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ed wild ginseng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초

산삼 공생 미생물 Weizmannia ginsengihumi LGHNH의 특징 및 배양물의 항노화 효능 (Characterization of Weizmannia ginsengihumi LGHNH from Wild-Ginseng and Anti-Aging Effects of Its Cultured Product)

  • 권민정;이혜진;이소영;진무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414-421
    • /
    • 2022
  • 식물 공생 미생물은 기주 식물과 함께 공생하는 미생물로 생장 촉진, 면역력 증진, 대사체 생성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식물 발달에 영향을 준다. 본 연구를 통해 30년근 산삼에서 분리 동정한 미생물인 W. ginsengihumi LGHNH (KCTC 14462BP)은 식물 생장 촉진 호르몬인 indole-3-acetic acid (IAA)을 1.38 ㎍/ml에서 2.22 ㎍/ml 수준으로 분비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발효 전, 후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비교를 통해 진세노사이드 전환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환된 저분자 진세노사이드인 Rg2(R), Rg4, Rg6, Rg3(S), Rg3(R), Rk1, Rg5, Rh1(R), Rk3, Rh4 등은 생체 이용률이 높고 다양한 피부 효능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다. 배양물로 제조한 W. ginsengihumi LGHNH (W. ginsengihumi LGHNH Cultured product, WCP)의 항노화 소재로서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미토콘드리아의 막전위와 ATP 생합성량을 측정하여 기능 저하 억제 여부를 확인하였다. 노화를 발생시키는 인자인 UVB를 조사한 HaCaT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막전위 값을 측정한 결과, 미조사군 대비 39.3%로 감소하나 WCP 0.001% (v/v), 0.01% (v/v)에 의해 각각 57.3%, 58.1% 수준까지 회복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토콘드리아의 ATP 생합성량 측정 결과, UVB 조사에 의해 미조사군 대비 94.3% 수준으로 감소하나 WCP를 0.001% (v/v), 0.01% (v/v) 처리한 군에서 각 각 105.3%, 105.7%로 증가하여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정상으로 회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확보한 30년근 산삼의 공생 미생물은 항노화 관련 생물 자원으로서 산업적 활용 가능성이 높다.

조선 최초의 가삼 재배지에 대하여 (The first region of ginseng cultivation in the Joseon dynasty)

  • 고승태
    • 인삼문화
    • /
    • 제2권
    • /
    • pp.17-26
    • /
    • 2020
  • 인삼은 예로부터 연명(延命)의 약물로 분류된 상약(上藥)의 하나로 자리를 잡고 지닌 약성에 따라 만병통치약으로 사용되었으며, 특수계급만을 대상으로 하였던 인삼 수요가 다른 계층으로 확대되면서 그 수요가 급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무분별한 채취로 멸절(滅絶)되어 채취하기가 어렵게 되어 자연산 인삼으로는 공급의 한계에 이르게 되자, 인삼 공급 방법은 힘든 자연산 인삼의 채취보다는 가성비 높은 가삼 재배 쪽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인삼종주국인 우리나라의 가삼 재배 시기에 관해서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첫 재배지에 관한 연구는 아직 보고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삼 재배 관련 자료의 정리를 통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가삼 재배지에 관한 정리와 고찰을 하였으며, 여기에 인용된 사료는 조선왕조실록, 임원십육지, 오주연문장전산고, 중경지, 증보문헌비고, 인삼사 등이다. 정리와 고찰의 결과, 조선 시대 최초의 가삼 재배지는 영남지역으로 특히, 풍기면(현재의 경북 영주시 풍기읍)으로 추측된다.

인삼 캘러스의 Polyacetylene 생산에 미치는 여러 가지 화학물질의 효과 (The Effects of Various Chemicals on the Production of Polyacetylene in Ginseng Callus in vitro Culture)

  • 윤재호;송원섭;이미숙;양덕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7-63
    • /
    • 2005
  • 인삼 callus의 기내배양에 의해서 항암물질을 대량생산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인삼 callus의 polyacetylene생산에 미치는 전구물질 및 elicitor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5mg/l의 L-phenylalanine첨가배지에서 인삼 callus의 생장과 polyacethylene합성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panaxynol뿐만 아니라 panaxydol도 형성되었다. 반면에 $\alpha-methyl-D.L.methionine$과 D.L.-norleucine 첨가구에서는 polyacetylene이 전혀 생성되지 않았다. Elicitor로 사용되는 nigeran은 농도가 높아질수록 인삼 callus의 생장을 억제시키지만 polyacetylene생성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그러나 chitosan은 0.5mg/l의 농도에서 는 인삼 callus의 생장과 polyacetylene의 생성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1mg/l 이상 처리구에서는 panaxynol은 검출되지 않았지만 panaxydol은 검출되었다.

Factors Affecting Agrobacterium tumefaciens-mediated Transformation of Panax ginseng C.A. Meyer

  • Kim, Ok-Tae;Jung, Su-Jin;Bang, Kyong-Hwan;Kim, Young-Chang;Shin, Yu-Su;Sung, Jung-Sook;Park, Chun-Geon;Seong, Nak-Sul;Cha, Seon-Woo;Park, Hee-Woon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0-104
    • /
    • 2007
  • A protocol for the production of transgenic Panax ginseng C.A. Meyer was established via Agrobacterium tumefaciens-mediated genetic transformation of direct somatic embryos. A number of conditions related to the co-cultivation were tested with respect to maximizing transformation efficiency. The results showed that pH of the co-cultivation medium (5.7), the bacterial growth phase (optical density; $OD_{600}$ = 0.8), co-cultivation period (3 days), and acetosyringone concentration $(100\;{\mu}M)$ had positive effects on transformation. Selected plantlets were cultured on the medium at an elevated hygromycin level(30 mg/l). Integration of the transgenes into the P. ginseng nuclear genome was confirmed by PCR analysis using hpt primers and by Southern hybridization using hpt-specific probe. The transgenic plantlets were obtained after 3-month cultivation and did not show any detectable variation in morphology or growth characteristics compared to wild-type plants.

Ginsenoside Produc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Wild Ginseng (Panax ginseng Meyer) Mutant Lines Induced by γ-irradiation (60Co) of Adventitious Roots

  • Zhang, Jun-Ying;Bae, Tae-Woong;Boo, Kyung-Hwan;Sun, Hyeon-Jin;Song, In-Ja;Pham, Chi-Hoa;Ganesan, Markkandan;Yang, Dae-Hwa;Kang, Hong-Gyu;Ko, Suk-Min;Riu, Key-Zung;Lim, Pyung-Ok;Lee, Hyo-Yeo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5권3호
    • /
    • pp.283-293
    • /
    • 2011
  • With the purpose of improving ginsenoside content in adventitious root cultures of Korean wild ginseng (Panax ginseng Meyer), the root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dosages of ${\gamma}$-ray (5, 10, 25, 50, 75, 100, and 200 Gy). The growth of adventitious roots was inhibited at over 100 Gy. The irradiated adventitious roots showed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morphological parameters and crude saponin content at 50 to100 Gy. Therefore, four mutant cell lines out of the propagation of 35 cell lines treated with 50 Gy and 100 Gy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phenotypic morphology and crude saponin contents relative to the wild type control. The contents of 7 major ginsenosides ($Rg_1$, Re, $Rb_1$, $Rb_2$, Rc, Rf, and Rd) were determined for cell lines 1 and 3 from 100 Gy and lines 2 and 4 from 50 Gy treatments. Cell line 2 showed more secondary roots, longer length and superior growth rate than the root controls in flasks and bioreactors. Cell line 1 showed larger average diameter and the growth rate in the bioreactor was comparable with that of the control but greater in the flask cultured roots. Cell lines 1 and 2, especially the former, showed much more ginsenoside contents than the control in flasks and bioreactors. Therefore, we chose cell line 1 for further study of ginsenoside contents. The crude saponin content of line 1 in flask and bioreactor cultures increased by 1.4 and 1.8-fold,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Total contents of 7 ginsenoside types ($Rg_1$, Re, $Rb_1$, $Rb_2$, Rc, Rf, and Rd) increased by 1.8 and 2.3-fold,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Crude saponin and ginsenoside contents in the bioreactor culture increased by about 1.4-fold compared to that the flask culture.

인삼의 Crown Gall Tumor형성에 관한 연구 (Formation of Crown Gall Tumor in Panax ginseng C.A. Meyer)

  • 최광태;양덕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45-54
    • /
    • 1986
  • 인삼에 이용할 수 있는 vector system의 개발연구의 일환으로 우선 Agrobacterium spp.를 인삼의 잎, 줄기 및 뿌리에 접종하여 crown gall tumor의 형성 및 탈분화 그리고 Agrobacterium spp.의 opine화합물의 이용정도등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Agrobacterium tumefaciens C58은 인삼의 모든 부위에서 crown gall tumor를 형성하였으나 secondary tumor나 teratoma는 형성하지 못했다. 2. Wild type Agrobacterium tumefaciens Y101, Y104, Y109는 crown gall tumor를 형성하였으며, tumor의 형태, 크기 그리고 생장 정도는 strain별로 차이가 있었다. 3. Agrobacterium tumefaciens Y194는 특히 amorphic tumor를 형성하였다. 4. 줄기에서 형성된 tumor조직에서 callus를 유기하고자 phytohormone free배지 및 2,4-D 첨가 배지에 접종한 결과 전혀 callus가 형성되지 않았다. 5. 뿌리에서 형성된 callus가 형성되긴 하였으나 출현빈도가 극히 낮았으며, 정상 조직과는 달리 2,4-D의 효과가 미미하였다. 6. Agrobacterium spp.에 의한 opone화합물의 이용능력을 조사한 결과, Agrobacterium tumefacciens Y104, Y110 과 C58은 nopaline type이었고 Y109는 octopine type이었으며, Y101은 nopaline과 octopine 어느것도 이용하지 못하였다.

  • PDF

Adventitious Root Development and Ginsenoside Production in Panax ginseng, Panax quinquefolium and Panax japonicum

  • Han, Jung-Yeon;Kwon, Yong-Soo;Choi, Yong-Eui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3권2호
    • /
    • pp.147-152
    • /
    • 2006
  •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dventitious root culture system in three Panax species (wild-grown P. ginseng, P. quinquefolium, and P. japonicum) to analyze their ginsenoside productivity. Adventitious roots were induced directly from segments of seedlings after cultured on MS(Murashige andSkoog 1962) solid medium containing 3.0 mg/l IBA. Omission of $NH_4NO_3$ from the medium greatly enhanced both the frequency of adventitious root formation and number of roots per explants in all the three Panax species. However, elongation of post-induced adventitious roots was enhanced on medium with $NH_4NO_3$. Two-step culture protocol: $NH_4NO_3$-free medium for first two weeks of culture, followed by $NH_4NO_3$ containing medium for further 4 weeks, greatly enhanced the fresh weight increase of adventitious roots in all the three ginseng species. The fresh weight of adventitious roots was high in P. quinquefolium and low in P. ginseng, followed by P. japonioum regardless of the composition of medium. Pattern and content of ginsenosides in adventitious roots differed among the three Panax species. Total ginsenoside content of adventitious roots in P. quinquefolium, P. ginseng, and p. japonicum was 8.03, 15.7 and 1.2 mg/g dry weight, respectively. Among the three speices, adventitious roots in P. quinquefolium produced hig-hamount of ginsenosides. The pattern of ginsenoside fractions between P. ginseng and P. quinquefolium was similar but the amount of ginsenoside differed between the two, While, in P japonicum, total ginsenoside content was very low and some ginsenosides such as ginsenoside Rb2 and Rf were not detected. Conclusively, we demonstrate that same culture condition was required for induction and elongation of adventitious roots of three ginseng species but growth of adventitious roots and their ginsenoside production were different among them.

기내배양을 통한 고려인삼(Panax ginseng C.A. Meyer)조직의 NaCl에 대한 반응 (In vitro Culture Response to NaCl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Tissues)

  • 윤재호;송원섭;이미숙;신동일;양덕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23-130
    • /
    • 2005
  • 인삼포장에서 염류의 집적은 우량인삼의 생산에 많은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인삼종자의 NaCl에 대한 반응정도를 조사하고, 또한 체세포배의 발생시 및 인삼모상근에서 사포닌의 생성에 미치는 반응을 조사하였다. 인삼 접합자 배를NaCl이 첨가되지 않은 배지에 접종한 결과 $84.5\%$가 발아되었으며 0.1M에서는 $3\%$ 만이 발아되었고, 0.2M이상의 처리구에서는 전혀 발아가 되지 않았다. 또한 체세포배 발생 은 미숙배를 이용할 경우 NaCl 무첨가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성숙배에서 는 NaCl 무첨가배지보다 0.05M첨가배지에서 더 양호한 경향을 보였다. 뿌리 상태인 인삼의 모상근의 경우에는 광상태에서 NaCl를 첨가한 배지에 배양시 0.04M에서부터 안토시안이 형성되기 시작하여 0.08M에서는 눈으로 확인이 가능할 정도의 많은 량이 형성되었다. 안토시안을 함유한 세포주는 다른 세포주에 비해 crude saponin뿐만 아니라 total ginsenoside의 함량도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panaxatriol보다 panaxadiol이 2배 이상 많았다.

홍삼에 함유된 갈변물질 및 산성다당체에 대한 연구현황 (Current Studies on Browning Reaction Products and Acidic Polysaccharide in Korean Red Ginseng)

  • 이종원;도재호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0권1호
    • /
    • pp.41-48
    • /
    • 2006
  • 우리나라의 건강기능식품법에서는 인삼 또는 홍삼의 기능성이 자양강장, 면역증진 및 원기회복으로 한정되어 있다. 지금까지 홍삼에 함유된 갈변물질과 산성다당체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갈변물질은 항산화 활성과 면역증진기능, 그리고 산성다당체는 소화기관암의 증상개선, 면역기능 증진, 혈압개선, 혈액응고방지, 조혈기능, 알콜해독(간기능 회복, 고지혈 개선 등) 등의 효능이 우수하다고 보고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재 인삼과 홍삼의 3가지 기능성외에 항산화활성이라든지 그 외 더 많은 기능성을 추가할 필요성이 있으며, 또 홍삼에 함유되어 있는 활성성분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기준규격형제품은 물론이고 질병위험감소에 대해서 기능성을 표시할 수 있는 개별인정형 제품이나 나아가서는 일반 또는 전문의약품으로 개발하여 홍삼의 이용 가능성을 극대화시키고 국제적으로 경쟁력이 있는 한국인삼으로 그 위상을 제고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유산균 발효시 초고압 공정을 통한 산삼배양근으로부터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의 선택적인 함량 증진 (Selective Enhancement of Rg3 and Rh2 Contents from Wild Ginseng Cultured Roots by Lactic Acid Fermentation Associated with Ultra High Pressure Process)

  • 최운용;이춘근;서용창;김지선;송치호;이현용;윤창순;임혜원
    • 한국약용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약용작물학회 2012년도 심포지엄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271-272
    • /
    • 2012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