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ily rainfall occurrence data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6초

CHAIN DEPENDENCE AND STATIONARITY TEST FOR TRANSITION PROBABILITIES OF MARKOV CHAIN UNDER LOGISTIC REGRESSION MODEL

  • Sinha Narayan Chandra;Islam M. Ataharul;Ahmed Kazi Saleh
    •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 /
    • 제35권4호
    • /
    • pp.355-376
    • /
    • 2006
  • To identify whether the sequence of observations follows a chain dependent process and whether the chain dependent or repeated observations follow stationary process or not, alternative procedures are suggested in this paper. These test procedures are formulated on the basis of logistic regression model under the likelihood ratio test criterion and applied to the daily rainfall occurrence data of Bangladesh for selected stations. These test procedures indicate that the daily rainfall occurrences follow a chain dependent process, and the different types of transition probabilities and overall transition probabilities of Markov chain for the occurrences of rainfall follow a stationary process in the Mymensingh and Rajshahi areas, and non-stationary process in the Chittagong, Faridpur and Satkhira areas.

기상예보를 고려한 관개용 저수지의 최적 조작 모형(I) -일강수량.일증발량 자료발생- (Optimal Reservoir Operation Models for Paddy Rice Irrigation with Weather Forecasts (I) - Generating Daily Rainfall and Evaporation Data-)

  • 김병진;박승우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3-72
    • /
    • 1994
  •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develop weather generators for daily rainfall and small pan evaporation and to test the applicability with recorded data. Daily rainfall forecasting model(DRFM) was developed that uses a first order Markov chain to describe rainfall seque- nces and applies an incomplete Gamma function to predict the amount of precipitation. Daily evaporation forecasting model(DEFM) that adopts a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to generate the evaporation for dry and wet days was also formulated. DRFM and DEFM were tested with twenty year weather data from eleven stations using Chi-square and Kolmogorov and Smirnov goodness of fit tests.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generated sequences of rainfall occurrence, amount of rainfall, and pan evaporation were statistically fit to recorded data from eleven, seven, and seven stations at the 5% level of significance. Generated rainfall data from DRFM were very close in frequency distri- bution patterns to records for stations all over the country. Pan evaporation for rainy days generated were less accurate than that for dry days. And the proposed models may be used as tools to provide many mathematical models with long-term daily rainfall and small pan evaporation data. An example is an irrigation scheduling model, which will be further detailed in the paper.

  • PDF

일강우자료의 다지점 모의 발생을 위한 간단한 방법 제안 (A Proposed Simple Method for Multisite Point Rainfall Generation)

  • 유철상;이동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99-110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마코프 연쇄에 근거하여 지점간 공간상관을 적절히 고려할 수 있는 일강우의 다지점 모의 발생 방법을 제안하였다. 유역 내 여러 지점 대표지점을 선정하여 강우의 발생의 간단한 1차 마코프 연쇄에 의해 모의되도록 하였고 강우강도는 과거자료에서 무작위하게 추출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지점간 공간상관은 모든 지점에 대해 강우강도가 대표지점과 같은 시점의 것이 일관되게 선택되도록 함으로서 그대로 유지시킬수 있었다. 모의된 일강우자료는 평균, 분산이나 평균 무강우일수, 강우일수 등의 강우 특성은 잘 재현함을 알 수 있었으나, 원자료의 군집특성(시간축에서의)은 상대적으로 약화되어 1일 지체 상관계수가 원자료의 경우보다 작게 나타나고 있으며 아울러 평균 강우지속일수 및 무강우지속일수, 강우-강우 확률 및 무강우-무강우 확률이 원자료의 그것보다 약간 작게 나타남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단점은 유역을 대표할 수 있는 지점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서 또한 대표지점에 대한 강우발생의 상태를 무강우-강우에서 좀더 세분화함으로서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마코프 연쇄를 이용한 서울지점 일강우의 발생특성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Daily Seoul Rainfall using Markov Chain)

  • 황석환;김중훈;유철상;정성원;주진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9호
    • /
    • pp.747-75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연속자료로서 세계 최장의 기록을 보유하고 있는 서울지점의 강우량 자료를 이용하여 강우 발생특성의 장기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우선 마코프 연쇄에 근거한 전이확률 및 발생특성을 분석하여 측우기 자료의 정확성을 강우의 발생확률적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그리고 2차원 LOWESS 회귀방법을 이용하여 전이확률의 월간 장기변화특성을 분석하였다. 전이확률 및 발생특성 분석결과 원자료 계열의 CWK와 MRG는 발생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강우사상의 특성은 과거에 비해 강우사상의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각 강우사상의 지속기간은 짧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이확률의 월간 장기 변화특성을 분석한 결과, M20을 기준으로 CWK와 MRG의 무강우지속기간은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으며, 강우지속기간은 183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9월 강우지속기간의 감소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최근 강우량의 증가양상과 더불어 고려하면 강우사상의 빈도와 심도(강우강도)가 증가하는 추세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일강우자료를 이용한 강우사상의 변동 특성 분석 (Characteristic Change Analysis of Rainfall Events using Daily Rainfall Data)

  • 오태석;문영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11호
    • /
    • pp.933-951
    • /
    • 2009
  •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가 우리나라의 물순환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강우는 여러 기상인자들과 복잡한 영향을 주고 받으며 발생한다. 따라서 강우는 물순환 과정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크게 받는 인자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여러 시계열 자료를 구축하였다. 또한 강우의 발생 시계열을 연별, 계절별 및 월별로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시계열 자료의 평균과 표준편차의 변동성 분석과 경향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최근 10년 동안에 강우특성의 변화에 대한 상대오차를 계산하여 과거 자료들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에서 강우자료의 고유 특성인 무작위성에 의하여 뚜렷한 통계적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최근 10년간 강우량은 증가하였으며, 강우일수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계절별과 월별에 따른 강우특성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강우사상의 지속기간별 분포 특성을 고려한 일강우 모의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methodology for daily rainfall simulation considering distribution of rainfall events in each duration)

  • 정재원;김수전;김형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2호
    • /
    • pp.141-148
    • /
    • 2019
  • 기존의 Markov Chain 모형으로 일강우량 모의시에 강우의 발생여부를 모의하고 강우일의 강우량은 Monte Carlo 시뮬레이션을 통해 일강우 분포 특성에 맞는 분포형에서 랜덤으로 강우량을 추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강우 지속기간에 따른 강도 및 강우의 시간별 분포 등의 강우 사상의 특성을 반영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강우 사상을 1일 지속강우, 2일 지속강우, 3일 지속강우, 4일이상 지속강우로 구분하여 강우의 지속기간에 따라 강우량을 추정하였다. 즉 강우 사상의 강우 지속일별로 총강우량의 분포형을 비매개변수 추정이 가능한 핵밀도추정(Kernel Density Estimation, KDE)를 적용하여 각각 추정하였고, 강우가 지속될 경우에 지속일별로 해당하는 분포형에서 강우량을 구하였다. 각 강우사상에 대해 추정된 총 강우량은 k-최근접 이웃 알고리즘(k-Nearest Neighbor algorithm, KNN)을 통해 관측 강우자료에서 가장 유사한 강우량을 가지는 강우사상의 강우량 일분포 형태에 따라 각 일강우량으로 분배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강우량 추정 방법의 한계점을 개선하고자 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미래 강우에 대한 예측에도 활용될 수 있으며 수자원 설계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 Forecast Model for the First Occurrence of Phytophthora Blight on Chili Pepper after Overwintering

  • Do, Ki-Seok;Kang, Wee-Soo;Park, Eun-W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8권2호
    • /
    • pp.172-184
    • /
    • 2012
  • An infection risk model for Phytophthora blight on chili pepper was developed to estimate the first date of disease occurrence in the field. The model consisted of three parts including estimation of zoosporangium formation, soil water content, and amount of active inoculum in soil. Daily weather data on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rainfall, and the soil texture data of local areas were used to estimate infection risk level that was quantified as the accumulated amount of active inoculum during the prior three days. Based on the analysis on 190 sets of weather and disease data, it was found that the threshold infection risk of 224 could be an appropriate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primary infection date. The 95% confidence interval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estimated date of primary infection and the observed date of first disease occurrence was $8{\pm}3$ days. In the model validation tests, the observed dates of first disease occurrence were within the 95% confidence intervals of the estimated dates in the five out of six cases. The sensitivity analyses suggested that the model was more responsive to temperature and soil texture than relative humidity, rainfall, and transplanting date. The infection risk model could be implemented in practice to control Phytophthora blight in chili pepper fields.

지구온난화에 따른 홍수 및 가뭄 발생빈도의 변화와 관련하여 : 1. 연/월강수량의 변화에 따른 일강수량 분포의 변화분석 (On the Change of Flood and Drought Occurrence Frequency due to Global Warming : 1. Change of Daily Rainfall Depth Distribution due to Different Monthly/Yearly Rainfall Depth)

  • 윤용남;유천상;이재수;안재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2권6호
    • /
    • pp.617-625
    • /
    • 1999
  • 지구 온난화는 산업혁명이후 이미 시작되었으며 최근에 와서 그 정도가 심해지고 있다. CO2와 같은 온실기체의 증가를 가장 큰 원인으로 하는 지구 온난화의 영향이 아직 정량적으로 밝혀지고 있지만 대기순환모형(General Circulation Model: GCM)을 이용한 연구에서 이러한 온실기체의 증가가 지구의 평균온도를 상승시킨다고 밝히고 있다. 지구 온난화는 전지구적 물의 순환에도 영향을 미쳐 지구 곳곳의 강수패턴에 변화를 가져오는데 근래에 자주 발생하는 대규모 가뭄이나 홍수화 같은 극치기상이 이러한 지구온난화의 간접증거로 자주 언급되곤 한다. 국내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어서 근래에 들어 빈번한 홍수 및 가뭄을 경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홍수 및 가뭄의 빈도변화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현재상태가 지구온난화 과정의 한 시점이라는 가정 아래 현재까지 관측된 일강수량 자료를 분석하여 과거 연강수량의 증가가 일강수량의 분포에 어떤 식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보았다. 대상자료는 금강유역의 17개 지점을 선정하여 이용하였고, 분석결과로서 연강수량과 무강수일수는 상대적으로 작은 상관을 보이고 있음을 밝힐 수 있었으며 오히려 10mm이하 또는 50mm이상의 강수일수에 0.8-0.9의 높은 상관을 보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경북지방(慶北地方)의 강수(降水) 및 무강수(無降水) 현상(現象) 조사(調査) 분석(分析) (A Studay on the Rainfall and Drought Days in Kyupgpook Area)

  • 서승덕;전국진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5권
    • /
    • pp.143-157
    • /
    • 1987
  • In order to determine the design precipitation, the most probable daily precipitation and annual precipitation at every spot are calculated and iso - precipitation line are drawn. Probability of precipitation and drought phenomena of each gage station are analyzied by the method of frequency analysis from the statistical conceptions. The results summarized in this study are as the follows. 1. Annual mean precipitation in kyungpook area are 1044 mm, about 115 mm less than annual mean precipitation of Korea amounts to l1S9mm, and found to regionally unequal. 2. Monthly mean rainfall of July is 242.2mm, 23.2%, August 174.2mm, 16.7%, June 115mm, 11% and September 114.2mm, 10.9% and Rainfall depth of July-August are more than 40% of annual precipition. This shows notable summer rainy weather by typoon and low pressure storm and seasonal unbalance of water supply. 3. The relation among the maximum precipi.tation per day, per two continuous days and per three contnous days are caculated and the latter is found 31.0% increased rate of the first and the last 48.2% increased rate of first. 4. Probability precipitation in Kyungpook area are shown as 9.0%(5 year), 13.3%(10 year), 17.7%(20 year), 23.1%(50 year), 27.0%(100 year) and 31.1%(200 year) increased rate of each recurrence year compared with observed average annual precipitation. 5. From annual precipitation and maximum daily rainfall data probability of precipitation and precipitation isohyetal line are derived which shown as Table 11 and Fig. 8. 6. Drought days are divided 6 class and analysed results are shown on table 12. Average occurrence time of 10-14 continuous drought days are 2.3 time per year, 15-19 days are 0.9 time per year, 20-24 days are one per six years, 30-34 days are once per nine years and over than 35days are once per 25 years.

  • PDF

카오스를 이용한 일 강우자료의 시간적 분해 (Chaotic Disaggregation of Daily Rainfall Time Series)

  • 경민수;벨리시바쿠마르;김형수;김병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9호
    • /
    • pp.959-967
    • /
    • 2008
  • 분해기법은 일 단위 강수시계열 자료를 시간단위로 분해하는 데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시단위 자료는 홍수예측을 위하여 주요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시된 대부분의 분해기술은 강우데이터가 추계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기본 가정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모형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강우자료의 물리적 특성을 반영하는 데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우자료를 각기 다른 해상도로 변환하는데 따른 가중치의 동역학적 거동이 카오스 특성을 보이는지와 카오스적 분해가 가능한지를 비선형의 확정론적 방법(카오스이론)을 이용하여 규명하는 방안을 소개하였다. 우선, 기상청 산하 서울지점을 대상으로 24h-12h, 12h-6h, 6h-3h으로 해상도를 변환하는데 따른 가중치를 계산하여 사용하였다. 가중치 시계열자료의 카오스 특성을 규명하는 데는 상관차원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부분근사화 기법을 이용하여 강우를 분해하였다. 서울 지점의 모든 해상도 변환에 따른 가중치는 저차원의 상관 차수를 가지는 카오스 특성을 보임을 확인하였으며, 분해결과 실제 관측치와 유사한 값을 보임을 확인하였다(높은 상관계수와 작은 평균제곱근오차를 보임). 또한 강우의 일반적인 경향성(총량, 강우의 발생 시점)은 보존되나 극값의 경우 대부분 과소 추정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