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y sauce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초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Ramen Sauce on Bovine Tooth Discoloration

  • Ha-Eun Kim;Hee-Jung Lim;Hyeon-Gyeong Noh;Hye-Min Bae;Hye-Young Lee;Do-Seon Lim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0-28
    • /
    • 2023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ramen sauce on tooth tone changes over time, after selecting three different ramen colors from the ramens sold in the market, and applying the sauce to bovine teeth. Methods: Healthy bovine teeth were selected, and cutting discs were used to produce 60 specimens (5× 5× 3 mm), with 15 specimens distributed per county. Three types of ramen (buldak, chacharoni black bean sauce, and ottogi curry noodle) were us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water was used as the negative control group. Tooth tone measurement was performed using a spectrophotometer (CM-700d) to measure the color before and after 1 (3 h 44 min), 2 (7 h 28 min), 3 (11 h 12 min), and 4 weeks (14 h 56 min). Analysis of the color tone change was performed using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sion 28. Resul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color tone change before and after immersion. L* indicated the largest change in black bean sauce ramen, a* indicated buldak ramen, and b* indicated the largest change in curry ramen. The amount of color change (∆E*) was the largest in curry ramen, followed by buldak and black bean sauce ramens. The results of the post-hoc analys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ll groups except buldak and black bean sauce ramens. Conclusion: All three types of ramen revealed significant color change before and after immersion, and curry ramen showed the largest amount of color change among them.

레토르트 카레 소스 생산을 위한 최적살균 조건의 설정 (Determination of Optimum Sterilization Condition for the Production of Retort Pouched Curry Sauce)

  • 정명수;차환수;구본열;안평욱;최춘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23-731
    • /
    • 1991
  • 레토르트 카레 소스를 생산하기 위한 최적 살균 조건을 산출하기 위하여, $3^{2}{\times}2^{1}$ 요인 실험을 통하여 살균 온도, 시간 및 방법을 변화시켜 18개 조건에 대한 살균 공정이 행하여졌다. 살균 전후의 제품에 대한 품질평가 항목은 비타민(niacin) retention, pH, 색차 및 관능 검사(맛, 색상, 점도)등 이었다. 각 살균 조건에 대한 $F_{o}$ 값도 측정되었다. 살균 후 제품의 품질은 주로 살균 온도 및 시간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살균 방법에 의해서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품질을 저하시키는 영향에 있어 살균 시간의 연장이 살균 온도의 상승보다 큰 영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고온 단시간 살균의 장점을 제시해준 결과라 하겠다. 반응 표면 분석에 의해 추정된 최적 살균 범위는 $123.5^{\circ}C$, 21.5분-$127.5^{\circ}C$, 17분 부근이었다. 이 범위에서 측정된 냉점에서의 $F_{o}$ 값은 15분 정도였다.

  • PDF

발효강황가루 첨가 수준이 카레소스의 항산화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ermented Curcuma aromatica Salisb. powder addition levels on antioxidativ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urry sauce)

  • 라하나;변양수;박지현;김혜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24-33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레토르트 포장형 간편가정식용 카레소스의 커리가루 함량보다 일반강황 및 발효강황 가루의 첨가량을 각각 1%와 2% 강화시킨 간편가정식용 건강지향적 카레소스를 개발하여 항산화 및 관능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일반강황가루와 발효강황가루 첨가량이 강화된 카레소스의 색도 측정 결과, 명도 L값은 발효강황가루를 첨가한 시료군이 일반강황가루를 첨가한 시료군보다 유의적으로 어두운 것으로 측정되었으나(p<0.05),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의 L값이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p<0.05). 카레소스의 pH는 대조군이 5.93의 값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발효강황가루를 첨가한 시료군이 일반강황가루를 첨가한 시료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pH를 나타내었다(p<0.05). 카레밥의 경도는 발효강황 2% 첨가군인 FC2가 42.67의 값으로 대조군 52.00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p<0.05), FC1은 대조군의 경도에 비해 다소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총 페놀함량 측정 결과, 일반강황 및 발효강황가루를 첨가한 시료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p<0.05), 발효강황가루 첨가 시료군이 일반강황가루 첨가 시료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p<0.05). 관능적 특성강도 분석결과, 카레밥 고유의 맛은 발효강황 강화 시료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 되었다(p<0.05). 매운맛과 쓴맛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발효강황을 첨가한 FC1, FC2시료군이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거나 더 약하게 평가되었다(p<0.05). 소비자 기호도 검사 결과, 발효강황 1% 강화 시료인 FC1의 카레 고유의 맛, 매운맛, 쓴맛 및 전반적 기호도 등은 대조군과 유의차를 보이지 않은 반면에 FC2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차가 없거나 유의차는 있으나 약간 낮게 평가 되었다(p<0.05). 이와 같이 항균, 항염, 항암 등의 활성을 나타내는 강황을 이용하여 카레 고유의 맛은 지키면서도 매운맛 및 쓴맛을 개선할 수 있도록 발효하여 제조한 발효강황가루의 함량이 강화된 카레소스는 기존의 카레소스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높고, 소비자 기호도가 떨어지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발효강황가루 첨가량이 기존 커리가루 대비 1% 증가된 FC1의 경우, 관능적 특성강도 및 기호도 검사 결과에서 대조군 카레소스와 유의차를 보이지 않아 발효공정을 이용한 간편가정식용 가공식품의 관능적, 항산화적 품질 개선 및 제품의 고품질화를 통한 고부가가치화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Determination of 4-Methylimidazole and 2-Acetyl-4(5)-tetrahydroxybutylimidazole in Caramel Color and Processed Foods by LC-MS/MS

  • Kim, Tae Rang;Kim, Su Un;Shin, Young;Kim, Ji Young;Lee, Sang Me;Kim, Jung Hu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8권4호
    • /
    • pp.263-268
    • /
    • 2013
  • In this study, the quick HPLC-MS/MS method for the simultaneous separation of 2-acetyl-4(5)-tetrahydroxybuthylimidazole (THI) and 4-(5)-methylimidazole (4-MI) in alkaline medium was used for caramel color and processed foods in Korea. After a simple sample pretreatment, 51 4-MI-labeled samples were positive for 4-MI and 2 also contained THI. The concentration of 4-MI was 260.5~24, $499.3{\mu}g/kg$ in caramel color, less than $LOD{\sim}1,712.5{\mu}g/kg$ in sauce, 1,242.3, $5,972.2{\mu}g/kg$ in balsamic vinegar, $2,118.3{\sim}5,802.4{\mu}g/kg$ in complex seasoning, $82.7{\sim}5,110.6{\mu}g/kg$ in curry, and $29.9{\sim}464.4{\mu}g/kg$ in soft drinks. The recovery rate of 4-MI was 97.1~111.0% in sauce and 81.9~110.0% in powder and that of THI was 83.6{\sim}106.4% in sauce and 61.2{\sim}99.4% in powder. Our results concluded a safe amount of 4-MI and THI compared to the limit of Korea additive code but the processed foods do not have a limit of caramel color and 4-MI in Korea. Therefore, research and monitoring of 4-MI and THI is needed for processed foods in Korea.

열수식 살균기의 온도 분포에 관한 연구 (Temperature Distribution in Water Cascading Horizontal Retort)

  • 정명수;안태회;이용갑;유무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27-833
    • /
    • 1995
  • 살균 매체로서 스팀에 의해 가열된 열수와 공기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열수식 살균기에 대하여 1회 살균시 파우치의 투입량을 달리 하면서 온도 분포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살균 tank의 부피는 5,900 liter정도이며 190g 용량의 레토르트 파우치를 최대 6000개까지 한번에 살균할 수 있다. 설정 살균 온도 및 시간은 $122^{\circ}C$ 및 23분이었고 살균중 압력은 $1.8{\sim}2.0\;kg/cm^2$로 유지시켰다. 살균중 평균 온도가 가장 높았던 부분은 살균기 윗부분이었고 중간 부분과 아fot부분은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예비 살균 시간과 냉각 시간을 뺀 실제 살균 시간중 최대 평균 온도차는 파우치를 투입하지 않았을때(P-0)와 3000개의 파우치를 투입하였을 때(P-3000)에는 $1.7^{\circ}C$ 이하로 양호한 수준이었으나 6000개의 파우치를 투입하였을 때(P-6000)에는 $1.9^{\circ}C$ 이상으로 다소 높은 수준이었다. 평균 온도에 대한 표준 편차도 위치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6000개의 파우치를 살균할때에는 상대적으로 큰 편이었다. 즉석 카레 소스는 살균시 broken heating curve의 경향을 나타내었고 살균중 평균 온도가 가장 높은 부분과 가장 낮은 부분에서 측정된 즉석 카레 소스의 살균도(F값)의 차이는 10.93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10.93의 차이는 즉석 카레 소스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고등학교 급식메뉴 개발을 위한 청국장 분말 첨가 카레라이스의 품질특성 및 수응도 평가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cceptability of Curried Rice with Cheonggukjang Powder for Development of High School FoodService Menu)

  • 정미희;이인선;김향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90-29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cceptability of curried rice containing cheonggukjang powder for the using in a high school foodservice menu. The viscosity of the curry sauce with cheonggukjang powde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15% sample group. As the level of cheonggukjang powder was increased, the Hunter's L value increased, whereas the a value decreased. In the results of the acceptance test, the 15%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e 15% group was selected based on the acceptance test for use by the school foodservice industr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p<0.01) in the acceptance test of curried rice with cheonggukjang powder in terms of flavor, color, aroma, density of sauce, overall acceptability. In regards to the reason why boys and girls did not consume the curried rice, 'because of unfavorable taste' (51.0%), ranked highest followed by 'because of other' (34.2%). In conclusion, there was a high food acceptance food when cheonggukjang powder was added to curried rice. Also,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eference and consumption of cheonggukjang foods and through the development of proper recipes that contain cheonggukjang and through combination with other food ingredients.

전자레인지의 가열조리 시 포장재의 열변형 원인 규명을 위한 온도 측정 방법 비교 (Comparison of temperature measurements methods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deformation of packaging materials during microwave heating)

  • 윤찬석;이화신;토마스파이퍼;조아름;문상권;이근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22-431
    • /
    • 2016
  • 일부 소스류 제품에 사용된 스탠딩 파우치에서 전자레인지 가열조리 시 열변형이 발견되어 이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온도 변화 패턴을 조사하였다. 전자레인지로 포장된 식품을 가열 시 포장재의 온도 변화는 식품 자체의 온도보다 높고 국소적인 온도 측정 기술을 요한다. 공시 시료로 매운맛 닭 소스와 인도카레의 전자레인지 가열 시 포장재와 시료의 온도를 열화상 카메라, 온도센서 테이프 및 광섬유 온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스탠딩 파우치 형태의 포장은 전자레인지 가열 조리 시 내용물의 불균일한 가열이 관찰되어 특정 부위, 특히 액위선 상단과 측면 sealing layer에 열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온도 측정 방법은 식품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제약이 있고 실제 식품의 온도보다 낮게 측정되는 경향을 보였다. 온도센서 테이프를 이용할 경우 $200^{\circ}C$까지 온도까지 측정되어 전자레인지 가열 과정 중 포장재 변형 현상이 야기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전자레인지 가열 시 포장재 표면의 온도 변화를 기존 광섬유 온도계로 측정할 경우 실제 온도보다 낮게 측정되는 결과가 초래되므로, 좁은 범위에서의 hot spot의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 GaAS crystal 센서를 사용함으로서 기존 센서보다 더 민감하고 정확한 온도 측정이 가능하였다.

밥, 면, 소스류에 존재하는 수용성 비타민 B1, B2 그리고 B3 함량 검토 (Investigation of Water-Soluble Vitamin (B1, B2, and B3) Contents in Rice, Noodles, and Sauces)

  • 조진주;홍성준;부창국;신의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98-41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13종의 밥류, 11종의 면류, 그리고 15종의 소스류에 함유되어 있는 수용성 비타민 B1 (thiamin), B2 (riboflavin), 그리고 B3 (niacin)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검출한계(LOD)와 정량한계(LOQ)를 확인하였으며, 표준인증물질(SRM 1849a)을 통한 결과의 정확도를 확인하여 우수한 지표를 나타내었다. Thiamin에서 밥류의 경우 잡채밥이 가장 높은 함유량을 확인하였고, 면류의 경우 막국수, 그리고 소스류의 경우 토마토 스파게티소스가 가장 높은 함유량을 확인하였다. Riboflavin은 밥류의 경우 짜장밥, 면류의 경우 비빔국수, 소스류의 경우 강황카레 약간 매운맛에서 가장 높은 함유량을 확인하였다. Niacin에서는 밥류, 면류, 그리고 소스류에서 각각 치킨볶음밥, 잔치국수, 짜장소스에서 가장 높은 함유량을 확인하였다. 한국인 성인 남녀의 수용성 비타민 1일 섭취권장량에 대하여 식품에 함유되어 있는 양을 확인한 결과 강황카레 약간 매운맛에서 가장 높은 riboflavin의 함량이 남자의 경우 217.40%, 여자의 경우 271.75%로 가장 높은 함량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밥류, 면류, 그리고 소스류에 함유된 수용성 비타민에 대한 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1일 섭취권장량에 대한 식품에 함유된 수용성 비타민의 함량 확인을 통해 국민 식생활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석 식품에서 니트로사민이 검출되는 요인 분석 (Factors At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N-Nitrosamines in Instant Food)

  • 서보경;권훈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4-12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식품을 용기 포장 채로 조리하는 경우 니트로사민의 함량이 증가하는 사례에서 용기 포장에서의 니트로사민이 용출되는지 확인하였다. 조리를 할 수 있는 용기 포장 31종에 대해 각 식품 유형별로 침출용매를 선택하여 단면용출시험을 진행하였다. 용출 시험을 진행한 결과, 용기 포장에서는 NDMA, NDEA, NDBA가 모두 정량 한계 미만으로만 검출되었다. 따라서 용기 포장물질에서 침출용매로의 용출은 미미하였고 침출용매가 아닌 특정 식품에 의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토마토소스를 제외한 레토르트 시료는 조리 전과 후의 유의적인 함량 차이가 없었으며 컵라면 시료의 경우는 모든 시료에서 조리 전 NDMA가 불검출되었지만 조리 후 NDMA 함량이 trace${\sim}0.93{\mu}g/kg$로 검출되었다. 컵라면의 NDMA 함량 증가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구성요소인 면, 분말스프, 건더기스프, 물을 면밀히 검토하였다. 그 결과, 면과 분말스프를 조합하여 조리한 경우에만 NDMA가 생성되었으며 폴리스티렌 제품의 경우 모든 구성요소를 함께 조리할 때보다는 NDMA 함량이 적게 검출되었다. 따라서 컵라면 시료는 면과 분말스프 내의 니트로사민 전구체가 NDMA 생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건더기스프도 NDMA 함량 증가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 내의 전구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며 조리 중 가열에 따른 반응을 검토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

구술을 통한 전통세대의 음식문화특성 연구 (A Study on the Food-culture's Property of the Traditional Generation through the Oral Interview)

  • 김미혜;정혜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13-630
    • /
    • 2009
  • This thesis, which involves honest life stories of members of the ìtraditionalî Korean generation that lived through the turbulent times of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assesses the meaning and import of Korean cuisine during an individual Korean's lifetime, as well as the relevant properties of the culinary culture of the traditional generation and how those properties continue to influence the present generation of Koreans. Thus, traditional Korean culinary culture was subdivided into the following four aspects, each of which were exemplified by representative examples. The first of these is slow-food dietary life, which is exemplified by fermented foods. The development of side dishes (panchan) based on fermentation - kimchi, different types of soy and bean paste, salted seafoods, dishes of dried radish or cucumber slices seasoned with soy sauce, and so on - made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upplementation of food possible for traditional Koreans. The second of these aspects, referred to as friendly dietary life, is exemplified by self-sufficiently produced foods. The system of many species and small production suitable with the season made it possible to produce food from sustainable ecological systems and to maintain locally grown food-cultures, each of which was distinguished from others by a local specialty product. The third aspect of the traditional Korean culinary culture involves the same use of medicinal roots and plant materials for foodstuff, and this is exemplified by the use of foods to cure and prevent diseases. The notion, for example, that 'boiled rice is an invigorant' is characteristic of the notion that diet can function in a preventative medical context, and other similar Korean notions illustrate the importance, also, of the curative properties of food. The fourth and final aspect of traditional Korean culinary culture identified herein is creative dietary life, which can be viewed essentially as a Korean adaptation to the turbulence of life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in Korea. This trend is exemplified by many Korean foods that were created in response to foreign influences, such as onions, cabbages, curry, etc. which found their place in overall Korean culture through the age of Japanese settlement, as well as the Korean w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