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ocultural Codes for Interpreting Racism in Puerto Rico

푸에르토리코의 인종주의를 읽는 세 가지 사회문화적 코드

  • Received : 2016.08.10
  • Accepted : 2016.09.06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negritude by delving into Caseríos, Reggaeton, and $Trigue{\tilde{n}}os$, which are interrelated with the racism deeply embedded in Puerto Rican society. These terms have also been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ideological discourse of racial democracy, which has caused Puerto Rican people to be blind to silenced inequality and hegemonic racial policies. Caseríos, housing projects for the poor urban class, are targeted by the state - sponsored project 'Mano Dura'. Due to the policing, control and surveillance of this anticrime project, Caseríos became perceived even more as residential communities of violence, poverty, and insecurity generally connected to the stigmatization of blackness. Reggaeton emerged as a mega hit genre of transnational Puerto Rican music in the 2000s, which in turn, drew attention to both the afrodiaspora in New York and the urban musical power in the Island. This musical genre serves to highlight the meaningfulness of black heritage in the national cultural identity of Puerto Rico. $Trigue{\tilde{n}}idad$ has recently become a common racial cultural term that embraces a broader racial paradigm of mestizaje. This term can function as an alternative concept of blackness, but it has not yet been transformed into enough cultural politics to resist ongoing racial democracy. The three terms intrinsically address both the uprooted racism and potential methods of challenging it. This paper argues the necessity of stronger and more responsive cultural politics to defy the pervasiveness and invisibility of racial discrimination in Puerto Rico.

이 글에서는 푸에르토리코에 깊게 뿌리내린 인종주의를 이해하기 위해 세 가지 핵심적 용어를 중심으로 흑인성에 대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카세리오스, 레게톤, 트리게뇨스는 모두 푸에르토리코 사회의 인종민주주의 이데올로기와 깊은 연관이 있다. 카세리오스는 저소득층을 위한 공동주택으로서 범죄척결의 대상지로 지목되면서 흑인성에 고착된 폭력성과 무절제한 성, 가난의 이미지를 보다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레게톤은 2000년대 중반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면서 푸에르토리코 섬뿐만 아니라 뉴욕 푸에르토리코의 아프로디아스포라의 음악적 힘에 주목하게 만들었다. 아프리카계 카리브 음악의 부상과 확산을 통해 푸에르토리코 문화적 정체성에서 흑인성이 갖는 의미를 재발견하는 계기가 되었다. 트리게뇨스는 물라토의 다른 이름으로서 최근 들어 혼혈인을 아우르는 통합적 용어로 자주 사용된다. 인종민주주의의 허상을 드러내는 한계와 더불어 흑인성의 대안적 개념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이 세 가지 개념을 둘러싼 논의들은 고착화된 인종주의를 드러냄과 동시에 극복을 위한 문화적 노력과 잠재력을 엿보게 해준다. 인종적 불평등과 위계적 사회질서에 대해 역사적으로 침묵하도록 만든 인종주의의 고질성과 편재성에 저항하기 위해서 보다 강력하고 대응적인 문화정치학이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