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stomized service

검색결과 719건 처리시간 0.032초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를 위한 제언 (Recommendations on the Public Library Services for Older Adults)

  • 김은지;이성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59-7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 현황을 노인 이용자들과 사서들의 인식 조사를 통해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보다 나은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를 위한 실질적 제언을 하고자함에 있다. 노인 이용자와 사서들의 노인서비스에 대한 인식 조사를 위해 ALA 서비스 가이드라인을 활용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인터뷰자료는 질적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인 이용자들은 다음과 같은 열 가지 사항이 노인 서비스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다양한 맞춤형 평생교육 프로그램, 둘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강사진의 우수한 자질과 이의 유지를 위한 정기적인 평가, 셋째, 다양하고 새로운 정보자원의 제공, 넷째, 도서관 서비스 및 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 홍보, 다섯째, 도서관 직원의 친절한 태도 및 전문성 유지, 여섯째, 정기적인 도서관 직원 교육, 일곱째, 노인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 편의와 활성화를 위한 이용자 교육, 여덟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맞춤형 자료, 시설 및 설비, 아홉째, 여가 시간 활용을 위한 공간으로서의 도서관의 역할, 열 번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편리한 맞춤형 도서관 서비스. 이에 덧붙여 도서관 사서들은 다음의 네 가지 사항이 노인 서비스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맞춤식 서비스와 프로그램, 둘째, 노인 이용자를 위한 장서, 시설 및 설비, 셋째, 노인 서비스를 위한 예산 확보, 넷째, 노인 서비스를 전담할 수 있는 전문 인력. 두 집단 모두 노인이용자를 위한 맞춤 서비스, 프로그램, 장서, 시설, 설비가 필요하며 노인 서비스 전문 사서와 이들을 위한 정기적인 교육이 노인 서비스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맞춤형 서비스 경험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 연구 (A Grounded Theory Approach to the Procedure of Customized Service Experiences)

  • 김채리;이정훈;권원진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6권1호
    • /
    • pp.39-51
    • /
    • 2019
  • As data grows rapidly, the provision of appropriate information needed by individuals has become an area of new services, and customized services which is enabling the analysis of optimal services through collecting, storing, and analyzing personal data are emerging in many fields. 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customized services based on various information collected by customers during the use of the service, the problem of privacy infringement is raised at the same time, and many studie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seeks to explore how the customer's in-depth and customized services has an impact on their customers, which has not been derived from quantitative research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Through this, 84 concepts, 33 subcategories, 13 Categories and paradigm models were derived. In addition,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OBA)' was derived as a core category, and finally, acceptance types of OBA were classified into 'positive acceptance type', 'indifferent type', 'calculating type', and 'active resistance type' based on the key categories. This study divides the acceptance types of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through the emotions and behaviors of the consumers throughout the procedure of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experiences. In addition to the statistical and quantitative information currently used for providing behavioral advertising, it provides new criteria to reflect the refinement of behavioral advertising and personal tendencies or characteristics.

노인 대상 맞춤형 운동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및 사용성 평가 (Development of Customized Exercise Service Program for Elderly and Evaluation of Usability)

  • 송요한;박일현;곽선영;이현민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51-160
    • /
    • 2022
  • PURPOSE: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a kiosk-based healthcare service that provides a fitness evaluation and customized exercise program for elderly or chronic musculoskeletal system patients. METHODS: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the customized exercise service program, healthy adults (n=20) from Welfare B, located in Gwangju, were selected and studied. Subjective safety, operability, and satisfaction of individual users were obtained as data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subjects who experienced this program and having them fill out the questionnaire. For descriptive statistics related to the survey,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frequency and ratio of the variable values of the measurement items. RESULTS: As a result of the usability evaluation, the average score was 4.166, and the average score of each item was 4.025 for safety, 4.272 for operability, and 4.143 for satisfaction. Most users obtained high satisfaction and positive impressions. CONCLUSION: The HARUFIT service, a user-customized exercise program used in this study, can be developed into a device that can improve self-management ability and increase understanding of health care by providing customized exercise based on the results of physical fitness evaluation. It is possible to diversify health management methods and maximize the effect of exercise by making exercise a habit of chronic musculoskeletal disease patients or the elderly using these smart devices.

생활 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맞춤형 스포츠 융합 콘텐츠 큐레이션 시스템 설계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Curation System of Customized Sport Convergence Contents for Activation of Sport for All)

  • 이현호;이원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96-404
    • /
    • 2016
  • In this paper, the customized sport convergence contents curation system is proposed for activation of sport for all. The proposed system collects and analyzes profile of social sports group(club, society, etc.) for recommend optimized sport convergence contents to user. And the survey is progressed for research problem of existed service and usefulness of proposed service. The proposed system and service are expected to design innovative new service model for activate of sport for all.

에이전트를 이용한 맞춤형 코스웨어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ustomized Courseware using Agents)

  • 허선영;김은경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3A권5호
    • /
    • pp.473-480
    • /
    • 2006
  • 최근 웹을 기반으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 원격 교육 시스템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학습자 개개인의 수준이나 학습 패턴에 맞는 맞춤형 코스웨어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원격 교육 시스템들이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학습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학습자가 학습 도중에 흥미를 쉽게 잃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최근에는 개개인의 학습 수준과 학습 패턴을 자동으로 분석하여 차별화 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활용을 학습하기 위한 목적으로, 교수/조교/학생/모니터 에이전트라는 4종류의 에이전트가 서로 협력하여 학습자에게 적합한 학습 내용을 제공하는 맞춤형 코스웨어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맞춤형 NFT 제작 및 거래 서비스 디자인 개발 (Customized NFT Production and Trading Service Design)

  • 정혜경;고장혁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9-103
    • /
    • 2023
  • NFT technology is mostly used to create digital drawings, characters, and items, and to simply buy and sell, but research and development to spread to various contents of NFT are somewhat marginal.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Depending on the exercise performance, it allows users to create and trade custom NFTs. In addition, it supports users to own customized digital works through exercise performance or to make money by trading them. Through it, the aim is to enhance users' positive interest in exercise and provide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customized NFT creation and trading services that can help them develop exercise habits.

  • PDF

자원봉사 연계 유무에 따른 방문보건 노인대상자의 건강상태, 삶의 질 및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서비스 만족도 (Elders' Health Status,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with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Depending on Connection to Volunteerism)

  • 박지은;김정남;권윤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48-457
    • /
    • 2010
  •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elders' health status,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with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depending on connection to volunteerism. Methods: A total of 400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August of 2009 and the measurement tool used for this study was the house visiting health service recording sheet recommended by the Ministry of Health.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on elders' health status in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depending on connection to volunteerism, elders' connected to volunteerism positively showed a high level in functional health status areas such as daily life performance ability, instrumental daily life performance ability and Joint exercise capacity, and in the quality of life area.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complementary information when resources and networks are used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house visiting health service subjects.

초.중등 영어교사를 위한 맞춤형 심화 연수 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intensive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models for elementary/secondary school teachers of English)

  • 이문복;이노신;조민철
    • 영어어문교육
    • /
    • 제16권3호
    • /
    • pp.269-289
    • /
    • 2010
  • The present study reports on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intensive in-service English teachers training programs (IIETTP) reflecting on the demands of elementary/secondary school English teachers. For the purpose of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033 English teachers at elementary/secondary schools across the country. The results showed by and larg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school level, albeit some slight differences were revealed such as in training times, training methods, the percentages of teaching English in English (TEE), and other things. Since the two IIETTP models are presented as basic formats, they can be modifi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contexts of schools and the demands of trainees.

  • PDF

이용자맞춤형정책정보서비스 수요분석 연구 (A Study on Need Analysis for User-Customized Policy Information Services)

  • 곽승진;노영희;김동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75-10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정책정보 이용자의 수요 및 요구조사와 맞춤형서비스 사례분석을 기반으로 이용자맞춤형정책정보서비스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용자맞춤형서비스 관련 문헌분석, 사례조사, 그리고 정책정보 수요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맞춤형정책정보서비스가 제공해야 할 세부적인 서비스를 정보검색 및 자료제공서비스, 참고정보서비스, 정책정보 네트워크 서비스, 도서관 마케팅서비스, 개인화서비스 등으로 제안하였다.

지하공동구 관리를 위한 고속 검색 데이터 생성 및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방안 설계 (Design of Data Generating for Fast Searching and Customized Service for Underground Utility Facilities)

  • 박종화;전지혜;박구만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390-397
    • /
    • 2021
  • 디지털 트윈 기술을 다양한 산업 분야에 응용함에 따라 대용량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기술들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하 공동구 관리를 위한 대용량 데이터를 고속 검색하고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 방안에 대해 논한다. 제안하는 방안은 크게 두 가지로 방대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축약해서 보여주기 위한 고속 검색 데이터 생성 방법과 맞춤형 정보 서비스 분할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고속 검색 데이터 생성에서는 지하 공동구 내 센서들에 의해 수집되는 시계열 분석을 위한 동기화 과정에 대해 구성과 데이터 축약에 따른 부가정보 방안에 대해서 논한다.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방법에서는 평상시와 재난 시의 사용자 유형을 정의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하는 방법에 대해 논한다. 본 연구를 통해 재난 상황에서 대용량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검색하고 서비스 받을 수 있는 지하 공동구 관리를 위한 데이터 생성과 서비스 모델에 대한 체계성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