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clic triaxial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5초

화강풍화토의 동적 거동 (Dynamic Behavior of Decomposed Granite Soils)

  • 이종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75-183
    • /
    • 1999
  • 최근 우리나라도 내진설계의 필요성에 따라 지진시 등의 고변형률로부터 정밀기계기초에 미치는 미소변형률 진동까지 기초지반의 동적거동에 관한 연구가 점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화강풍화토는 국내에 가장 널리 분포되어 있는 대표적인 흙으로써 지반진동문제 해결에 필요한 지반계수 등의 동적거동 파악이 시급한 형편이나 이에 관한 연구는 극히 한정되어 있다. 본 연구는 수원지방의 화강풍화토에 대하여 간극비, 포화도가 다른 공시체를 제작하여 구속압력 및 반복응력비를 변화시켜 공진주시험과 반복삼축시험을 실시하여 불포화 화강풍화토의 동적거동을 고찰하였고 지반보강을 위하여 흔히 사용되는 흙-시멘트 혼합토에 대하여도 시멘트 혼합비와 간극비를 달리한 공시체에 대하여 같은 조건하에 동적거동을 구명하기 위한 두가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불포화 화강풍화토의 전단탄성계수는 표면장력에 지배되며 최적포화도는 간극비에 따라 공진주 시험인 경우 약 17%~l8%, 반복삼축시험인 경우 약 10%~l5% 로 나타났다. 또한, 수원지역의 화강풍화토에 대한 한계 변형률 범위와 평균전단탄성계수도 추정할 수 있었다. 한편, 일련의 공진주시험과 반복삼축시험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화강풍화토의 시멘트 혼합량에 따른 최대전단탄성계수 추정식을 비교적 조밀한 경우와 비교적 느슨한 경우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 PDF

반복하중에 의한 콘크리트 궤도 노반의 누적 소성 변위 예측 (Prediction of Cumulative Plastic Displacement in the Concrete Track Roadbed Caused by Cyclic Loading)

  • 원상수;이진욱;이성혁;정영훈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52-58
    • /
    • 2014
  • 노반 성토체에서 발생하는 소성 변형은 콘크리트 궤도의 안정성과 유지보수에 영향을 미친다. 철도 노반에서의 장기적인 소성 변형은 주로 반복적인 열차 통과로 발생하는 누적된 비탄성적 변형률에 의해 발생한다. 누적 소성 변형의 예측은 궤도의 유지보수와 열차의 안전한 운영을 위해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강화노반 두께를 가진 철도노반에서 발생하는 연직 변위를 계산하였다. 누적 소성 변형률을 계산하기 위한 멱함수의 상수는 삼축 실험과 실대형 재하 실험의 결과로부터 구하였다. 표준 노반 단면에 대한 3차원 유한요소해석 결과로부터 강화노반의 두께를 선정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압밀응력비에 따른 낙동강모래의 비배수전단거통 특성 (Variation of Undrained Shear Behavior with Consolidation Stress Ratio of Nakdong River Sand)

  • 김영수;정성관;송준혁;정동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83-9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류 을숙도에 분포하는 0.558%의 세립분을 함유한 자연 사질토 지반에 대하여 느슨, 중간, 그리고 조밀한 지반 상태를 재현하여 초기정적전단응력의 영향을 정적 및 동적 시험을 통해 응력경로와 과잉간극수압 소산 및 잔류변형 거동을 규명하고, Bolton 이론에 의거한 파괴시 최대 유효마찰각을 상대밀도에 의한 영향과 구속압의 영향을 고려하여 제시하였다. 파괴선과 상전이점의 거리는 초기전단응력이 증가할수록 가까워지고, 느슨한 모래의 경우 그 영향이 커서 조밀한 모래의 응력경로로 접근하는 경향을 보인다. 압밀응력비 조건이 1.4에서 1.8로 변함에 따라, 상대밀도의 증가와 함께 보다 큰 액상화 저항강도를 보이고 조밀한 상대밀도 조건에서는 유사한 CSR값을 보였다.

입도조정기층 재료의 공학적 특성 평가 및 경험적 상관모형 개발 (Evaluation of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Aggregate Base Materials and Developing the Empirical Correlation Model)

  • 권기철;이승준;이웅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15-121
    • /
    • 2010
  • 입도조정기층 재료의 역학적 특성평가를 위하여 15개 시료에 대해 반복재하 삼축압축시험, CBR 시험, 투수계수시험을 수행하였다. 입도조정기층 재료의 CBR 값은 32~110 범위(평균 81)에서 매우 폭넓게 결정되었으며, 수침조건에서 팽창량은 0.04mm 이하로 나타났다. 입도조정기층 재료의 탄성계수는 체적응력의 영향을 매우 크게 받았으며 선형체적응력모델의 적용성이 가장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입도조정기층 재료의 탄성계수는 100MPa~600MPa, 모델계수 $k_1$은 80~270, 모델계수 $k_2$는 0.1~0.6 사이에서 결정 되었다. 체가름시험과 다짐시험에서 결정된 지수물성치로부터 입도조정기층 재료의 탄성계수를 결정하는 경험모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경험모형의 결정계수는 모델계수 $k_1$ 결정에 있어서는 0.423, 모델계수 $k_2$ 결정에 있어서는 0.920, 응력단계별 탄성계수 결정에 있어서는 0.872로 평가되었다.

MASW 조사를 통한 사력댐 코어존 동적물성의 평가 (Estimation of Dynamic Characteristics of Core Zone of Rockfill Dam by Multi-channel Analysis of Surface Waves)

  • 이종욱;하익수;오병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860-868
    • /
    • 2008
  • Seismic safety analysis of rockfill dams are consist of the stability analysis as an simplifed method and the dynamic analysis as an detailed method. When high risk dams such as Multi-purpose dams were often applied detailed method by dynamic analysis, dynamic properties of dam materials such as shear modulus are considered as most important factor. Dynamic material properties such as shear modulus had to be investigated by cyclic triaxial test et al. during design and construction stage but these were not conducted because of the condition of domestic seismic design technique. MASW and SASW methods had been applied as a non destructive method to investigate dynamic material properties of existing rockfill dam, has no problems in dam safety at present. These methods were usually performed under the assumptions that the subsurface can be described horizontally homogeneous and isotropic layers. Recent studies(Marwin, 1993, Kim, 2001) showed that surface waves generated through inclined structure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ose through a horizontally homogeneous layered model. further Kim et al(2005) and Min and Kim(2006) showed that central core type rockfill dam overestimated the shear wave velocities as increasing the depth through the 3D numerical modelling dut to the effect of outer rockfill and geometrical reasons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shear wave velocities of seven rockfill dams form comprehensive facility review, was carried out from 2003 to 2007, were collected and analysed to establish the shear wave velocity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increasing confining stress in rockfill dams and surface wave velocity ranges in rockfill dam through MASW and the limitation in application are discussed to be utilized as an reference value for dynamic analysis.

  • PDF

방조제 축조 예정지반의 지진에 의한 액상화 거동 평가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Dynamic Behavior and Liquefaction Cau8ed by Earthquake of Sea Dike Structures on the Ground)

  • 도덕현;장병욱;고재만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43-56
    • /
    • 1993
  • The laboratory tests are performed on how the liquefaction potential of the sea dike structures on the saturated sand or silty sand seabed could be affected due to earthquake before and after construction results are given as follows ; 1. Earthquake damages to sea dike structures consist of lateral deformation, settlement, minor abnormality of the structures and differential settlement of embankments, etc. It is known that severe disasters due to this type of damages are not much documented. Because of its high relative cost of the preventive measures against this type of damages, the designing engineer has much freedom for the play of judgement and ingenuity in the selection of the construction methods, that is, by comparing the cost of the preventive design cost at a design stage to reconstruction cost after minor failure. 2. The factors controlling the liquefaction potential of the hydraulic fill structure are magnitude of earthquake(max. surface velocity), N-value(relative density), gradation, consistency(plastic limit), classification of soil(G & vs), ground water level, compaction method, volumetric shear stress and strain, effective confining stress, and primary consolidation. 3. The probability of liquefaction can be evaluated by the simple method based on SPT and CPT test results or the precise method based on laboratory test results. For sandy or silty sand seabed of the concerned area of this study, it is said that evaluation of liquefaction potential can be done by the one-dimensional analysis using some geotechnical parameters of soil such as Ip, Υt' gradation, N-value, OCR and classification of soils. 4. Based on above mentioned analysis, safety factor of liquefaction potential on the sea bed at the given site is Fs =0.84 when M = 5.23 or amax= 0.12g. With sea dike structures H = 42.5m and 35.5m on the same site Fs= 3.M~2.08 and Fs = 1.74~1.31 are obtained, respectively. local liquefaction can be expected at the toe of the sea dike constructed with hydraulic fill because of lack of constrained effective stress of the area.

  • PDF

현장실험 및 동적실내실험을 이용한 포항지역 동적 지반특성 평가 (Evaluation of Dynamic Ground Properties of Pohang Area Based on In-situ and Laboratory Test)

  • 김종관;곽태영;한진태;황병윤;김기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6권9호
    • /
    • pp.5-20
    • /
    • 2020
  • 2017년 발생한 포항지진에서는 계기지진 이래 처음으로 액상화 현상이 목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액상화 현상이 목격된 포항시 (1) 송림공원, (2) 흥해읍 망천리, (3) 흥안리를 대상으로 다양한 지반조사 및 실내실험을 수행하였다. 액상화 발생위치의 동적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지반조사 항목으로는 표준관입시험(SPT), 콘관입시험(CPT), 표면파탐사(MASW), 밀도검층, 다운홀테스트, 전기비저항탐사를 수행하였고, 현장에서 채취한 시료를 바탕으로 진동삼축압축 시험기를 통해 액상화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세 곳 모두 지하수위가 높고 얕은 심도에 연약한 모래층이 존재하며, 송림공원에서 채취한 모래는 주문진 표준사, Toyoura 모래, Ottawa 모래에 비해 액상화 저항강도가 작은 것을 확인하였다.

장기내구성을 고려한 EPS의 현장 적용성 (Application of EPS Considering Long-term Durability)

  • 천병식;정창희;안진현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8권6호
    • /
    • pp.53-60
    • /
    • 2007
  • EPS는 일반적으로 블록형태로 제조되어 토목공사에 이용되고 있으며, 재료특성상 초경량성 및 내압축성을 가지며 자립안정성이 우수하므로 연약지반상 성토재로 적용한 경우 침하 및 측방유동에 대한 대책공법으로 적용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보온 재료로서의 시험 방법 및 품질 규정만이 KS에 규정되어 있고, 공학적 성토 재료로서 활용하기 위한 기준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도로공사의 시험시공 및 제조사의 품질시험을 통하여 EPS 설계 기준을 마련하여 적용하고 있는데, 이것들은 주로 재료의 공장제품 즉, 새 제품에 국한되어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EPS 장기내구성에 주안점을 두어 교대측방유동 대책공법으로 EPS가 적용된 시공현장에서 채취한 EPS시료와 공장제품에 대해 반복재하시험, 동결융해시험, 흡수율시험 등을 통하여 공학적인 장기내구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축압축시험은 채취시료가 공장제품에 비해서 강도가 다소 작게 나타났으며, 삼축압축시험에서 채취시료와 공장제품 모두 일축압축 시험결과에서와 같이 구속응력은 축방향 변형량에 선형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응력-변형률 관계곡선의 양상은 구속압과 상관없이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기후변화를 고려한 포장 보조기층의 적정입도분포에 관한 실험연구 (A Experimental Study on the Proper Particle Gradation of Sub-base to Consider the Recent Climate Change)

  • 최재순;한누리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7호
    • /
    • pp.51-56
    • /
    • 2013
  • 최근, 시강우량의 최대치의 기록이 매년 바뀌고 있으며 이로 인해 도로의 침수피해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새로운 배수포장체가 개발되고 있으나 보조기층에 대해서는 별도의 고려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보조기층의 강도와 투수성을 함께 고려한 적정입도분포 기준을 제안하며, 이때 실내실험을 통해 각각의 강도특성 및 투수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실험에 앞서 국내외 보조기층 기준에 대한 시방기준을 토대로 4가지의 대표적인 입도분포를 산정하고 이를 실험하였다. 실험에 있어서 강도특성은 회복탄성계수 산정을 비교하고, 투수특성은 수직방향의 상향 및 하향 투수계수를 비교하였다. 회복탄성계수 산정은 $M_R$ 시험을 통하였으며, 이때 본 연구에서는 진동삼축시험기기를 보완하여 이를 구현하도록 하였다. 투수시험의 경우에는 2가지 투수시험이 수행되었으며, 하향의 흐름에 대한 투수시험으로는 기존의 변수위 투수시험이 적용되었고, 상향의 경우 직경 150mm의 중형 Rowe Cell 투수시험기를 이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회복탄성계수와 투수계수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포장체 보조기층의 강도특성과 투수특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적정입도분포를 선정하고, 이를 통해 적정입도기준 마련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지진규모를 고려한 중진 지역에서의 액상화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quefaction Assessment of Moderate Earthquake Region concerning Earthquake Magnitude of Korea)

  • 김수일;박근보;박성용;서경범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125-134
    • /
    • 2006
  • 기존의 액상화 평가방법은 대부분 미국, 일본 등 지진 발생빈도가 높고 그로 인한 액상화 피해가 빈번한 국가에서 주도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개발된 액상화 평가방법들은 큰 지진규모(M=7.5)에 기초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1997년 실제적인 내진연구가 시작된 이래 액상화 평가의 구체적 규정이 제정되었으나, 내진설계기준에서는 실지진하중을 등가의 전단응력으로 간편화한 경험적인 방법과 실내진동실험에 의한 액상화 상세평가 방법을 통해 액상화 평가를 수행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실제 지진하중의 특성을 평가과정에서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실제 지진파 고유의 특성을 적용한 진동삼축실험을 통하여 상대밀도와 실트질함유량의 변화에 따른 액상화 저항강도를 산정하였다. 실험결과를 토대로 국내의 대표적인 항만지역의 지진응답해석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중진지역에 적합한 액상화 평가 생략기준을 제시하였다. 또한 액상화 평가시 정현하중 사용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쐐기하중 및 선형증가쐐기하중 실험을 수행하여 하중 변화에 따른 액상화 저항강도 특성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