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steine effect

검색결과 328건 처리시간 0.027초

D,L-ATC의 L-cysteine으로의 생물학적 전환반응에서의 균체이용 기술 (Bioconversion of D,L-ATC to L-cysteine Using Whole Cells)

  • 윤현숙;류옥희;신철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81-686
    • /
    • 1992
  • D,L-ATC의 L-cysteine으로의 생물학적 전환에 있어 균체를 이용할 때, 계면활성제의 영향, 효소의 안정성 및 연속생산공정중의 고정화 균체 반응기의 안정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계면활성제의 첨가없이 균체만을 이용할 때 반응은 매우 미미하게 이루어졌으나 SDS와 Triton X-100을 첨가할 때 cell-free 조효소액을 이용하는 경우와 비슷한 정도의 결과가 얻어졌다. 효소 활성은 $30^{\circ}C$에서 7시간 저장후 50 저하되었으며 질소가스하의 혐기적인 조건에서는 활성저하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효소의 불활성화는 효소에 대한 산소의 작용으로 사료되었다. 그러나, alginate로 고정화한 균체를 이용한 연속반응공정에서 혐기적으로 조건하에서 150시간 내에 대부분의 활성을 잃어버렸으며, L-cysteine 저해제인 hydroxylamine을 첨가할 때 효소활성이 급속히 감소되었다.

  • PDF

아스코르빈산과 티올류 및 유기산이 폴리페놀 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scorbic Acid, Thiols and Organic Acid on Polyphenol Oxidase Activity)

  • 김안근;김유경
    • 약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87-396
    • /
    • 2001
  • The effects of ascorbic acid, thiols such as cysteine, n-acetyl-ι-cyteine, glutathione, thiourea, 2-mercaptoethanol and dithiotreithol and organic acids such as magic acid, citric acid, glycolic acid, taurine and kojic acid on polyphenol oxidate (PPO) activity were studied in order to establish if it reacts with oxidized product and/or directly inhibits the enzyme.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the quantification of t-butylcatechol and 4-methylcatechol (phenolic compounds) as substates, their oxidized product and sulphydryl colorless additional compounds were determin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 (HPLC) method. Chromatographic results indicate that ascorbic acid, organic acids and lower level of cysteine reduced oxidized product of substrates back to their respective positions uf ο-diphenols. On the other hand, other thiols and high level of cysteine reacted with oxidative product of ο-diphenols and then produced sulphydryl colorless compounds. Cysteine apperars to have two types of mechanism of actions in the formation of oxidative products of substrates depending on its concentration; ascorbic acid-type and other thiols-types. The effect of ascorbic acid with thiols on polyphenol oxidase was determined by same method. Chromatographic results indicate that ascorbic acid was more reactive with oxidized product of substrates than thiols.

  • PDF

Effect of N-acetyl-L-cysteine on human chronic myeloid leukemia cells KCL22 treated with mitomycin C

  • Simonyan, Anna;Hovhannisyan, Galina;Aroutiounian, Rouben;Kim, Jin Kyu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7권1호
    • /
    • pp.31-34
    • /
    • 2014
  • The effectiveness of N-acetyl-L-cysteine (NAC) to protect blood cells against Mitomycin C (MMC) induced genotoxicity was investigated in human chronic myeloid leukemia cells (KCL22) using the alkaline comet assay. The comet assay was selected as sensitive and rapid method for analysis of DNA damage and repair in individual cells. NAC treatment alone did not produce any damage in KCL22 cell. But NAC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genotoxic damage in KCL22 cells exposed to MMC. These results confirm the literature data that, given the safety and ability to reduce DNA damage. NAC may be useful to prevent drug-mediated genotoxicity.

Effect of Activation of Porcine NT Embryos on In Vitro Development

  • Park, Ji-Hoon;Chung, Young-Ho;Rhee, Man-Hee;Kim, Sang-Keun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5권4호
    • /
    • pp.475-478
    • /
    • 2011
  •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 of cysteine and NT or bisphenol A(BP) on in vitro aturation(IVM) of porcine oocytes were examined. COCs was cultured in NCSU-23 medium supplement with 10% FCS which had previously been covered with mineral oil and equilibrated in a humidified atmosphere of 5% $CO_2$ and 95% air at $38^{\circ}C$. The IVM rate of oocytes cultured for 48 hrs in NCSU-23 medium supplement with 0.5~10.0 mM cysteine were $34.0{\pm}3.2%$, $36.0{\pm}3.5%$, $48.0{\pm}3.8%$, $22.0{\pm}3.2%$, respectively. The IVM rate of oocytes cultured in NCSU-23 medium supplement with 0.5~5.0mM NT for 48 hrs were $24.0{\pm}4.2%$, $18.0{\pm}4.9%$, $8.0{\pm}2.2%$, respectively. NT affects oocyte in vitro maturation rate in a dose-dependent. This result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The IVM rate of oocytes cultured for 48 hrs in NCSU-23 medium supplement with 1.0 mM NT+5.0 mM cysteine($38.0{\pm}4.3%$)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T treatment. The IVM rate of oocytes cultured in NCSU-23 medium supplement with 0.05~5.0 mM BP for 48 hrs were $20.0{\pm}4.7%$, $10.0{\pm}5.3%$, $6.0{\pm}3.2%$, respectively. The IVM rate of oocytes cultured in NCSU-23 medium supplement with BP was significantly lower cultured non supplement of BP ($44.0{\pm}3.5%$). BP affects porcine oocyte maturation rate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IVM rate of oocytes cultured for 48 hrs in NCSU-23 medium supplement with 1.0 mM BP+5.0 mM cycteine ($32.0{\pm}3.2%$) were increased than that of BP treatment.

Cysteine 및 Glutathione이 사람정자의 운동성지수와 정자형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ysteine and Glutathione on Motility Index and Morphology in Human Spermatozoa)

  • 윤정임;한만희;전은숙;허영문;이종인;이규승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11-218
    • /
    • 2000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ysteine and glutathione on the motility index and morphology of human spermatozoa at the sperm processing in vitro. After treating the sperm with medium containing cysteine and glutathione, we measured the motility index and morphology at 0.5 h and 24 h. 1. Following the sperm culture for 0.5 h after treating the sperm with the medium containing 0, 1, 5, 10 mM cysteine, curvilinear velocity (VCL)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control than that in all treatments. And straight-line velocity (VSL) was high at 1 mM and average path velocity (VAP) was low at 5 mM and 10 mM. But the motility (MOT) and morphology (NOM) were not different between control and all treatments. Following the sperm culture for 24 h, the MOT was significantly high in treatment groups (58.9, 74.4 and 62.3%), compared with that in control(28.7%) and the VCL was also high in treatment groups (31.4, 37.9, and 34.0 ${\mu}{\textrm}{m}$/s), compared with that in control (21.3 ${\mu}{\textrm}{m}$/s). The VSL (18.4, 21.7, and 18.9 ${\mu}{\textrm}{m}$/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10.7 ${\mu}{\textrm}{m}$/s) and the VAP (20.3, 24.7, and 21.4 ${\mu}{\textrm}{m}$/s) in treatments was also compared with that in control (12.6 ${\mu}{\textrm}{m}$/s). The NOM was not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s. 2 Following the sperm culture for 0.5 after treating the sperm with the medium containing 0, 1, 5, 10 mM glutathione, the MOT, VCL, VSL, VAP, and NOM were not different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s. Following the sperm culture for 24 h, the MOT was higher in treatment groups (82.9, 83.6, 83.4%) than in control (51.1%) and the VCL was higher in treatment groups (50.9, 51.3, and 49.4 ${\mu}{\textrm}{m}$/s) than control (34.1 ${\mu}{\textrm}{m}$/s). The VSL was also higher in treatment (17.1 ${\mu}{\textrm}{m}$/s) and the VAP was also higher in treatment groups (30.1, 32.5, and 29.7 ${\mu}{\textrm}{m}$/s) than in control (19.8 ${\mu}{\textrm}{m}$/s). The NOM was not different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s.

  • PDF

카드뮴에 의해 유도된 담배 식물의 생장, 엽록소와 rubisco/rubisco activase에 대한 salicylic acid의 전환 효과 (The Reverse Effect of Salicylic Acid on Cd-induced Growth, Chlorophyll, and Rubisco/Rubisco Activase in Tobacco)

  • 왕옥산;노광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78-787
    • /
    • 2012
  • 카드뮴에 의해 유도되는 담배의 생장, 엽록소 함량, rubisco와 rubisco activase에 미치는 SA의 영향과, 이에 대한 변성제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담배 기내생장에 대한 SA의 최적농도를 찾기 위해, $10^{-6}$ mM - $10^2$ mM SA를 처리하여 9주간 생장시킨 결과, $10^{-4}$ mM SA에서 가장 높은 생장을 보였다. SA와 카드뮴을 4개의 실험구(대조구, SA, 카드뮴, 카드뮴 + SA)로 하여 생장, 엽록소 함량 및 rubisco와 rubisco activase의 함량과 활성을 측정한 결과, 카드뮴 > 카드뮴 + SA < 대조구 카드뮴 + SA < 대조구 ${\beta}$-mercaptoethanol은 활성을 촉진시켰으며, urea, thiourea, guanidium-HCl은 억제시켰다. 이는 L-cysteine과 ${\beta}$-mercaptoethanol은 변성에 관여하지 않으며, urea, thiourea, guanidium-HCl은 변성에 관여하였음을 의미한다. Rubisco activase의 활성에 대한 변성제들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5종 모두는 비처리구와 비교하여 현저한 영향은 나타내지 않았다.

유청 유래 시스테인 함유 펩타이드의 항노화효과 (Anti-ageing Effect of Cysteine-containing Peptides Derived from Milk Whey Protein)

  • Dudek, Steffi;Clark, David C.
    • 한국유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가공기술과학회 2005년도 창립 3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움 - 웰빙시대의 우유.유제품의 새로운 발견
    • /
    • pp.13-35
    • /
    • 2005
  • 노인 인구 증가는 유럽과 미국에 걸쳐 몇 년간 관찰되어 왔지만, 일본과 한국과 같은 개발도상국에서도 증가 추세가 현저히 나타나고 있다. 개발도상국에서는 2000년, 65세 이상 노인의 인구비율이 1960년에 비해 약 5배 정도 증가했으며, 2050년에는 전체 인구의 40% 정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런 급격한 인구 변화는 이들이 특정 권리와 구매력을 지니는 새로운 사회경제적 집단으로 성장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노화가 일어나면, 식이요법으로 어느 정도 조절할 수 있는 인체의 변화가 다양하게 일어난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은 글루타치온 합성과 이용의 균형에 변화가 생기는 것이다. 글루타치온은 인체에서 가장 중요한 항산화 물질이고, 식이 내 시스테인 아미노산에 의해 체내 함량이 결정될 수 있다. 시스테인이 풍부한 펩티드 제품이 기능성 식품 및 식품원료로 개발되었다. 소비자 조사 결과, 이 제품은 숙면과 활력을 제공하는 등 장점이 있음이 밝혀졌다. 동물 임상 실험 결과를 통해 특별히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하여 시스테인 펩타이드의 생리 활성과 대사 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Serratia 배양에 의한 Serrapeptase 생성의 유도와 억제에 관한 연구

  • 노용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08-413
    • /
    • 1997
  • It was studied in order to improve the yield of serrapeptase production in fermentation that organic nitrogen sources play important roles not only as inducer, repressor and activator, but also nitrogen sources. From the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Na-caseinate on the induction of serrapeptase production, it was elucidated that real inducer was leucine and strong repressor was cysteine, which were produced through hydrolysis of proteins. Serrapeptase production was strongly induced by Na-caseinate in culture time 12 hrs, but was weakly induced before and after that time. Therefore fed batch culture where partial amount of Na-caseinate is added in 12 hrs, is better than batch culture where total amount of Na-caseinate is added at the beginning. Cysteine, methionine, MgSO$_{4}$, and so on, sulfur-containing materials, repressed the serrapeptase production. In the addition of mineral salts, chlorinated salts is better than sulfated salts because of sulfur repression. The synergic effect of soybean meal with Na-caseinate on the serrapeptase production resulted from Mn$^{2+}$ contained in soybean meal, of which the optimal concentration is 4 mM in enzyme production.

  • PDF

설프히드릴 변형 화합물질들에 의한 양배추 포스포리파제 D의 시스테인 잔기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Cysteine Residues in Cabbage Phospholipase D by Sulfhydryl Group Modifying Chemicals)

  • 고은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362-368
    • /
    • 2006
  • 포스포리파아제 D(PLD)의 8개의 시스테인 잔기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설프히드릴(SH)기와 반응하는 각종 화학물질들을 동원하였다. 5,5-다이티오비스(2-니트로벤조산) (DTNB)는 시스테인 잔기의 SH기를 적정하기 위해 이용하였으며, 412nm에서의 환원된 DTNB의 값으로부터 자연 상태의 PLD는 1몰 당 4개의 SH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8 M의 요소 등으로 3차원 구조를 교란 시킨 변성된 PLD는 8개의 SH기가 적정되었다. 이 결과로 시스테인 잔기의 반(4개)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그 나머지 반은 내부에 가려져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SH기 변형 시약인 p-클로로머큐리벤조산(PCMB), 요오드아세트산, 요오드아세트아미드, 그리고 N-에칠마레이미드 등은 모두 PLD를 비활성화 시켰다. 이들 중 다이티오스라이톨(DTT)로 처리했을 때 유일하게 PCMB에 의해 비활성화 된 PLD는 가역적으로 그 활성이 회복되었다. 다양한 작용기를 갖는 다이설파이드들을 이용한 노출된 SH기의 주위 환경을 검토한 결과 음전하나 전하를 띄지 않은 다이설파이드들이 양전하를 띈 시스타민 보다 더 효과적으로 PLD를 비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외 시스테인 잔기의 산화-환원 전환이 PLD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과산화수소 산화에 의해 70% 이상 잃은 PLD 활성은 대부분 DTT에 의해 복원되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양배추 PLD의 시스테인 잔기들이 모두 SH기로 존재한다는 것을 반응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또한 외부에 노출된 4개의SH기는 PLD 활성 조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유도결합플라즈마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어류 중 메틸수은 분석법 확립 (Establishment of Analytical Method for Methylmercury in Fish by Using HPLC-ICP/MS)

  • 유경열;반경녀;김은정;김양선;명정은;윤혜성;김미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88-294
    • /
    • 2011
  • 최근에는 전처리가 단순하며 정량 시 방해물질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메틸수은을 분리한 후 유도결합플라즈마/질량분석기로 part per billion 수준까지 정량하는 방법들의 연구가 활발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액체크로마토그래피-유도결합플라즈마/질량분석기는 메틸수은 분리 시 전처리 용액의 pH를 조절하지 않으면 피크깨짐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pH를 조절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류에 잔류하는 메틸수은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전처리 방법, HPLCICP/MS 조건, 시험법 검증의 실험을 통하여 효율적인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전처리 방법은 추출용매 1% L-cysteine HCl로 추출온도 $60^{\circ}C$에서 추출시간 120분 동안 추출하는 최적 조건을 확립하였다. 기기조건 중 HPLC에서는 시료주 입량 $50{\mu}L$, 컬럼온도는 $25^{\circ}C$에서 0.1% L-cysteine HCl + 0.1% L-cysteine 이동상으로 메틸수은을 분리 한 후, ICP-MS에서 분자량 202의 분석물질을 정량하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직선성에 대한 상관계수 값은 0.9998 이였으며,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각각 0.15, $0.45{\mu}g/kg$ 이었다. 확립된 전처리 및 기기조건을 통하여 시료별 회수율을 구한 결과 95~99%였다. 전처리 용매와 이동상에 L-cysteine이 존재함으로써 수은에 대한 안정성, Memory effect 및 피크 끌림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확립된 HPLC-ICP/MS 방법에 대해 표준인증물질을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회수율 및 상대표준편차가 각각 93~96%, 1~3%였다. 확립된 방법은 추출과정 후 별도의 전처리 과정 없이 바로 HPLC-ICP/MS를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어 메틸수은을 분석하기에 매우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