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stomer service factor

검색결과 893건 처리시간 0.029초

향토음식점 이용고객의 구전정보 이용 특성 분석: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 of Word-of-Mouth(WOM) Information in the Customers of Korean Local Food Restaurants: Focused on Jeonbuk Area)

  • 김철호;차진아;최미경;정현영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0-32
    • /
    • 2011
  • 본 연구는 향토음식점에 대한 구전정보에 대한 고객행동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전북지역 거주자 500명을 대상으로 총 455부(회수율 91.0%)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향토음식점에 대한 구전정보 중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정보원에 있어서는 '직접 경험해 본 주위사람들의 추천'$(M=3.57{\pm}1.24$)과 '주변사람들을 통한 구전'($M=3.52{\pm}1.20$)이 높게 나타났고, 향토음식점에 대한 구전정보를 구할 때 소비자들이 중요시하는 속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에서는 '음식의 맛'($M=4.16{\pm}1.15$), '음식점의 종사원 서비스'($M=3.79{\pm}1.11$)를 가장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토음식점을 주위사람들에게 추천을 하는 동기에 대해 분석한 결과 '맛, 영양, 품질 모두 현지에서만이 유지할 수 있으므로'($M=3.53{\pm}1.10$)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향토음식을 통해 지역 방문 기약을 오래도록 남기기 위하여'($M=3.52{\pm}1.03$), '향토음식을 구전을 통해 적극적으로 알릴 필요가 있으므로'($M=3.51{\pm}1.06$)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의 향토음식점에 대한 추천이 음식 자체의 품질과 방문지역의 특성에 있음 보여준다. 연구결과 향토음식점에 대한 고객행동에 있어 구전정보의 중요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 PDF

철도물류 활성화를 위한 철도정거장 개량 연구: 피기백(Piggy Back)시스템 도입을 중심으로 (A Study on Railroad Yard Reform for Vitalizing Freight Movement by Railroad: Focused on the Introduction of Piggy Back System)

  • 박일하;박용걸;김시곤;김연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7-238
    • /
    • 2014
  • 철도투자의 필요성은 누구나 공감하고 정부에서도 지속 투자를 시행하고 있으나 철도의 화물수송 분담률은 오히려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다빈도, 신속, 신뢰성을 요구하는 즉시인도(Just In Time: JIT)와 문전수송 (Door to Door) 등 고도화되는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지난 114년 동안 구축된 철도인프라 시설이 점점 효용가치를 잃어 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철도수송의 근본적인 문제점인 문전수송(Door to Door)을 해결하지 않고는 도로수송을 철도수송으로 전환하는 것은 어렵다고 보고 도로에서 철도로의 전환(Modal Shift)이 가능하도록 철도수송 시 철도화물역에서 최종목적지로 환적없이 화물자동차를 직접 운반하는 피기백(Piggy Back)시스템이라는 신개념을 정립함으로써 문전수송(Door to Door)에 의한 철도화물 수송의 경쟁력 확보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피기백(Piggy Back)시스템 적용방안으로는 짧은 기간 내에 적은 투자비로 즉각 시행이 가능하도록 지난 114년 동안 구축된 기존 철도인프라를 활용하는 정거장 배선계획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세부 열차운행방안 및 피기백시스템 도입시 건축한계 등 기술적인 검토를 시행함으로써 연간 국가 물류비를 약7조원이상 절감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방안을 우리나라 최초로 제시하였다.

유튜브 플랫폼을 통한 외식 문화 수용에 대한 소비자 주관성 연구 (A Study on the Subjectivity of Consumers to Accept the Culture of Eating out through the YouTube Platform)

  • 김성용;김동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414-423
    • /
    • 2020
  • 본 연구는 현재 많이 사용하고 있는 플랫폼 중 하나인 유튜브를 통한 외식문화 수용이 소비자 인식에 관한 주관성 연구를 가지고 유튜브 플랫폼을 사용하는 소비자 입장에서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유튜브 플랫폼을 통한 외식 문화 수용으로 인하여 얻을 수 있는 마케팅 효과를 설립하기 위하여 소비자 주관적 관점을 파악하고 분석하고자 Q-방법론을 선택하였고 탐색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진술문카드를 응답자가 분류하는 방식으로 분석 작업을 행하였고 Q모집단을 선정하여 구성한 후 이를 통해 진술문을 작성하여 P샘플을 선정한 후 분류작업을 통해 얻어지는 Q-sort를 PC QUAN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Q요인분석을 통해 분석 실행하였다. 분석결과 총 4가지의 유형으로 분류 되었으며 제1유형[(N=6): 선호음식과 대리만족형], 제2유형[(N=3): 비감성 선호음식형], 제3유형[(N=14): 정보획득 선호음식형], 제4유형[(N=2): 부정형] 등으로 각 유형마다 각각의 특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나온 각각의 주관적 의견은 추후 다양한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며 향후 유튜브 관련 마케팅 및 소비자 외식 문화 수용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패밀리 레스토랑의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마산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Effect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on Brand Loyalty in Family Restaurants)

  • 김현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4호통권94호
    • /
    • pp.495-50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패밀리 레스토랑에 있어서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이 고객의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마산 지역에 위치한 K 대학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내용으로는 인구통계학적 자료, 패밀리 레스토랑 이용실태,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 그리고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2005년 11월 20일부터 24일까지 총 32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72부가 회수되어 85.0%의 회수율을 보였다. 본 조사를 위한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 결과 Cronbach's alpha 계수가 0.7이상으로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었으며 타당도 검증 결과 60%이상의 설명력을 나타내 높은 타당성을 나타내었다. 패밀리 레스토랑의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독립변수)이 브랜드 충성도(종속변수)에 영향 미치는 지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은 36.1%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의 5개 구성 요소(자아연계적 애착, 만족도, 신뢰, 몰입, 친밀감) 중에서 만족도와 친밀감의 2개 구성요소가 유의수준 p<0.01에서 유의적으로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이 강하게 형성될수록 소비자의 브랜드 충성도가 높아지는 것임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향후 패밀리레스토랑 운영자들은 궁극적으로 소비자의 브랜드 충성도 형성을 통한 꾸준한 매출과 성장을 위하여서는 기존의 브랜드에 대한 홍보보다는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을 강하게 형성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강화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외식업 점포 선택요인이 신뢰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Restaurant Factors on Trust and Revisit Intention)

  • 송인암;신창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161-168
    • /
    • 2017
  • 본 연구는 외식업 점포 선택요인이 신뢰도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여 실증분석을 한 결과 첫째, 외식업 점포 선택요인은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외식업 점포선택요인인 물리적 환경, 서비스, 가격, 위치, 명성, 청결도, 친절, 맛 등을 고려하여 일반 소비자는 선택함으로 이에 대한 만족이 높으면 재방문 의도도 높아지는 확인 되었다. 둘째, 신뢰는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점포에 대한 믿음은 소비자의 신념을 통해 재방문을 적극적으로 고려 하는 것으로 판단해볼 수 있다. 셋째, 외식업 점포 선택요인은 신뢰에 따라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외식업 점포 기준에 따라 소비자는 선택하게 되고 만족을 하게 되면 신뢰가 생성되어 재방문 의도를 높인 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외식업 점포 선택요인과 신뢰는 재방문 의도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외식업 점포 선택 요인은 신뢰에 따라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여 이론과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의료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측정 도구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Satisfaction Tool to Health Care Services - focused on Patients and their families -)

  • 강소영;이선미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04-124
    • /
    • 1996
  • Background : In these days, the health care organizations have concerned about customer-centered care in order to empower the competitiveness on the health care markets. The departments working for quality management of the hospitals have used health care quality indicators in terms of medical areas as well as service areas of the hospitals. However, there were insufficient efforts to develop the credible measurement to seek the customers' needs, their expectations and their satisfaction levels related to health care services because various kinds of challenges were in the process of scale development to measure customers' satisfaction in health c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atisfaction scale to health care services in a Korea health care organization and to test its tool with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 : The concept of this tool was acceptability that one of the components of health care quality defined by Donabedian. Acceptability has the five dimensions of concept: Accessibility; Patient-Practitioner Relations; Amenities; Patient Preferences as to the effects of care; and Patient Preferences as to the costs of care. The Satisfaction Tool to Health Care Services was reviewed by expert panel with five researchers, including hospital managers and a professor related to quality management of the hospitals. As a result, the content validity index was .84 in the outpatient satisfaction tool. The inpatient satisfaction tool had .87 of the content validity index. The Satisfaction Tools to Health Care Services finally consisted of 44 items for outpatients/their families and of 60 items for inpatients/their families. Study subjects of the construct validity test were 479 outpatients/their families and 561 inpatients/their families who visited or admitted at a University hospital from July 1, 1996 through August 10, 1996. The data were examined by Factor Analysis with SPSS. Result : The items of Satisfaction tools for outpatients/their families were categorized by eleven factors with eigenvalue greater than 1.0 accounting for 64.2 percent of the variation in item scores. Also, the items of inpatient tool had eleven factors with eigenvalue greater than 1.0 accounting for 60.3 percent of the variation in item scores. The reliability of overall scale were .95 and .96 for the outpatients/their families satisfaction scores and inpatient/their families satisfaction scores.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ith eleven factors was ranged from .30 to .94 for inpatients/their families. The Satisfaction Tool with eleven factors for inpatients/their families ha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ranged from .53 to .89. Conclusion : The Satisfaction Tools to Health Care Services focused on outpatients/their families and inpatients/their families developed in this study had a high reliability and the strong evidence of content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based on quality concept. Therefore, this tool would be utilized as a credible quality indicator of health care services to assess the quality problems and to monitor the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in Korean Health Care Organizations.

  • PDF

블랙컨슈머 행동지각이 미용 종사자의 분노표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lack consumers' perception of behavior on beauty workers' anger and intention to change jobs)

  • 윤수미;최묘선;서은희;윤미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83-193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블랙컨슈머 행동지각이 미용종사자의 분노표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지역 뷰티 서비스 종사자를 중심으로 2021년 11월 1일부터 2022년 1월 31까지 3개월 동안 40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최종 392부가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위해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이해하기 위해 요인분석, 신뢰도분석을 수행하였고,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블랙컨슈머의 과도성과 억지성은 분노표출과 분노억제,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이 나타났으며, 분노표출과 분노조절은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이 나타났다. 따라서 블랙컨슈머의 과도한 문제제기나 억지성 서비스에 대한 근절방법이 필요하며, 조직원들의 올바른 고객응대 방법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브랜드 애착, 브랜드 네임, 브랜드 이미지 일치성이 태도, 구전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rand Attachment, Brand Name, and Brand Image Congruence on Brand Attitude, WOM and Revisit Intentions in the Restaurant Sector)

  • KIM, Eun-Jung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3권2호
    • /
    • pp.53-66
    • /
    • 2022
  • Purpose: How to build the attitude on brand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affects the positive word of mouth and revisit intention. Brand attachment, brand name, and image congruence play important role on consumer behavior in terms of reinforcing consumers' perception of food service companies and differentiating them from competing brands. Following the planned behavior theory,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linking brand attitude to word-of-mouth and revisit intentions in the restaurant sector.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paper examin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brand attachment, brand name, image congruence, brand attitude, WOM, and revisit intention. In order to test the purposes of this study,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developed.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modified and us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studies. All constructs were measured by multiple items tested and developed in the previous research. The study is based on the quantitative method and considered 519 questionnaires fulfilled by customers of restaurants. The data were explored employing the partial least square-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PLS-SEM).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To meas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Structural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Result: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brand attachment and brand name had positive effects on attitude while image congruence did not have. Also, attitude had positive effect on WOM and revisit intention. Conclusions: This study expands the literature about WOM and revisit intentions. This study expands prior research in a similar field to which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is applied, and reveals that brand attachment, brand name, and brand image congruence play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brand attitude that affect revisit intention and WOM. And provide guidelines on how to enhance competitiveness in the restaurant sector based on understanding of linking brand attitude to customer loyalty and repeat business. By putting into practice these suggestions in the restaurant industry, brands can easily build up their attitude and boost a positive WOM and the intention to revisit.

문화예술 광고 플랫폼 앱의 사용자 경험(UX) 연구: 허니콤 모델을 통한 비판적 사례분석 (User Experience (UX) Analysis of Advertising Platform Mobile Applications for Culture and Arts Content: Critical case study based on the UX Honeycomb model)

  • 안혜진;이승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1-18
    • /
    • 2022
  • 본 연구는 문화예술 광고 플랫폼 앱을 중심으로 앱의 사용자 경험을 비판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이는 관련 앱의 방향성을 검토하고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대안적 접근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닌다. 본 연구는 '무비프리' 앱을 선정한 후 휴리스틱 검사법을 활용하여 심층적으로 탐색하였으며 그중 허니콤 모델을 재구성하여 해당 사례의 유용성·사용성·매력성·검색성·접근성·신뢰성을 분석하였다. 첫째, 가격 요소에 대한 사용자의 호의적 반응이 콘텐츠와 인터페이스의 유용성과는 큰 상관관계가 없기에 독창적 가치를 통해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점해야 한다. 둘째, 소비자 경로 프로세스 분석 결과 사용자들은 앱에 대해 인지한 첫 순간부터 서비스와 연속적으로 교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용자가 앱의 이용에 불편을 느끼면 사용자와 앱 상호간의 장기적 관계를 구축하는 데 실패요인으로 작용한다. 마지막으로 양질의 문화예술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으리라는 사용자의 기대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브랜드의 정체성을 명확하게 수립하고 제품 인지도 향상 전략을 꾀해야 한다.

The Effect of P-O Fit on the Frontline Employee's Boundary Spanning Behaviors: Mediating Role of Emotional and Motivational Responses

  • Yoo, Jaewon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5권2호
    • /
    • pp.49-73
    • /
    • 2013
  • In this study, the author develops and tests a model that incorporates the mediating effects of two frontline employee psychological variables (emotional exhaus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based on job demand and resource model. As a form of environmental resource, person-organization fit was proposed as a leading factor of frontline employee boundary spanning behavior through emotional exhaus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All measures were adapted from or developed based on prior research.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a cross-sectional sample of retail bank employees in South Korea.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500 frontline employees across several banks. Of these, 322 usable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To analyze the data, a structural equation model procedure using LISREL 8.5 was employed. Results show that an employee's perceived fit with his/her organization enhances intrinsic motivation and reduces emotional exhaustion. These mechanisms, in turn, increase the employee's boundary spanning behavior. These results support the notion that person-organization fit should be one of the factors affecting motivation, affect and attachment, and extends such an understanding to a purely service-based environment among customer contact employees. Results also confirms that P-O fit can be viewed as environmental resources, and the JD-R model provides a theoretical base in further studying the antecedent role of P-O fit on frontline employees's boundary spanning behavior through intrinsic motivation and emotional exhaus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organizations have to do their best to manage P-O fit, be it through employee screening or training and workshops to try and align organization and employee values and objectives. If managers of organizations are positively evaluated by the employees, it will be easier for them to, give things of value to employees, such as sense of direction, values, and recognition, and receive other things in return such as esteem and responsiveness. Consequently, organizational leaders are not only able to manage employee experiences, but also their fit with the organization. Even if a manager cannot control employee P-O fit, this research suggests, that a focus on reducing emotional exhaustion rather than increasing intrinsic motivation seems optimal. This research also supports the idea that motivation has a direct association with a frontline employee's boundary spanning behavior. Even in situations where emotional exhaustion cannot be reduced, organizations may still influence frontline behaviors through motiv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