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ed eel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7초

간세포 배양을 이용한 뱀장어 Vitellogenin 합성에 대한 웅성호르몬의 영향 (Induction of Vitellogenin Synthesis by Androgens in Cultured Hepatocytes of the Eel, Anguilla japonica)

  • 권혁추;박홍양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59-269
    • /
    • 1996
  • To establish whether or not androgens is responsible for the induction of vitellogenin(Vg) synthesis and secretion, primary hepatocytes prepared from immature eels were used. The results are follows: 1. Eel hepatocytes were prepared using a collagenase perfusion technique. The isolated cells attached efficiently to fibronectin-coated dishes and subsequently formed monolayers in serum-free medium. These cultures maintained in medium for 10 days with minimal cell loss. 2. Estradiol-17$\beta$(E2) alone was insufficient to induce Vg synthesis. The combination of E2 with methyltestosterone(MT) markedly stimulated Vg synthesis. High vg production occurred in MT concentration from 10-6~10-5M in the presence of E2 (10-6M). Testosterone and androsterone were also effective, but progesterone was not effective in inducing Vg synthesis. Neither MT alone nor testosterone and androsterone alone had any effect on Vg synthesis. 3. E2-primed hepatocytes showed Vg synthesis in both media with and without hormones 1 day after culture. In the cultures with the vehicle, MT, or progesterone, the rate of synthesis seemed to decrease with time. But the combination of E2 and MT showed an intense increase in Vg synthesis. Hepatocytes isolated from E2-primed eels also required androgens for continuating of Vg synthesis. 4.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androgens act together with E2 in synthesis and secretion of eel Vg.

  • PDF

수입산 및 국내산 담수어류 3종의 일반성분과 지방산 조성 (Proximate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ree Species of Imported and Domestic Freshwater Fishes)

  • 문수경;이두석;윤호동;김연계;윤나영;김인수;정보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612-618
    • /
    • 2012
  • The proximate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edible portion of three species of cultured freshwater fish (common eel Anguilla japonica, rainbow trout Onchorhynchus mykiss, and Israeli carp Cyprinus carpio) were compared between imports from China and domestically produced specimens. The lipid contents of cultured common eel and rainbow trout were rich in imported fishes (20.4 and 12.2%,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ose in domestic ones (16.0 and 8.01%, respectively), while those of Israeli carp were rich only in the domestically produced specimens (8.06 and 3.07%, respectively).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ipid and moisture contents in all fish samples (r =-0.86). The protein contents ranged from 16.6 to 21.3% in domestic fishes and 15.3 to 19.1% in imported ones. The most prominent fatty acids in the fishes were: saturated fatty acids, 16:0, 18:0 and 14:0; monounsaturated fatty acids, 18:1n-9, 16:1n-7 and 18:1n-7;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18:2n-6, 22:6n-3 (docosahexaenoic acid, DHA), and 20:5n-3 (eicosapentaenoic acid, EPA). The percentage of n-3 PUFA (e.g., DHA, 22:5n-3, EPA, and 18:3n-3) was higher in domestic common eel and Israeli carp than in imported ones, but similar in domestic and imported rainbow trout, and higher in domestic wild rainbow trout than in cultured ones. On the other hand, all of the cultured freshwater fishes contained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18:2n-6, which is a characteristic fatty acid in cultured fish lipids.

국내산 양식 뱀장어에서 항생제 내성 비브리오 세균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biotic Resistant Vibrio Strains from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Cultured in Korea)

  • 박선영;김지형;전진우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2권2호
    • /
    • pp.51-58
    • /
    • 2020
  • 2019년 11월, 국내의 뱀장어 양식장에서 양식 중이던 뱀장어가 피부궤양 및 피부의 점상출혈 소견을 보이며 지속적으로 폐사하였다. 일련의 폐사는 2019년 11월부터 12월까지 지속되었다. Vibrio 속 균주 1E1-2는 첫 번째 폐사 사례에서 폐사한 뱀장어의 출혈성 복수에서 분리되었고 균주 2A3-1는 두 번째 폐사 사례에서 폐사한 뱀장어의 복수에서 분리되었으며 균주 3K1-2는 세 번째 폐사 사례에서 폐사한 뱀장어의 신장에서 분리되었다. 16S rRNA gene 시퀀스 분석으로, 분리균주 1E1-2와 3K1-2가 V. fluvialis NBRC 103150T와 가장 높은 유사도를 나타내며 V. fluvialis로 동정되었으며, 균주 2A3-1는 V. plantisponsor NBRC103148T와 가장 높은 유사도를 나타내며 V. plantisponsor로 확인되었다. 항생제 감수성 실험 결과로, V. fluvialis 1E1-2는 tetracycline과 chloramphenicol에 대하여 중등도의 감수성을 보였고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었다. V. plantisponsor 2A3-1는 ciprofloxacin과 levofloxacin에 대하여 중등도의 감수성을 나타내었고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었다. V. fluvialis 3K1-2는 tetracycline에 대하여 중등도의 감수성을 나타내었고 ampicillin과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국내 양식 뱀장어에서의 항생제 내성 비브리오 감염증 사례로, 의미 깊은 보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산 담수어에 기생하는 단생흡충류에 관한 연구 1. 뱀장어 및 메기의 단생흡충 (Studies on Monogenean Trematodes Classification from Cultured Freshwater Fishes in Korea 1. Monogenean Trematodes from Anguilla japonica and Parasilurus asotus)

  • 한정조;박성우;김영길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5-86
    • /
    • 2000
  • 1998년 3월부터 2000년 4월까지 전라남 북도 및 충청남도 일원의 내수면 양식장에서 사육중인 뱀장어(Anguilla japonica)와 메기(Parasilurus asotus)를 무작위로 채집하여 아가미에서 국내 미기록종인 4종의 단생흡충류를 검출하였다. 검출된 단생흡충류는 모두 아가미 흡충으로서 뱀장어에서는 Pseudodactylogyrus bini(KIKUCHI, 1929), P. anguillae(YIN & SPROSTON, 1948), 메기에서 Ancylodiscoides infundibulovagina(YAMAGUTI,1941) 및 Ancylodiscoides sp.가 검출되었다.

  • PDF

양식넙치와 뱀장어에서 분리된 Edwardsiella tarda의 특성 비교 (Characteristics Comparisons of Edwardsiella tarda Isolated from Cultured Olive Flounder and Eel)

  • 김은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1-38
    • /
    • 2021
  • 본 연구는 1996년부터 2010년 사이에 우리나라 양식넙치와 뱀장어에서 분리하여 Edwardsiella tarda로 동정하였던 18 균주에 대하여 생화학적 특성과 RAPD profile을 비교해봄으로써 이전 양식생물의 질병에 관여되었던 Edwardsiella속 세균의 다양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생화학적 특성으로 볼 때 이들은 citrate 분해, H2S 그리고 indole 생산 결과에 차이를 보여 4가지 패턴으로 구분되었으나 모두 E. tarda로 동정되었고 숙주에 따른 분리균의 특성으로 구분되지는 않았다. E. tarda 특이 primer인 EDtT로 PCR을 실시한 결과 18 분리균에서는 모두 약 270 bp의 동일한 band가 검출되었으나 비교 균주로 사용된 E. tarda와 E. ictaluri의 type strain에서는 특이 밴드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Ready-To-Go-RAPD kit의 primer 5번과 6번으로 실시한 RAPD PCR 결과, 넙치 분리균, 뱀장어 분리균, 그리고 E. tarda와 E. ictaluri type strain에서 band profile이 뚜렷한 차이를 보여 origin에 따른 특징으로 정리될 수 있었으며 병원체 모니터링을 위한 tool의 하나로 개발될 가능성을 보였다.

Oxytetracycline의 경구 투여에 따른 뱀장어 체내 약물동태학적 특성 (Pharmacokinetics of Oral Administration of Oxytetracycline in Eel, Anguilla japonica)

  • 김진도;서정수;김주완;이주석;정승희;지보영;김진우;김응오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9-127
    • /
    • 2008
  • Oxytetracycline (OTC) has been widely used in eel culture as a therapeutic and prophylactic agent because of its broad-spectrum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and -negative bacteria. The oral treatment dosage of OTC approved for the treatment of edwardsiellosis, furunculosis and vibriosis in eel is 50 mg/kg/day for 3-7 days in Korea. To determine new optimum dose of OTC in eel, the pharmacokinetics of OTC after single oral administration (100 mg/kg B.W., 200 mg/kg B.W.) in cultured eel, Anguilla japonica was examined. In oral dosage of 100 and 200 mg/kg body weight, the highest plasma concentrations of OTC were 1.19±0.42 ㎍/㎖ and 2.69±0.57 ㎍/㎖, respectively. Plasma concentrations of OTC were not detected after 720 h post-dose in all experiments. The kinetic profile of absorption, distribution and elimination of OTC in plasma wwas calculated fitting to a 1- and 2-compartment model by WinNonlin program. The following parameters were obtained for a single dosage of 100 and 200 mg/kg respectively: 1-compartment model, AUC= 82.48 and 432.68 ㎍*h/㎖, Tmax= 3.93 and 14.24 hr, Cmax= 0.94 and 2.34 ㎕/㎖; 2-compartment model, AUC= 448.73 and 530.65 ㎍*h/㎖, Tmax= 6.37 and 8.96 hr, Cmax= 0.90 and 3.21 ㎕/㎖.

양식산 뱀장어 Anguilla japonica에 있어서 인공성성숙시기와 번식률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ship between Artificial Maturation Season and Reproduction Coefficient in the Cultured Eel Anguilla japonica)

  • 배준영;김대중;이정의;손상규;이종관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19-225
    • /
    • 2007
  • 본 연구는 양식산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인위적인 성성숙 처리시기와 번식률과의 상호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5월(봄)부터 익년 1월(겨울)까지 각 계절별로 수행되었다. 실험어의 인공 성성숙 유도를 위해 암컷($400{\sim}600\;g$) 뱀장어에 salmon pituitary extraction (SPE, 20 mg/fish/week)를 매주 복강에 주사하여 인위적인 성성숙을 유도하였다. 호르몬 처리 $8{\sim}13$주 이후 대부분의 개체들은 난황형성이 완료되었고, $17{\alpha}$, $20{\beta}-dihydroxyprogesteron$ (DHP, $2\;{\mu}g/g$ body weight)를 주사하여 배란을 유도하였다. 수컷 뱀장어($200{\sim}350\;g$)는 human chronic gonadotropin (HCG, 1 IU/g body weight/week)을 매주 복강에 주사하여 정자형성 및 배정을 유도하였고, 이후 상기의 개체들에 대해 자연산란에 의한 수정 및 인공수정을 병행하였다. 배란율, 부상률, 수정률 및 부화율을 포함한 계절별 번식률에 있어서 봄과 여름($5{\sim}7$월)에 인공성성숙을 유도한 실험구가 다른 계절에 비해 높았다. 산란수와 부화 유생수 및 부화유생의 생존일수는 번식률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양식산 뱀장어에 있어서 호르몬 처리에 의한 인공성성숙유도의 시기는 자연계에서 주산란시기인 봄과 여름철이 적합함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양식산 뱀장어의 적절한 인공성성숙시기는 배란율, 부상률, 수정률 및 부화율을 포함한 번식률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양식 동남아산 뱀장어, Anguilla bicolor의 Anguillid herpesvirus-1 (AngHV-1) 감염증 (Outbreak of Anguillid herpesvirus-1 (AngHV-1) infection in cultured shortfin eel (Anguilla bicolor) in Korea)

  • 박성우;정은빈;김동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51-158
    • /
    • 2012
  • 양식 동남아산 뱀장어 Anguilla bicolor에 아가미의 출혈 및 간장의 충혈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의 원인을 조사한 결과 Anguillid herpesvirus (AngHV-1) 의 감염이 확인되었다. 병어는 병리조직학적으로 아가미의 상피세포의 증생과 모세혈관의 출혈, 간장의 공포변성 및 중심정맥의 충혈이 관찰되었다. 병어를 $35^{\circ}C$에 10일간 승온 사육한 결과 아가미의 형태가 건강어의 아가미와 유사한 형태로 회복되었으며, 폐사율도 10%로 승온 처리가 폐사율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뱀장어에서 분리한 불정형 Aeromonas salmonicida EL-I의 일부 특성과 병원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artial characteyization and pathogenicity of atypical Aeronionas salmonicida EL-I isolated from diseased cultrued Eel)

  • 한규삼;최인열;배정준;신성일;김영진;김영길;이근광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2-32
    • /
    • 1995
  • A partial characteristics and pathogenicity of Aeromonas salmonicida strain isolated from diseased cultured eel were studied. On the biochemicial characteristics of the isolate strain was classified into atypical Aeromonas salmonicida : the characteristics of the isolate strain differed from those of the subspecies of Achromogenes, masoucida and salmonicida. It strain was named atypical Aeromonas salmonicida EL-1 and it grew at optimal pH 7.5 and l% Nacl. In the pathogenicity test, at one to two days post infection, the motality of artificially infected eels with $1{\times}10^8$ and $1.0{\times}10^7$ cfu/fish group was 100%, and at three days pos-infection, in the $1.0{\times}10^6$ /cfu /fish infected group, the epizootic haemorrhagic ulcer was developed, and haemorragic red sports were formed around abdomen and fins and its died (40%). Total cell protein peptide bands of the A. salmonicida EL-1 were presented betweeon 11.8~102 Kd in molecular weight by the electrophoretic analysis and appeared 28 bands in all. Drug sensitivity of atypical A. salmonicida EL-1 strain was sensitivity to chlorampenicol, gentamicin, kanamycin, streptomycin and sulfamethoxazole /trimethoprim and intermidiate to ampiclin and neomycin resistant to cephalotin, erythromycin, lincomycin and tetracycline.

  • PDF

뱀장어 배양 간세포에서의 Cytochrome P4501A (CYP1A) 유전자 발현에 대한 중금속들의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heavy metals on CYP1A expression in eel hepatocyte cultures)

  • 권혁추;맹준호;최성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45-254
    • /
    • 2010
  • 뱀장어 간세포 배양을 이용하여 cytochrome P4501A (CYP1A) 유전자 발현에 대한 중금속들의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첫째, CYP1A mRNA 발현에 대한 benzo[$\alpha$]pyrene (B[a]P)의 농도별 조사에서, B[$\alpha$]P $10^{-8}\sim10^{-5}$ M의 농도로 배양액에 첨가하여 배양한 후 세포를 수거하여 RT-PCR 방법으로 CYP1A mRNA 발현량을 조사하였다. CYP1A mRNA 발현은 B[$\alpha$농도 의존적으로 유도되었으며, $10^{-7}$ M 농도부터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나타냈다 (p<0.05). 둘째로 뱀장어 간세포에 B[a]P ($10^{-5}$ M)와 카드뮴 ($10^{-6}$, $10^{-5}$ M)을 각각 또는 함께 첨가하여 CYP1A mRNA 발현을 조사하였다. 카드뮴을 첨가한 그룹은 vehicle에 비해 CYP1A 발현의 억제가 관찰되었으며, 고농도($10^{-5}$M)의 카드뮴에서 더 많이 억제되었다. 또한 B[$\alpha$]P와 카드뮴을 함께 처리한 그룹에서도 CYP1A 유전자 발현은 B[$\alpha$]P 단독 처리에 비해 현저한 억제가 관찰되었다. 셋째로, in vivo에서 B[a]P를 주사한 뱀장어의 배양 간세포를 이용하여 CYP1A 유전자 발현에 대한 중금속들의 영향을 조사하였는데, 뱀장어에 10mg/kg의 B[$\alpha$]P를 주사한 후, 48시간 후에 간을 채취하여 간세포 배양을 하였다. 카드뮴, 구리, 납 및 아연 ($10^{-6}$, $10^{-5}$ M) 등을 각각 배양액에 첨가하여 2일간 배양한 후 CYP1A mRNA 발현량을 조사하였다. 이미 B[$\alpha$]P 처리에 의해 CYP1A 발현이 유도된 대조구 (vehicle)에 비해 중금속들이 첨가된 모든 그룹에서 CYP1A 유전자 발현 억제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여러 어종에서 CYP1A 유전자 발현에 대한 중금속들의 영향 및 중금속 독성을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