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stigmatization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경기북부 접경지역의 이해 - 소외성의 형성과 변화 - (Understanding the Border Region of Gyeonggi Province - The Formation and Change of Alienation -)

  • 이원호;박삼옥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71-201
    • /
    • 2004
  • 본 논문은 경기북부 접경지역의 지역성을 구성하는 소외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이론적 토대로서 사회적 배제의 개념과 적용방안을 논의하고 또한 현지조사를 통해 얻은 설문 및 인터뷰 조사결과를 기초로 소외성의 패턴 및 형성과정에 대해 고찰한다. 접경지역의 소외성에 대한 설문 및 인터뷰를 통한 현지조사는 결과적으로 '장소적 빈곤 및 배제의 지리학'으로서 접경지역의 소외성이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및 공간적 과정을 통해 고착화되고 심화되어 왔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특히 복리수준과 사회적 참여에 초점을 둔 현지조사에서 접경지역내 주민들의 다양한 삶의 측면에서 소외성이 형성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그러한 형성과정 속에서 접경지역의 부정적 이미지가 고착화되는 문화적 낙인찍힘의 역할이 강화되고, 결과적으로 지역정체성과 개인간의 이탈현상을 통해 지역발전 잠재력과 미래 전망이 약화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다양한 사회, 경제 및 문학적 과정을 통해 형성되어 온 접경지역내 소외성은 접경지역이라는 맥락속에서 여타 낙후지역과는 다른 패턴을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경기북부 접경지역 내에서도 공간적으로 상당히 차별적인 모습을 보인다.

  • PDF

아시아 국가 성인 여성의 HPV 지식, HPV 백신접종 태도에 관한 연구: 문헌고찰 (Knowledge about HPV, and the Attitudes Toward HPV Vaccination among Adult Women in Asian Countries: A Literature Review)

  • 오현진
    • 종양간호연구
    • /
    • 제11권3호
    • /
    • pp.171-178
    • /
    • 2011
  • Purpose: This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provide a summary of the findings from research on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human papilloma virus (HPV) and HPV vaccination, and studies of its actual uptake among women in Asian countries. Methods: The author searched the Pubmed, CINAHL, and KISS electronic databases to identify peer-reviewed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6 and 2011. Results: Seventeen peer-reviewed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13 quantitative, 4 qualitative). Findings from seven Asian countries that measured female adult's knowledge of HPV related issues and attitudes toward HPV vaccination were reviewed. Low level of knowledge about HPV and its related conditions, willingness to be vaccinated, and low uptake of vaccines were identified across the studies. Cultural barriers and social stigmatization about HPV vaccination were also discussed. Conclusion: Findings from this review indicate that adult women in Asian countries are in urgent need of improving HPV related knowledge and its actual vaccination. Policy makers, health care providers, and public health educators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cultural barriers and attitudes toward HPV vaccination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educational programs and interventions for adult women in Asian countries.

푸에르토리코의 인종주의를 읽는 세 가지 사회문화적 코드 (The Sociocultural Codes for Interpreting Racism in Puerto Rico)

  • 이은아
    • 비교문화연구
    • /
    • 제44권
    • /
    • pp.7-28
    • /
    • 2016
  • 이 글에서는 푸에르토리코에 깊게 뿌리내린 인종주의를 이해하기 위해 세 가지 핵심적 용어를 중심으로 흑인성에 대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카세리오스, 레게톤, 트리게뇨스는 모두 푸에르토리코 사회의 인종민주주의 이데올로기와 깊은 연관이 있다. 카세리오스는 저소득층을 위한 공동주택으로서 범죄척결의 대상지로 지목되면서 흑인성에 고착된 폭력성과 무절제한 성, 가난의 이미지를 보다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레게톤은 2000년대 중반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면서 푸에르토리코 섬뿐만 아니라 뉴욕 푸에르토리코의 아프로디아스포라의 음악적 힘에 주목하게 만들었다. 아프리카계 카리브 음악의 부상과 확산을 통해 푸에르토리코 문화적 정체성에서 흑인성이 갖는 의미를 재발견하는 계기가 되었다. 트리게뇨스는 물라토의 다른 이름으로서 최근 들어 혼혈인을 아우르는 통합적 용어로 자주 사용된다. 인종민주주의의 허상을 드러내는 한계와 더불어 흑인성의 대안적 개념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이 세 가지 개념을 둘러싼 논의들은 고착화된 인종주의를 드러냄과 동시에 극복을 위한 문화적 노력과 잠재력을 엿보게 해준다. 인종적 불평등과 위계적 사회질서에 대해 역사적으로 침묵하도록 만든 인종주의의 고질성과 편재성에 저항하기 위해서 보다 강력하고 대응적인 문화정치학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