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contents

검색결과 2,280건 처리시간 0.027초

A Study on Metaverse Culture Contents Matching Platform

  • Kim, Jeong-Gw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232-237
    • /
    • 2021
  • Pre-Corona cultural content was largely formed face to face. For example, the service was great while visiting tourist attractions, visiting performances to see K-Pop, or visiting lectures to learn K-Beauty. However, after the coronation, the virtual world-centered Metaverse began to take the spotlight as non-face-to-face services changed. IT and cultural contents have been combined and developed into various digital services. In that sense, Metaverse, which breaks the boundaries between real-world space and virtual space, has the potential to escape from physical time and space constraints. However, Korea still lacks a Metaverse platform for cultural content.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match each other's necessary services by providing Metaverse -oriented cultural contents that users want, including experienced cultural contents such as K-pop and K-beauty, away from cultural contents that are developed around history museums. Therefore,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propose a Metaverse-based cultural content matching platform where users can experience cultural content directly or indirectly.

문화콘텐츠 통합을 위한 메타데이터 포맷 연구 (A Study on Metadata Formats for Integration of Cultural Contents)

  • 조윤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4-133
    • /
    • 2003
  • 최근 문화콘텐츠 관련 기관들은 분산 네트워크를 통해 이용자에게 문화콘텐츠의 접근을 점차 확대시키고 있다. 그러나 문화콘텐츠의 특성상 일반 콘텐츠와 달라서 많은 문화콘텐츠 객체는 정보의 조직과 검색에 사용할 수 있는 단어를 거의 포함하고 있지 못하다. 이러한 문화콘텐츠 시스템이 서비스 될 경우, 효율적으로 자원을 식별하고 검색할 수 없게 될 뿐 아니라 다양한 문화콘텐츠 메타데이터 요소간의 명칭, 표현, 의미가 상이하여 시스템간 연동이나 정보공유가 어렵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화콘텐츠의 속성에 적합한 표준화된 메타데이터의 조직과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 분야에서 다야하게 접근되고 있는 메타데이터 포맷인 Dublin Core, EAD, VRA, CDWA, CIMI. Object ID를 중심으로 각 포맷의 데이터 요소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상이한 메타데이터 포맷의 상호운용성 확보를 통하여 문화콘텐츠 통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아시아 문화콘텐츠 시장개척을 위한 교육지원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of Educational Training System for Contents Specialist for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in Asia)

  • 이은령;김교정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47-55
    • /
    • 2010
  • 문화콘텐츠 산업은 지식기반 핵심산업으로, 정보통신기술에 인간의 창의성, 상상력, 감성, 스타일을 투입하여 문화콘텐츠기반 경제사회로 전환하고 있다. 문화산업은 문화전쟁이라는 커다란 변화속에 콘텐츠파워(contents power)로 급속히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의 추세속에서 우리 문화콘텐츠는 아시아를 넘어 각국으로 진출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제한된 현지시장정보와 지역특성을 반영한 문화전반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문화콘텐츠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을 통하여 문화콘텐츠의 지속적인 수출확대와 신규시장개척의 교두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 지역전문가 양성이 요청된다. 본 논문에서는 진출 대상 국가의 문화산업 리딩그룹을 국내에 초청하여 우리나라 콘텐츠를 경험케 함으로써 자국 내에서 친 한류 지속화 기반 및 수출확대를 지원하는 초청연수 및 한국기업의 해당국 파견연수, 한국내 체류하는 유학생 연수에 대한 교육지원시스템, ETS-CS(Educational Training System for Contents Specialist)을 설계하고 이를 현장에서 적용한 사례를 분석하여 향후 더 나은 시스템으로 활용도를 높이고자 한다.

문화원형의 디지털콘텐츠 개발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Model for Digital Contents of Cultural Archetype)

  • 황동열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5-62
    • /
    • 2003
  • 우리 문화원형의 디지털콘텐츠화를 위한 조작적 개념 정의와 디지털기술의 발전에 따른 문화콘텐츠의 디지털화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아울러 문화원형과 디지털콘텐츠기술을 접목하여 우리 문화에 담겨진 원초적 아이디어와 이미지를 원형으로 한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 개발을 위한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원형콘텐츠의 요소 추출과 문화원형콘텐츠의 가치사슬 점검을 통하여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 개발 모형을 도출하였다.

  • PDF

공공도서관의 지역문화콘텐츠의 관리와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전남지역의 농어촌 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anagement and Practical Use Program of Local Cultural Contents in the Public Library)

  • 장우권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271-292
    • /
    • 2009
  • 공공도서관은 공중의 정보이용, 문화활동, 독서활동 및 평생교육을 증진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갖추고 지역사회의 고유성을 반영하는 개별 지역문화기관이다. 이에 공공도서관은 지역과 함께 하는 살아있는 유기체로서 해당지역의 특성과 요구를 적극 반영하는 개성 있는 도서관체계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적 측면에서 지역민의 중요한 지식정보센터로서 다양한 지식정보와 문화프로그램, 지역문화콘텐츠 제공을 위해 각 지역에 산재되어 있는 지역문화콘텐츠의 관리 현황을 살펴보고 공공도서관에서 그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문화분류와 문화콘텐츠산업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 Cultural Classification and A Culture Contents Industrial Classification)

  • 안인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5-22
    • /
    • 2006
  • 문화분류와 문화콘텐츠산업분류는 관련 정책, 지원, 통계, 평가를 위한 필수적인 기본도구이며, 이과정은 순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의 용례를 법, 문화지표, 통계, 평가항목, 관련 연구보고서 분석하여 살펴본 결과 단기적 목적에 따라 아주 다양하게 분류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콜론분류방법에 기초한 분류안을 제시하였으며, 분류요소로서 통신망, 매체, 장르, 문화영역구분을 사용하였다.

지역문화콘텐츠를 활용한 대학도서관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University Libraries Using Local Cultural Contents)

  • 노영희;이석형;신영지;곽우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69-18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요구와 함께 대학도서관의 역할 및 기능이 지역 정보서비스의 거점이자 지역정보서비스센터로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대학도서관이 지역정보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지역문화콘텐츠를 활용한 대학도서관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학도서관에서는 지역을 대표하는 핵심 문화콘텐츠 또는 지역 출신 인물과 관련한 콘텐츠 등을 지역문화콘텐츠로 선정하여, 지역의 관련 기관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서비스하거나, 직접 자료를 제작하여 지역의 문화와 예술을 기반으로 한 사회적, 문화적, 교육적 기능을 수행하여야 한다. 둘째, 대학도서관은 지역문화콘텐츠 관련 프로그램을 기획할 때, 지역 탐방과 학습, 독서, 체험 등이 결합된 형태로 진행하여야 한다. 셋째, 대학도서관은 지역문화자원 관리시스템 구축을 통해 문화자원의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보존과 광범위한 서비스 확대를 통해 문화자원 저장소와 문화자원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문화콘텐츠산업과 접목을 통한 관광산업 활성화 방안 :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tourist industry integrated with culture contents industry : about the only area of cheju)

  • 이창훈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5호
    • /
    • pp.267-281
    • /
    • 2009
  • 이 논문은 문화콘텐츠를 타 산업분야와 효과적으로 접목시켜 또 다른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의도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제주자치도의 주력산업인 관광산업과 문화콘텐츠의 접목이 어떤 방향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인지를 살펴보았다. 문화콘텐츠가 다양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나 이를 효과적으로 개발하고 부가가치로 연결하려는 노력은 현재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지방자치단체들의 문화콘텐츠에 대한 인식의 부족은 심각한 수준이다. 이를 개선하기위해서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제대로 된 인식과 이를 효과적으로 부가가치로 연결시키려는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은 문화콘텐츠의 개발은 단순한 콘텐츠의 개발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부가가치 수립을 위한 캐릭터 상품의 개발전략 수립, 관광상품 개발전략 수립, 슬로건의 통합 등 다양한 방법이 결합되어야만 가능하다는 것을 제안 하였다.

  • PDF

생태계 관점에서의 문화콘텐츠 산업 구성 및 구조 (Ecosystem Configuration and its Structure of Cultural Contents)

  • 류준호;윤승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327-339
    • /
    • 2010
  • 문화콘텐츠는 본래 다양한 콘텐츠 생산자와 유통 소비에 이르는 사이클을 가지고 있는 분야이다. 이러한 사이클 안에는 문화콘텐츠 생태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개체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고 이들 개체들 간의 조화로운 관계의 모색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문화콘텐츠분야에 대한 생태계적 관점의 접근은 최근 관심의 확대는 물론 관점 적용에서 오는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본격적으로 시도되지 않은 분야이며, 따라서 문화콘텐츠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개체 요소의 미확인은 물론 개체간의 상호 작용 원리, 개체별 발전 방안,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개체의 공통적 발전을 이루는 공진화의 원리 등 생태계 내부 및 그 작용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없는 상태이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와 사회과학의 제 분야에서 연구되어 온 생태계 모델을 통해 문화콘텐츠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개체 요소의 확인, 그리고 각 개체들간의 상호 작용 및 개체 각각은 물론 전체 생태계의 발전 방향에 대해 모색해 보고자 한다.

문화콘텐츠 통합을 위한 메타데이터 포맷 연구(II) -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Metadata Formats for Integration of Cultural Contents : Focus on case to Library, Museum and Art Museum)

  • 조윤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01-219
    • /
    • 2004
  •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등 문화유산기관에서 문화콘텐츠 정보의 조직에 사용하고 있는 메타데이터 포맷은 Dublin Core나 Object ID와 같이 단순한 포맷에서 CDWA나 MARC와 같이 복잡하고 풍부한 포맷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포맷이 사용되고 있다. 아울러 각 문화유산기관의 특성에 따라 요소간의 명칭, 표현, 의미가 상이하게 사용됨으로써 문화콘텐츠 정보시스템간 연동이나 협력망 구축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문화콘텐츠 통합을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현재 각 문화유산기관에서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는 메타데이터 포맷에 관한 데이터 요소의 비교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대표적인 문화유산기관인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의 메타데이터 사용 사례를 중심으로 각 포맷의 데이터 요소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상이한 메타데이터 포맷의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하여 포맷별요소의 상호참조표를 작성하고 최소 수준의 메타데이터 요소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