd/A, and power efficiency of 0.41 lm/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