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clophosphamide

검색결과 368건 처리시간 0.027초

Surgery and Metronomic Chemotherapy in a Pet Rabbit (Oryctolagus cuniculus) with Mammary Gland Adenocarcinoma

  • Jihee Hong;Jeong-Min Lee;Ji-Young Lee;Han-Joon Lee;Dong-Kwan Lee;Joong-Hyun Song;Kun-Ho Song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445-451
    • /
    • 2023
  • An 8-year-old female pet rabbit presented at the veterinary clinic for mammary gland palpation due to the presence of a mass. Upon physical examination, a mass was identified in the left fourth mammary gland. Abdominal ultrasonography revealed a 3 × 2 cm mass in the right uterus and general thickening of the endometrium, suggesting uterine sinusitis. Multiple pulmonary nodules suspected to be metastatic lesions were identified on chest radiography. Surgery was performed to mastectomy and ovariohysterectomy (OHE). The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f the tumor revealed mammary gland adenocarcinoma (simple-type) with multiple nodules consisting of the proliferation of tumor cells forming tubules containing secretory materials, cellular debris, and solid nests with a central area of necrosis. Metronomic chemotherapy was performed with cyclophosphamide and lomustine (CCNU) based on the histopathological findings. The quality of life has been well maintained, with no specific clinical symptoms observed for 8 months after metronomic chemotherapy. To the best of authors' knowledge, this study is the first to examine the effects of metronomic chemotherapy with cyclophosphamide and lomustine in a pet rabbit.

보중익기탕가미방(補中益氣湯加味方)이 cyclophosphamide 투여로 인한 골수손상의 억제 및 회복에 미치는 영향 (Inhibiting and Repairing Effects of Bojung-ikki-tang Gamibang on Cyclophosphamide induced Bone Marrow Injuries in Rats)

  • 고흥;김동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736-742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hibiting and repairing effects of Bojung-ikki-tang Gamibang(BI-G) on the bone marrow injuries in rats. Bone marrow injury was induced by a singl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cyclophosphamide(CP)(150mg/kg). In experiment I, designed for inhibiting effect, extract of BI-G(80mg) was administrated from pre-5 days to post-5 days of CP injection. In experiment II, designed for repairing effect, extract of BI-G(80mg) was administrated after 5 days to 12 days of CP injection. Hematological an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s were performed at 5 days after CP injection in experiment I, and at 12 days after CP injection in experiment II. In experiment 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RBC(${\times}10^6/{\mu}l$) of BI-G treated group$(8.39{\pm}0.84)$ wa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control group$(7.52{\pm}7.67)$. Hemoglobin(g/dl) of BI-G treated group$(13.76{\pm}1.20)$ wa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control group$(12.24{\pm}1.11)$. WBC(${\times}10^3/{\mu}l$) of BI-G treated group$(1.75{\pm}0.41)$ wa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control group$(0.55{\pm}0.17)$. Necrotic changes of myeloid cells of BI-G treated group were less severe than those of control group. Histopathologically, distention of sinus and edematous changes of bone marrow of BI-G treated group were alleviated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In experiment I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WBC(${\times}10^3/{\mu}l$) of BI-G treated group(4.27 0.94) wa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control group$(3.02{\pm}0.79)$. Hemoglobin(g/dl) of BI-G treated group$(12.61{\pm}0.85)$ wa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control group$(11.49{\pm}0.74)$. Platelets(${\times}10^3/{\mu}l$) of BI-G treated group$(1885{\pm}133)$ wa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control group$(1616{\pm}251)$.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Bojung-ikki-tang Gamibang has the inhibiting and repairing effects on the cyclophosphamide-induced bone marrow injuries in rats.

Cyclophosphamide가 유발한 간 조직변화에 대한 느릅나무 열수추출물의 완화 효과 (Ulmus macrocarpa Hance Reduces Cyclophosphamide-induced Toxicity in Mouse Liver)

  • 김덕원;정경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23-228
    • /
    • 2021
  • Cyclophosphamide (CP)는 면역 억제제 뿐만 아니라 암 및 림프종 등의 치료에 널리 사용된다. CP는 DNA 알킬화제로서, 간세포에서 대사되어 4-hydrocyclophosphamide (4H-CYP)와 aldophosphamide로 분리된다. Ulmus macrocarpa Hance는 부종, 유방염, 종양 및 기타 염증성 질환에 사용되어 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CP의 부작용에 대하여 U. macrocarpa Hance 열수 추출물이 조직학적 수준에서 CP의 부작용에 대한 간과 신장의 보호 기능과 U. macrocarpa Hance 자체의 잠재적 독성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마우스 모델을 사용하여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H&E) 염색과 DAPI 염색으로 간과 신장을 조직학적으로 분석하였다. CP 처리한 마우스에서 간세포의 형태는 글리코겐 축적을 나타내지 않았고, 세포 밀도도 감소하였다. 그러나 UMWE+CP 처리군에서는 간세포의 형태와 세포 밀도는 정상 간세포 패턴과 유사하였다. 또한, UMWE으로만 처리한 마우스에서도 간세포의 형태와 세포 밀도는 정상 간세포와 유사했다. 신장의 경우에는 정상 마우스와 비교했을 때 H&E 염색으로는 CP 또는 UMWE 처리된 마우스의 신장에서 명백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즉, U. macrocarpa Hance의 열수추출물은 간과 신장에 아무런 영향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CP가 유발한 독성을 감소시키는것으로 요약된다. 따라서 U. macrocarpa Hance는 제약 산업에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CEA 발현 마우스 종양모델에서 Cyclophosphamide와 수지상세포 백신의 병합치료에 의한 상승적인 항종양 효과 (Synergistic Anti-Tumor Effect by the Combination of Cyclophosphamide and Dendritic Cell Vaccination in Murine Tumor Model that CEA Expressing)

  • 박미영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38-48
    • /
    • 2022
  • Carcinoembryonic antigen (CEA)는 다양한 종양에서 발현되는 자가 항원으로 면역치료에서 강력한 표지 인자이며 면역치료를 위한 표적 종양항원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수지상세포 단독 치료는 동물모델에서 종양의 발생을 억제하는 데 효과가 있지만 이미 확립된 종양을 제거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종양 면역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화학치료제인 cyclophosphamide (CYP)와 종양 특이 면역치료법인 수지상세포 백신의 병합치료 효과를 CEA를 발현하는 마우스 종양 모델에서 검증하였다. 종양세포 주입 후 2일 소종양군과 10일 대종양군에서 CYP의 항종양 효과를 비교한 결과, 소종양군에서는 100 mg/kg에서 뚜렷한 종양 성장의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지만 대종양군에서는 약한 억제 효과가 관찰되어 본 연구에서는 대종양군을 병합치료의 적합한 모델로 설정하였다. CYP 와 수지상세포 백신의 병합치료(화학면역치료) 시 종양항원 특이 면역반응이 증가되었을 뿐만 아니라 상승적인 항종양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CYP 치료에서 나타나는 체중 감소 및 조절 T세포와 골수유래 억제세포의 증가에 의한 면역억제는 화학면역치료에 의해 개선되었다. 항원 특이 면역치료를 병합한 화학면역치료가 화학치료의 부작용을 감소시키고 항종양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치료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Methylprednisolone 충격 요법만 받은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 환아의 예후 (The Prognosis of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Patients with Methylprednisolone Pulse Therapy Alone)

  • 김정아;박광식;신재일;정일천;김지홍;김병길;정현주;이재승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1권2호
    • /
    • pp.178-184
    • /
    • 2007
  • 목 적 : 1990년 Mendoza등이 스테로이드 저항성 FSGS에서 Mendoza protocol에 의한 장기간의 MP 충격 요법이 효과적임을 보고한 이후 이 치료법의 효과에 대한 보고가 있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cyclosporin이나 cyclophosphamide를 먼저 사용하지 않은 스테로이드 저항성 FSGS에서 Mendoza protocol 에 의한 장기간의 MP 충격 요법의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86년부터 2006년 사이에 세브란스병원 소아과에서 스테로이드 저항성 FSGS를 진단 받고 MP 충격 요법을 시행했던 10명의 환아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평균 발병 연령은 2.6세였으며 치료 시작시의 평균 연령은 5.7세였다. 치료 종료 후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35개월이었다 치료 종료 후 5명에서 완전 관해가 유도되었으며(50%) 2명에서 부분 관해가 유도되었으나(20%) 이 중 1명은 후에 재발하였다. 3명은 치료에 반응하지 않았으며(30%) 이 중 2명은 치료 중 말기 신부전으로 진행하여 신이식을 시행하였다. 결 론 : Mendoza protocol에 의한 장기간의 MP 충격 요법은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에서는 cyclosporin A, cyclophosphamide를 먼저 투여하지 않고 최초 치료로 사용할 경우 그 치료 효과가 좋지 않았으나 본 연구에서는 50% 정도로 효과를 보이고 있으므로 스테로이드 저항성 FSGS 환아의 초기 치료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cyclosporin A 또는 cyclophosphamide를 먼저 사용하고 효과가 없는 경우 MP 충격 요법을 시작하는 경우에도 치료 효과는 좋을 것으로 생각 할 수 있다.

  • PDF

생혈단의 골수부전 치료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The Effects of Saenghyuldan(shengxiedan) on Bone Marrow Failure)

  • 이연월;손창규;조종관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3-45
    • /
    • 2001
  • Objectives: This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e the effect of Saenghyuldan(SHD; shengxiedan) on bone marrow failure induced by cyclophosphamide(CY) and irradiation in mice. Methods: The following were performed; immunopathology, histopathlogical findings of bone marrow and in the smear of myelocyte. hematopoietic cytokine(IL-3, GM-CSF, TPO), hematopoietic stem cell colony assay, humoral immunity(LPS mitogen response), cell-mediated immunity (Con A mitogen response) and nonspecific immunity(macrophage adherence & phagocytosis) in vitro or vivo. Results: SHD showed a protective effect on bone marrow failure induced by cyclophosphamide(CY) and irradiation in mice. SHD increased lymphoproliferative responses to LPS and Con A, and activated macrophage adherence and phagocytosis to SRBC. Conclusions: We expect that SHD can be used to treat bone marrow failure and immune suppression induced by the chemotherapy or radiation.

  • PDF

항암제인 Cyclophosphamide의 중간체인 $^{15}N-Isophosphoramide$ Mustard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Cyclophosphamide Metabolite $^{15}N-Isophosphamide$ Mustard)

  • 구교임;염곤
    • 약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673-676
    • /
    • 1994
  • The each nitrogen site of ifosfamide metabolite isophosphoramide mustard was synthesized with isotope enriched nitrogen. $Gylcine-^{15}N$ was converted to $2-chloroethylamine-^{15}N$ hydrochloride which was then reacted with phenyl dichlorophosphate to provide $N,N'-bis(2-chloroethyl)phosphordiamidic-^{15}N_2$ acid phenylester(50%, $PhO(O)^{15}N(CH_2CH_2Cl_2)$. Catalytic hydrogenation of this phenyl ester followed by the addition of cyclohexylamine (CHA) provided $IPM-^{15}N$ as the CHA salt(70%).

  • PDF

녹혈이 빈혈유발 Mouse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er Blood on Aplastic Anemia Induced Mouse)

  • 김상미;하혜경;홍순복;김정숙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27-135
    • /
    • 2004
  • Hematopoietic stem cells in bone marrow form all kinds of blood cells. In traditional medicine, functions of bone marrow cells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Essence(精) which is a fundamental factor of physical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Our experiment examined the effect of deer blood on aplastic anemia induced mouse using cyclophosphamide 150 mg/kg i.p injection before experiment and then another cyclophosphamide 120 mg/kg i.p injection on day 10. Then we administrated dried deer blood in distilled water for 5 days, 9 days and 10 days. We examined blood and marrow samples. In results, deer blood showed a trend of effectiveness on recovery of red blood cells and erythropoietin although they were not statistical significant. And deer blood did not show changes in CD34.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