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contents

검색결과 2,280건 처리시간 0.036초

우리나라 문화상품디자인 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Cultural Goods Design Education in korea)

  • 임상순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79-90
    • /
    • 2003
  • 문화상품이 국가의 이익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분야로 지목되면서 이 분야의 인프라 육성을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 준하는 디자인 교육은 학과의 전문성이나 특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와 검토 과정을 거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체계적인 교육과정과 내용은 거의 갖추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이 논문은 문화상품디자인 과정에 준하는 디자인 교육의 올바른 방향 설정과 체계적인 교육 내용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서, 문화상품디자인의 개념과 내용을 근거로 문화상품디자인의 작업 영역을 설정하고, 문화상품 디자이너의 기능과 역할 그리고 조건을 정리하며, 이들 내용을 중심 바탕으로 문화상품디자인 교육의 방향을 제언함으로서, 문화상품디자인 교육의 구체적 방법에 대한 초석을 마련하고자 한다.

  • PDF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도시 조성 방안 (A Study on Creating a Cultural City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 김용남;권기창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88-98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ways to create a cultural city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To that end, the qualitative case study was applied. As the original city center had been declining due to the expansion and changes of city space caused by the changes of city function and social change, the old downtown of Andong city was selected as an example. For the result, research shows that the region's historical resources and culture have to blend and develop together with abundant cultural resources, such as contents development, city's symbolic space settings, differentiated cultural and artistic establishment, comfort in living, utilization of cultural infrastructure, and supporting facilities which are suitable for cultural diversity. In particular, we found that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new city image that leads local residents willing to participate and of forming a consensus among tourists. Therefore, for the implementation of a cultural city, policies, undertaking, and administrative support that meet to the city's conditions and environment are required, and a further study on that issue is needed.

지역 문화콘텐츠의 물리적 홍보 파급효과 분석 -특화거리를 중심으로- (Analysis Ripple Effect for Physical Promotion in Connection with Local Cultural Contents: Primarily based on Specialized Streets)

  • 손상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33-42
    • /
    • 2016
  • 문화콘텐츠는 지역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역사적 가치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더욱이 방문객을 지역으로 유입하고, 지역 상권을 활성화한다는 점에서 관심이 높다. 같은 맥락에서,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특화거리 조성은 시민과 소통하고 도시의 문제를 융합하는 역할을 한다. 새로운 공간 조성을 우선하기보다 지역이 가진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단계적으로 접근하는 사업이다. 이에, 문화콘텐츠는 지역민에게 친근하고 공감할 수 있는 집약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정부와 지자체 사업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객관적으로 제시하는 노력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콘텐츠의 반영이 얼마만큼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콘텐츠가 적용된 특화거리는 고용유발 승수, 취업유발 승수, 수입 승수, 세수 승수 관광산업이 서비스업보다 집약적인 사업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서비스업은 생산유발승수, 소득유발승수, 부가가치유발승수, 관광산업의 전 후방 연쇄효과(영향력 계수, 감응도 계수)가 집약적인 승수로 추론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화콘텐츠를 접목한 특화거리 조성이 지역의 경제적 시너지효과와 관계함을 제시하는 것이다.

유비쿼터스 기반의 문화서비스 추진방안 (Approach to Promotion of Ubiquitous-based Cultural Service)

  • 공봉석;정경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46-155
    • /
    • 2007
  • 21세기로 접어들면서 국가발전 동력은 '지식과 정보' 중심에서 '창의성(Creativity)'이 중요시 되는 문화기반 경제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 창의적 문화 기반 경제 시대에서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역량은 '문화콘텐츠'라 볼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추진되고 있는 유비쿼터스 사업의 특징은 RFID 중심의 인프라 구축으로 치중되어 실제 서비스를 제공받는 일반 국민의 인지도가 낮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기술과 '문화콘텐츠'가 결합되어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는 문화서비스 추진방안을 4가지 측면으로 다룬다.

문화콘텐츠 관련 융복합 기업들의 주가동향 및 향후 투자가치 분석 (Analysis of a Stock Price Trend and Future Investment Value of Cultural Content-related Convergence Business)

  • 최정일;이옥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45-5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종합주가지수와 코스닥지수, 문화콘텐츠 산업과 관련이 높은 오락 문화, 디지털콘텐츠 지수를 이용하였다. 지난 2004년 3월에서 2015년 7월까지 총 597주 동안 각각의 주가지수 및 수익률 동향을 파악하였다. 각 주가지수의 수익률, 변동성, 상관관계, 동조화현상 등을 비교 분석하여 콘텐츠관련 주식들이 투자가치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향후 문화콘텐츠 산업의 높은 성장 가능성을 보았을 때 관련 주식들의 투자 가능성에 기대를 걸어보았다. 분석 결과 지난 2008년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문화콘텐츠 관련 주식들이 더 높은 상승률을 보여주었다. 최근 문화콘텐츠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점점 투자가치 메리트가 증가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향후 문화콘텐츠 산업이 계속 발전할 것으로 예상되어 이들 기업에 대한 투자자들의 많은 관심이 이어지면서 문화콘텐츠관련 기업들의 투자가치 상승에 많은 기대를 걸어본다.

문화콘텐츠로서의 당산숲 인식 증진을 위한 방법론 고찰 -당(堂)과 연계시킨 제주도 저지오름 대안 탐방로 모색을 사례로- (Perspectives of methodology for Heighten Public Awareness of Dangsan Forest as Cultural Contents -Case of Alternative Trail of Jeoji Oreum Connected with Dang in Jeju Island-)

  • 최재웅;김동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924-934
    • /
    • 2013
  • 전통마을숲은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문화경관으로서 국가적 문화자산이다. 한라산 자락에 있는 기생화산 오름의 수는 총 368개이고, 제주도 전역에 총 391개의 신당(神堂)이 있는데, 근래에 관광객을 위한 올레길, 도로 개설 등으로 인해 제주 신당이 급속히 훼손되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제 문화콘텐츠는 로컬리티(지역성)와 글로벌리티(세계성)를 같이 갖추어야 하며, 우리의 고유한 콘텐츠로서의 글로컬문화콘텐츠 생산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당(堂)과 연계한 제주도 저지오름 탐방로 개선방안을 고찰한 것이다. 당숲 구간을 오름 탐방로와 연계하면 실생활에 살아있는 전통문화경관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당과 오름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는 제주도 농어촌마을들이 탐방로를 따라 그 테마와 원형이 잘 보전, 관리된다면 세계적인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지닌 곳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1990년대 이후 국가혁신체제의 한·중 비교를 통한 관점의 국내 문화콘텐츠 발전 방안 연구 (A Study on Domestic Development Plan by Comparing Korea and China's Cultural Conten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ational Innovation System after 1990's)

  • 김미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594-601
    • /
    • 2020
  • 본 연구는 1990년대 이후의 한국과 중국의 국가혁신체제의 변화에 주목하여 현재 한국이 처해 있는 국가혁신체제의 한계점을 중국의 성공적인 내생적 국가혁신체제로부터 이를 벤치마킹하여 한국의 문화콘텐츠에 적용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현재 한국의 문화콘텐츠는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 속 지속 가능한 성장의 동력이 필요한 시점이며, 이를 중국의 국가혁신체제의 성공사례로부터 적용한 결과 Push 전략의 한국문화콘텐츠의 생산을 Pull 전략으로 변화시켜야 한다. 즉, 시장 변화의 패러다임에 맞는 문화콘텐츠 생산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기존 기술 또한 기존 생산되어진 한국 문화콘텐츠, 대표적으로 K-pop은 물론 K-뷰티, 한식 등으로 구성된 각 요소에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 내는 방향으로 이끌어야 하며, 무엇보다도 해외로의 유통에 있어 국가의 제도적 혁신이 필요함을 도출했다.

SNS 디지털 환경의 특성이 문화콘텐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정보적 참여, 감정적 애착의 매개 역할을 중심으로 (Influence of SNS Digital Characteristics on Cultural Contents Purchase Intention)

  • 이한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336-345
    • /
    • 2012
  • 디지털 환경하에서 소비자들의 제품 및 서비스 구매 형태가 변화하고 있으며 특히 문화콘텐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소비 행동이 변화하고 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같이 고객간 상호작용이 확대된 경우에는 소비자의 정보적 참여가 확대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문화콘텐츠 소비관련 태도에도 영향을 줄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SNS를 사용하는 디지털 환경의 특성을 구분하고 디지털 환경의 특성이 소비자의 문화콘텐츠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두차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첫 번째 연구에서는 SNS를 사용하는 디지털 환경 특성을 정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두 번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디지털 환경 특성과 소비자의 정보적 참여 및 감정적 애착, 소비자 구매의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 환경의 특성으로 정보적 상호작용성, 정보적 연결성, 정보적 신뢰성을 확인하였고 이는 소비자의 정보적 참여를 촉진하며 소비자의 문화콘텐츠에 대한 감정적 애착에 영향을 주고 궁극적으로 문화콘텐츠의 관람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문화지도 기반 사진 콘텐츠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Photo Contents based Electronic Cultural Atlas)

  • 이동열;강지훈;문상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315-323
    • /
    • 2015
  • 융합학의 한 형태인 전자문화지도의 활용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전자문화지도의 특성 중의 하나인 전시 및 공유 효과를 기반으로 하여 사진정보를 활용을 위한 전자문화지도를 설계하고자 한다. 이는 사진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 중의 하나로, 사진이 단순한 이미지가 아닌 수많은 정보를 담고 있는 객체로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진 콘텐츠를 활용하여 전자문화지도를 설계하고 이러한 전자문화지도를 활용하였을 때 이전의 사진 전시 방식과 어떠한 차별점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한다. 세부적으로 기존의 사진 전시 방식의 한계를 살펴보고 전자문화지도 시스템을 활용하여 사진을 전시 및 공유하고 사진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였을 때 사용자 및 연구자들의 활용성과 편이성에 대해 연구한다.

Analyzing trends in cultural contents tourism using big data

  • Youn-hee Choi;Sang-Hak Lee;Gi-Hwan Ryu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4호
    • /
    • pp.326-331
    • /
    • 2023
  • Korea's cultural content industry can develop into another unique tourism industry. However, since other prior studies focus on the Japanese content industry, this study identifies modern industrial trends by combin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content, that is, cultural content tourism, and the analysis ability of big data.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the cultural content tourism industry were studied by utilizing the extensive information collection and in-depth analysis capabilities of big data, an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trend of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is related to the business aspect of cultural content, not the pure content interest of cultural content. This shows that Korean cultural contents have a strong business aspect. As a limitation, when research design was conducted using social media big data, the age, gender, etc. of the subject analyzed with unique anonymity could not be known. The Korean cultural content industry is expected to be successful in terms of bus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