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contents planning model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2초

문화콘텐츠기획 모형 연구 (A Study on the Cultural Contents Planning Model)

  • 김천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1호
    • /
    • pp.75-84
    • /
    • 2018
  • 본 연구는 관계적 접근으로 문화콘텐츠기획 모형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문화콘텐츠의 개념적 접근틀을 설정하고, 문화콘텐츠 분석 및 기획을 통합적으로 할 수 있는 센텐스문화콘텐츠기획의 일반모형을 제시한다. 그것의 내용은 컨셉기획모형, 기표개발 선택기획모형, 기표배열 배치기획모형이다. 문화의 중요성은 문화인식의 중요성에서 찾아진다. 그것은 삶의 중요성 인식이기에 그러하다. 문화가 삶의 질서 속에서 구성되는 삶의 방식으로 드러나는 만큼, 문화인식은 문화콘텐츠 인식으로서의 삶의 인식으로 간주된다. 문화콘텐츠기획은 바로 이러한 건강한 삶의 질서를 구성하는 지점에 자리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것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가지며 올바른 문화콘텐츠기획의 존재의미를 부여받는다. 이러한 점에서 문화콘텐츠기획 모형 연구는 이론과 실천면에서 유용성을 가지며 연구의 정당성과 가치공헌을 꾀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질 것이다.

문화콘텐츠산업 경영전략 수립 모델 개발 (Developing the Business Strategic Planning Model for Cultural Contents Industry)

  • 권혁인;이재화;정순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885-1894
    • /
    • 2014
  • 본 연구는 다양한 문화콘텐츠 산업과 관련된 조직(기업, 정부 등)이 문화콘텐츠 관련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 현재 자국의 수준을 파악하고, 미래 지속 성장을 위한 경영전략을 수립하는데 가이드가 되는 경영전략 수립 모델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용이 편리한 매트릭스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전문가 대상 FGI를 실시한 결과 '산업의 매력도'와 '기술 강점'의 2개의 축이 기본 측정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이를 측정하는 세부 구성요인으로는 총 29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이 세부요인 도출은 선행연구와 문화콘텐츠 산업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2차 설문에 의해 도출되었다. 이 후 도출된 요인들 간의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해 AHP분석을 실시, 가중치를 산정하여 현재의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미래의 지속 성장을 위한 경영전략 가이드 제시를 위해 매트릭스 분면마다 해당 특성을 파악, 이를 정의하고 정부와 기업이 행하여야할 활동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문화콘텐츠 산업만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던 문화콘텐츠 산업의 경영전략 수립 모델을 제시하여, 관련 조직의 경영 활동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농촌 문화마을 조성계획과 사업방향에 관한 고찰 -충청북도 청원군 영하리 마을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rection of Planning in Cultural Rural Village - Focused on the Case in Yoonghari, Chungwon-kun, Chungchengpukdo -)

  • 이재근
    • 농촌계획
    • /
    • 제1권1호
    • /
    • pp.75-88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for scheme cultural rural village. For this purpose, to begin with, the major elements which can be applied to the theory were extracted by the study on the scheme of rural village, and the process and the outcome for renovation of rural village were presented by design proposal for the rural village in the exhibition space of yoonghari in Chungwon-kun, Chungchengpukdo. The study on the scheme of rural village is focused on the spatial organization, the futilities allocation, and the major contents of the case study are as follow : (1) To investigate the constrains and the opportunities of site development by the analysis and the synthesis of the site condition for the case study, (2) To study on the planning theory which can be applied to the site, (3) To establish the planning directions which can be introduced into the site and to choose the rmn model by the comparison and valuation of them, (4) To set up the Master Plan on the basis of the final model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method and the contents have a lot of problem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ossibility to renovate the rural village these days, moreover to grope for the opportunities to propagate it.

  • PDF

빅데이터를 활용한 영상콘텐츠 스토리 리모델링 프로세스 개발 (The Development of Remodeling Process for Visual Content's Story by Big Data)

  • 이혜원;박성원;김이경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6권3호
    • /
    • pp.121-134
    • /
    • 2019
  •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differentiated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IoT(Internet of things), big data, and mobile. As the civilization develops more and more, humanity enjoy the cultural activities more than economic activity for the food and shelter. The platform structure based on the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of the present will expand the cultural contents area in a variety of ways. Cultural contents respond sensitively to changes in consumer and will be useful experiences of human activities. Therefore, it should be noted again that the contents industry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iscussion of the application of the fourth technology, but should be produced with emphasis on useful experiences of human being. In other words, the discussion of human activities around cultural contents should be focused on how to apply beyond the use of fourth industrial technolog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basis of the successful storytelling of the planning stage to connect the fourth industrial technology and human useful experience as a method for developing cultural contents, and to build and propose a model as a strategic method. This study analyzes domestic and foreign cases made by using big data among the visual contents which show continuous increase of consumption among culture industry field, and draws success factors and limit points. Next, we extract what is the successful matching factor that influenced consumer 's consciousness, and find out that the structure of culture prototype has been applied in the long history of mankind, and presents it as a storytelling model. Through the above research,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new interpretation and creative activity of cultural contents by presenting a storytelling model as a methodology for connecting creative knowledge, away from the general interpretation of social phenomenon applied with big data.

지역문화축제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기획 방안의 모색 (Strategic Planning for Initiating Local Cultural Festivals)

  • 안성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168-175
    • /
    • 2008
  • 지방자치시대가 개막된 이래 지방정부들은 바람직한 지역경제발전의 수단으로서, 한정된 자원으로 최대의 효과를 노리기 위해 내 고장 마케팅과 지역축제 활성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역문화축제는 무형의 관광자원으로서 지역 활성화와 지역이미지 개선의 효율적인 수단이 되며, 문화관련 상품의 개발과 문화이벤트 등을 통해 지역소득증대에 기여하는 무한한 잠재력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의 지역문화 축제는 독창성의 부재와 콘텐츠의 빈약 등 질적인 측면에서의 경쟁력 부재로 인해 그 잠재력을 세계화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지역문화에 기반한 독창성있는 축제 콘텐츠를 기획하기 위한 전략적 방안으로서 문화기호학의 의미생성모델과 스토리텔링을 통한 비주얼 리터러시를 제안하고자 하며, 이는 에듀테인먼트로서 축제의 의미와 그 기능을 확장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집단지성기반의 『구운몽』 디지털 이미지 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Guunmong』 Story's Digital Image-Contents by Collective Intelligence)

  • 이중곤;정대율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501-51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서포 김만중의 문학작품 '구운몽'의 이야기를 활용한 현대적인 디지털 이미지 콘텐츠 개발 필요성과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유망한 방법으로 집단지성을 활용하고자 한다. 오늘날 대부분의 문화콘텐츠 개발은 기획단계에서부터 완성단계까지 여러 사람들의 협업을 통한 디지털기술의 적용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지역문화콘텐츠의 경우 그 지역을 배경으로 하거나 그 지역 출신 작가의 문학작품을 원형으로 개발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지역문화자원을 체험관광상품으로 발전시켜 지역문화산업의 발전에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먼저 지역문화콘텐츠를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방법으로 집단지성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 디지털 이미지 콘텐츠 개발에 있어서의 이미지텔링 기법의 적용과 웹툰 캐릭터 활용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의 실제 적용가능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구운몽』 문화콘텐츠 개발사례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지속적인 협업을 통한 『구운몽』을 소재로 한 문화콘텐츠의 창작과 유통을 위하여 집단지성기반의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을 제안한다.

한국정원의 전통성 구현을 위한 설계방법론에 관한 연구 -EXPO '90 오사카 꽃전시회 한국 전시장 출품작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sign Methodology for the Embodyment of Tradition in Korean Garden)

  • 이재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1-80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esign method to embody the cultural heritage and to reproduce the image of Korean Traditional Garden these days. For this purpose, to begin with, the major elements which can be applied to the planning and design were extracted by to study on the prototype of Korean Traditional Garden, and the process and the outcome for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garden were presented by design proposal for the Korean Garden in the exhibition space of EXPO '90, the International Garden and Greenary Exposition, Osaka, Japan, 1990. The study on the prototype of Korean Garden is focused on the spatial organization, the facilities allocation, and the gardening technic of traditional garden, and the major contents of the case study are as follow ; (1) To investigate the constraints and the opportunities of site development by the analysis and the synthesis of the site condition for the case study, (2) To study on the planning technic which can be applied to the site, (3) To establish the planning models which can be introduced into the site and to choose the final model by the comparison and valuation of them, (4) To set up the Master Plan on the basis of the final model.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method and the contents have a lot of problem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ossibility to reproduce the Korean Traditional Garden these days, moreover to grope for the opportunities to propagate it internationally.

  • PDF

지역고유의 자원 활용에 기반한 21세기 선도형 농촌마을 개발 모델 - 강원도 원주시 수련동마을 계획을 중심으로- (A New Planning Model of Rural Villages for 21th Century Guidance - Style based on Regional Indigenous Resources - In the Case of the Villages Revitalization Projects of Suryon-dong in Wonju -)

  • 송병화;이관규
    • KIEAE Journal
    • /
    • 제7권3호
    • /
    • pp.39-4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odel of rural villages for 21th century guidance-style based on regional Indigenous resources. As a development model on premis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economic sustainability, social-cultural sustainability, this paper aims to established that accommodate actively change element of village environment that stabilizes local environment and ecosystem on the basis of development model's principle and contents and information area. Through this model development, To makes the national setting an example village and plans the 21th century guidance style farm village continuously is big that study does.

광고콘텐츠의 기호분석 (Advertising Contents based on Semiotic Methodology)

  • 김경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87-93
    • /
    • 2015
  • 광고에 대한 접근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설명된다. 즉, 마케팅 관점과 커뮤니케이션 관점이다. 광고학자 오조(Ozoh, 1998)는 광고가 마케팅의 도구라는 관점과 광고가 커뮤니케이션 과정이라는 관점으로 구분해 논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두 가지 관점은 광고의 메시지가 어떤 내용과 형태로 구성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다양한 논쟁을 제시하기도 한다. 광고는 기본적으로 광고주로부터 소비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고, 다시 피드백을 받는 설득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속한다고 본다. 그러나 이 두 범주가 보여주는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브랜드가치를 측정하는 문화코드의 개념에서는 상호 보완의 기능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 두 관점을 양적 소구와 질적 소구로 분류한 뒤, 광고 텍스트의 소구방법으로 시도되는 스토리텔링 장치를 문화기호학적 관점에서 설명한다. 즉 상품의 의미가치가 상품에 대한 사용가치로 표출되어 소비자들의 욕구충족을 어떻게 만족시키고 있는가를 기호화 과정으로 분석한다. 분석 방법으로는, 그레마스의 의미생성모델을 실제 사례로서 커피광고에 적용시켜본 뒤, 프랑스 커피 광고와 한국의 커피 광고의 차별화 전략의 상이점을 기호학적 관점에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역사·문화 테마파크 개발을 위한 성공모델 설정 -한국 문화 테마파크를 사례로- (Success Model Setting for Historical, Cultural Theme Park Development -With an Example of Korean Culture Theme Park-)

  • 권기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51-162
    • /
    • 2015
  • 테마파크는 일정한 주제로 재미와 감동을 느낄 수 있도록 만들어진 공연 전시 이벤트가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공간이다. 최근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테마파크를 많이 계획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문화테마파크를 사례로 역사 문화 테마파크를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성공요소를 도출한 후 개발모델을 설정하였다. 문헌 연구와 사례조사를 통해 정체성과 일관성 있는 테마 설정, 재미와 감동을 주는 프로그램, 고객의 요구를 반영한 편리한 지원시설, 집객력 향상을 위한 차별화된 마케팅, 주변 문화자원과 연계한 입지 및 메시지를 전하는 공간, 민간주도형 사업추진 및 운영주체, 시장세분화 전략에 따른 타깃설정, 수요예측을 성공요소로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요소들이 상호 긴밀하게 연결 및 조화가 되어야만 테마파크가 성공적으로 운영되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테마파크가 지속적인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운영단계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끊임없이 개선해나가야 하며 시대적 상황과 관람객의 눈높이에 맞게 콘텐츠 보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