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traditions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3초

중국신자유주의의 현실인식과 그 이론 (Chinese Neo-liberalism's the prospect of contemporary and that's theory)

  • 김태용
    • 한국철학논집
    • /
    • 제27호
    • /
    • pp.255-292
    • /
    • 2009
  • 이 글은 1990년대 등장한 당대 중국신자유주의 지식인의 현실인식과 그 이론에 대한 고찰이다. 역대 중국자유주의자들이 정치자유주의와 문화 자유주의에만 관심을 두고 경제자유주의를 소홀히 했기 때문에 중국에서 자유주의가 제대로 정착하지 못했다. 그러므로 당대 중국의 사회문제의 원인은 시장경제 자체에 있지 않고 시장이 구 권력체제의 통제에서 벗어나지 못해서 성숙하지 못하고 규범화하지 못한데 있다. 즉 중국의 사회관계의 성격은 아직 자본주의가 아니다. 중국이 현대화하기 위해서는 순환적 점진적 노선을 걸어야 한다. 개량과 혁명의 중간인 refolution적 방법과 속도로 중국사회의 개혁을 추진해야 한다. 새로운 가치체계의 발명과 제정이 아니라 일상윤리를 거듭 천명하고 고수하며, 또한 세계의 보편가치와 일치하는 중국의 가치체계를 발굴하고 견지하면 현대사회의 정신문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현대화는 전통을 훼손하는 방식으로 추진해서는 안 되고 전통의 조정, 지속 그리고 재건설의 방식으로 추진해야 한다. 그리고 농업적 전제사회에서 현대적 민주사회로 단번에 진입할 수 없다. 시장경제를 중개자로 삼아 경제적 물질적 기초를 제공해야만 민주의 실행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유가전통을 출발점으로 하고 시장경제를 중개자로 하여 민주정치를 지향할 때만이 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중국인과 한국인 이민자들의 소수민족사회 형성과 사회문화적 적응: 캐나다 밴쿠버의 사례연구 (Formation of the Minority Societies and Socio-Cultural Adaptation of the Chinese and Korean Immigrants in Vancouver, Canada)

  • 김두섭
    • 한국인구학
    • /
    • 제21권2호
    • /
    • pp.144-181
    • /
    • 1998
  • 이 연구는 캐나다 밴쿠버에 거주하는 중국인과 한국인 이민자들의 사회문화적 적응과 생활양식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캐나다의 이민정책을 개관하고, 1996년 인구센서스와 각종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중국인 및 한국인 이민자의 증가추세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전화번호부에 등재된 김씨 성을 가진 한국인의 숫자를 활용하여 밴쿠버에 거주하는 한국인의 규모를 추정하는 작업도 시도되었다. 이 논문의 초점은 중국인과 한국인 이민자들의 적응형태를 설명하고, 화교사회와 한인사회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파악하는데 맞추어져 있다. 이를 위해 소수민족 이민자의 적응형태가 현지사회에의 참여수준과 문화정체성의 강약에 의하여 네가지 범주로 나누어지는 분석틀이 제시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중국인과 한국인 이민자들의 민족정체성이 강하며, 고유의 문화적인 전통과 생활양식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중국인들의 활발한 현지사회진출에 비해서 한국인 이민자들은 상대적으로 폐쇄적인 활동영역과 민족적 울타리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국인들의 사회적 통합 및 문화정체성의 유지와 관련해서는 자발적 결사체의 역할이 강조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에서는 중국인과 한국인들의 장기적인 문화변용의 전망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 PDF

종교 문화유산의 가치 인식과 선제적 보전 기반 마련 -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문화유산을 사례로 - (Recognizing the Value of Religious Cultural Heritage and Establishing a Preemptive Preservation Foundation: A Case Study on Cultural Heritage as Observed at the Headquarters of Daesoon Jinrihoe)

  • 류호철
    • 대순사상논총
    • /
    • 제48집
    • /
    • pp.337-374
    • /
    • 2024
  • 문화재를 지정·등록하는 것은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효과적으로 보전하고 활용하기 위함이다. 보전·활용 대상으로서 법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문화재 지정·등록이다. 이러한 문화재 보전과 활용은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인식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그것이 문화재임을 알아차려야 보호해야 할 필요성을 알게 되고 활용 가능성도 발견할 수 있다. 이에 비추어 상대적으로 역사가 길지 않은 신종교들은 아직 문화재로 지정·등록된 것이 많지 않고, 자신들이 이어온 유산들이 갖는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적극적으로 인식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문화유산은 그것이 미래에 문화재로 지정·등록될 수 있는 잠재적 가치를 가진 것임을 인식할 때 문화유산답게 보전할 수 있다. 지정·등록 문화재 중에서 종교 문화재의 비중이 크나, 불교 문화재가 대부분이다. 신종교들도 50년, 100년이 넘는 역사를 이어왔으므로, 미래에 문화재로 지정·등록될 가능성이 있는 것들을 선제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어야 한다. 보호 대상 문화유산 선정 및 목록 작성, 역사적·문화적 가치에 중점을 둔 현상 변경 최소화, 문화유산 보호에 관한 종교계 내부 규정 마련, 역사적·문화적 가치와 보전·관리에 관한 연구 촉진, 문화유산과 그 주변 환경을 포함하는 포괄적 관리 등이 보전 기반 마련에 필요한 것들이다. 문화유산으로 가치가 있음에도 문화재로 지정·등록되기 전에 훼손되거나 없어진 것들이 많다. 종교계 내부적으로 실질적인 문화유산 보전·관리 기반을 갖추는 것은 문화재 지정·등록 이전에 그 가치를 선제적으로 보전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청계탑 등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문화유산은 그 가치를 인식할 때 적절히 보전할 수 있고, 활용을 통한 가치 확산도 모색할 수 있다.

호주인과 호주 교민의 주거문화 비교를 위한 기초 연구(II) - 호주인의 주공간 및 주생활 분석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Living Arrangement of Australians for Cross-Cultural Study with Korean Immigrants in Melbourne, Australia)

  • 이영심;이상해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9호
    • /
    • pp.143-162
    • /
    • 2005
  • Many ethnic groups have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nd each culture has developed with its own traditions. The interaction between different cultures is getting more active through acculturation and cultural cont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about the domestic living of Australians in order to compare with Korean immigrants in the form of a Cross-Cultural study. For this, usage of domestic space and seating style of 53 Australian households in Melbourne were analyzed. Ethnographic research with questionnaire was us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1. The open plan type combining the kitchen, dining and tying areas was the most popular one for Australians and they are very satisfied with that type. 2. The laundry room has been planned traditionally and Australians demand to be able to dry their laundry and do ironing in there additionally. Most of Australians were satisfied with separated toilet and bathroom. h drain hole on the floor of the bathroom was not essential for most Australians. 3. Australians were doing various activities in the living areas and they also enjoy gelling together in the kitchen and dining areas. 4. The seating style of Australians was generally the chair-seating style. However, they sometimes made a bed for guests on the floor and watched TV and treated guests with both chair seating style and floor seating style. 5. Australians were satisfied with using carpet presumably for its warmth.6. Many Australians took off their shoes inside of the house for hygienic reason. Most people organized the shoes in the cabinet of the bedroom. 7. The most popular heating system was ducted heating for Australians and they were very satisfied with it because it was suitable for the weather in Melbourne. 8. The living room was the most important one for Australian families and they thought that it should be decorated well for entertaining guests. It was also considered that brightness of the light was enough for most Australians.

한국 디자인의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소고: '웰빙'과 '심신일원론' (An Inquiry into the Cultural Identity of Korean Design: 'Well-Being' and 'Body-Mind Monism')

  • 고영란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169-176
    • /
    • 2004
  • 최근 우리나라의 ‘웰빙’ 현상이 상품화된 웰빙의 유사 이데올로기라는 점에서는 논의의 여지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웰빙철학의 기저에서 낚아 올릴 수 있는 한국 디자인의 문화적 컨텐츠로서의 잠재적 가치마저 간과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행복’과 ‘안녕’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넘어 웰빙은 마음의 평안과 정신적 풍요로움을 지향함으로써 ‘심신일원론’적 라이프 스타일을 옹호하고 있다. 소비주의에 편승한 유행으로서의 웰빙의 상품미학을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보유한 대안 담론으로 승화시켜 우리나라 디자인 컨텐츠의 고유모델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웰빙이라는 보편적 기호가 담지하고 있는 양질의 문화적 가치에 대한 발굴이 요청된다. ‘자연의 도’를 따르는 생활태도와 다름 아닌 웰빙은 동아시아의 탈-이원론적 사유방식의 전형인 것이다. 동아시아의 일원론적 사상과 조형의식 속에 이미 자리하고 있는 웰빙의 흔적을 역으로 추적함으로써 작금의 웰빙 현상과 심신일원론을 연결하는 계보를 좁게는 한국, 넓게는 동아시아의 문화적 전통 속에서 발견할 수 있다. 몸과 마음이 본디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동아시아의 일원론적 사유체계를 서구로부터 수입된 웰빙 현상의 이론적 모태로 삼을 경우, 한국의 디자인 담론이 탈-식민화 되는 단초가 마련될 전망이다. 서구 중심의 이원론적 패러다임에 대한 반성을 토대로 새로운 가치를 모색해야 하는 성찰적 근대화의 시대에 일원론적 인식에 기반하는 웰빙이 국내외 디자인계에 던져줄 잠재적 의미성에 기대를 걸어볼 일이다.

  • PDF

잉즈의 베이징 노스탤지어 서사에 관한 고찰 - 린하이인(林海音) 소설집과 우이궁(吳貽弓) 동명 영화 『베이징 남쪽의 옛 이야기(城南舊事)』를 중심으로 (A Study on Yingzi's Narration of Nostalgia for Peking - Based on Linhaiyin's Novel ChengnanJiushi and Wuyigong's Film of the Same Title)

  • 김수진
    • 비교문화연구
    • /
    • 제37권
    • /
    • pp.31-49
    • /
    • 2014
  • Peking has peculiar features as capital city, and has gone through various transformations, with its name changed from Peking to Peiping to Peking. Even when it did not serve as a capital city, it still played an unrivaled role in cultural aspects. Laoshe, a great writer of 'Peking flavour' literature, is famous for works full of cultural charms of Peking. In his works, which show the manners, norms, art, culture and optimistic life style of Peking, Peking culture is described as an extension of cultural traditions of Qiren. In addition, his critical view of reality is also expressed in the works. Linhaiyin's literary works show ordinary hutongs she experienced in the 1920s in Chengnan, the southern part of Peking, and the quiet and simple life of warm-hearted people living there. Her vague memories of Peking, along with her nostalgia for the city, let her describe the city with recreated happy memories of it instead of the harsh critical view. Her works express the city in her recreated memory full of hope, with her dark memories of the city being glossed over. As seen above, Laoshe realistically described the tragic and difficult life of low class people in hutongs of Peking as well as lower middle class people of the city. Meanwhile, in ChengnanJiushi, Linhaiyin expresses the daily routine and ordinary life of people in Peking from the perspective of middle class people. In addition, she showed the sympathetic view of middle class citizens towards their low-class neighbors. In Peking Menghualu, Wangdewei mentioned that the 'castle of memory' which old Peking people in Taiwan tried to establish fills an important gap for the continuity of Peking cultural history and cultural imagination. This indicates that the 'Peking castle of memories,' which Linhaiyin, a Taiwanese writer well known for 'Peking flavour,' has established plays a big role in filling part of such gap. ChengnanJiushi, Wuyigong's film based on Linhaiyin's novel of the same title, also describes the daily sceneries and culture of the southern Peking in the 1920s, which both Taiwanese and Chinese people miss, through sophisticated images with 'profound yearning tinted with calm sadness', accomplishing an artistic achievement different from that of the novel.

일본과 영국의 철도문화유산 보존제도 및 운영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Railway Heritage Conservation System between Japan and UK)

  • 이용상;정병현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394-401
    • /
    • 2012
  • 철도는 육상수송수단으로서 18세기부터 사용되고 왔는데, 근대적 개념의 철도는 증기기관의 이용이 그 정의로 사용되며, 영국 북서부에서 Stockton & Darlington Railway가 증기기관차 운행을 개시한 것이 그 효시가 되었다. 체계화된 운행시스템을 가진 증기기관차 운행 전용철도로서는 영국의 Manchester & Liverpool Railway가 시작이다. 이러한 역사를 가진 철도는 각국에서 여러 가지 모양으로 발전되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존되고 있다. 특히 철도를 최초로 운영한 영국은 다양한 형태의 철도문화유산 보존체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아시아에서는 철도분야에서 가장 빠른 발전과 민영화 경험을 가진 일본도 체계적인 철도문화유산보존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국과 일본의 양국 철도문화유산제도와 사례비교를 통해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비교연구의 방식을 채택하였는데, 양국이 가진 법과 제도 및 운영사례 비교분석을 통해 비교와 시사점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전개하였다.

삶의 미술, 소통의 확장: 김봉준과 두렁 (Art of Life, Expansion of Dialogue: Kim Bongjun and the Art Collective Dureong)

  • 유혜종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16호
    • /
    • pp.71-103
    • /
    • 2013
  • This paper explores the key figure of minjung misul ("the people's art"), Kim Bongjun, and the art collective Dureo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alogue' and the dissidents' structural critique of Korea's modernities. During the 1980s' prodemocracy movement, the minjung artists and other dissident intellectuals used the notion of dialogue as metaphor for and allegory of democracy to articulate not only Koreans' experience of modern history, which they saw as "alienating" and "inhumane," but also the discrepancies between Koreans' predicaments and their political aspirations and their working toward the fulfillment of those ideals. Envisioning alternative forms of modernities, Kim Bongjun and other Dureong members paid attention to the fundamental elements of art, which consist of art as a modern institution, as well as the everyday lives of people as the very site of Koreans' modernities. They endeavored to create "art of life," which presumes its being part of people's lives, based on the cultural and spiritual traditions of the agrarian community. They also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culture movement, the minjung church, and the alternative-life movement to radically envision everyday lives through the indigenous reinterpretation of democratic values. Despite the significant role played by the church mission and its community involvement, its effects on minjung misul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in the relevant studies. Thus, I consider in particular the minjung church's and the alternative-life movement's confluence of multiple cultural and social constituencies in relation to Kim and the Dureong collective's vision of a new art and community.

  • PDF

베링(Bering) 해협 연안 지역의 복식의 동질성에 관한 연구 -Alaska 서북 지역과 Siberia 동북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Homogeneous Clothing Culture surrounding Bering Strait -Between Northwestern Alaska and Northeastern Siberia -)

  • 김문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5권4호
    • /
    • pp.32-43
    • /
    • 1997
  • Deprivation of means to study the cultures and history of the natives of Bering Strait in their own lands, gives us and especially U. S. A. and Russia-where the objective regions of this study is pertained to-the great suffering of intellectual and aesthetic losses. Throughout 20th century, as political and economic forces prevailed, it became increasingly difficult for both Natives and outsiders to see this region as having common past. In such difficult circumstances, United Nations Council for Environmental Development held at Rio de Janeiro, Brasil in June, 1992 started out to give obligations to present environmental future. With such trend getting stronger and being in demand, this study is also focussed on coincides with such environmental matters and differs from man centered western civilization which ruled th environment rather than to harmonize with it. Through the studies of fashions and cultural materials of this region, it was able to identify the great similarities between Northwestern Alaska and Northeastern Siberia. Especially in the clothing materials of this region\`s toy doll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both side of Bering Strait possessed similar culture. Although both side had similar environment, in the past its peoples began to be seen as separated and alienated aligned only with their current political state-Russia and U. S. A. Through this study, it was able to see diversity of the peoples and thir languages but also close cultural and historical ties that link them very closely together. This study verified such similarities and common characteristics through close examination of Native clothing and decorations and other traditions of Siberian Natives such as Yupik, Chukchi, Koryak, Even, Amur River peoples and Nivkh; and Alaskan Natives such as Inupiag, Yupik, Alutiig, Aleut, Athapaskan, and Tlingit.

  • PDF

돌궐 의복 형태 연구 (A Study on the Style of Clothing of Turk)

  • 양예은;채금석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63-78
    • /
    • 201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study Turkic clothing traditions as a way to shed light on cultural development via the interactions among different tribes along the Silk Road, the close correlations between the surroundings of the Turks and their costumes, and the root of Turkic culture through literature studies and empirical studie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urks were nomadic equestrian tribes in the north that dominated the cold dry steppes from the $6^{th}$ to $8^{th}$ century A.D., when they expanded their influence to Dongbei, China to the east, and Turkistan (Central Asia) to the west. The Turks formed a nomadic lifestyle and culture suited to a cold dry climate, and interacted with various other tribes via the Silk Road, while exchanging and sharing different cultural aspects. Second, given that the Turkic garments constitute a two-piece style, which is a category of the basic nomadic costume of northern tribes, and that the artifact materials manifest jackets, overcoats, pants and skirts, the garments are categorized into tops and bottoms. The tops are sub-categorized into jackets and overcoats. The bottoms are sub-categorized into pants and skirts. In light of the necklines of tops, jackets have round necklines, while overcoats have V-necklines, round necklines and lapel collars. The bottoms include narrow-legged pants, wide-legged pants and closed-hem pants. Drapery skirts are worn at the waist. Third, the Turkic V-neckline overcoat is comparable to the Huns' silk overcoat, which illustrates the ethnic link between the two tribes. Also, the Turkic narrow- and wide-legged pants are consistent with the Huns' silk pants discovered in Noin Ula. The Turkic costumes are mostly tight fitting, suitable for the nomadic lifestyle in a cold, dry climate. Also, additional patches must be attached to the crotch points of pants due to the equestrian lifesty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