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e

검색결과 549건 처리시간 0.028초

항공 라이다데이터를 이용한 산림영역 탐지 (Detection of Forest Areas using Airborne LIDAR Data)

  • 황세란;김성준;이임평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3호
    • /
    • pp.23-32
    • /
    • 2010
  • 산림영역에서 획득된 라이다데이터는 산림영역의 DTM생성, 수고 및 산림생체량 추정과 같은 산림연구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한 핵심적인 전처리 과정으로 본 연구는 라이다데이터로부터 산림영역을 효과적으로 탐지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먼저 라이다데이터로부터 산림영역으로 판단하기에 효과적인 다반사 특성, 높이값 편차 및 공간적 분포에 기반한 세 가지 인지적 단서를 제시하였다. 각 단서들에 기반하여 산림후보영역을 탐지하고, 오분류를 제거하고 경계를 정제하기 위한 이진형태학적처리를 수행하여 최종산림영역을 결정하였다. 항공영상을 이용하여 생성한 기준데이터로 검증한 결과에 따르면 세 종류 단서에 의한 방법 모두 약 90% 이상의 정확도를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다반사 특성에 기반한 방법이 다른 방법에 비교하여 정확도 및 단순도 측면에서 보다 좋은 방법으로 판단된다. 또한, 각각의 단서에 기반한 개별적인 결과를 조합하면 분류 정확도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각 통제를 이용한 다중감각 훈련이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체간위치감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Balance and Trunk Repositioning Sense with Multisensorial Training using Visual Cue Deprivation in Subacute Stroke Patients)

  • 소동학;이완희;윤미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737-743
    • /
    • 2013
  • 본 연구는 시각 통제를 이용한 다중감각 훈련이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체간위치감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다중감각 훈련군은 시각통제 후 훈련을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안대로 눈을 가린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군과 동일한 훈련을 실행 하였다. 두 군 모두 훈련 과정은 4주간 주 5회 60분 동안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은 사전, 사후 평가로 정적 균형, 동적 균형 및 체간위치감각을 검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중감각 훈련군에서 훈련 전, 후를 비교한 결과 정적 균형, 동적 균형, 체간위치감각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고(p<.05), 두 그룹 사이에서는 동적 균형, 체간위치감각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다중감각 훈련은 동적 균형 및 체간위치감각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훈련방법으로 제시 할 수 있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 양육지식 및 민감성의 비교 연구 -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fathers and mothers on the Parenting Efficacy, Knowledge of Infant-care and Sensitivity)

  • 이영환;오미연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47-6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aring parenting efficacy, knowledge of infant-care and sensitiv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0 parents having 12-24 monthes old child in the city of Jeonju, Korea. Parenting efficacy was developed by Shin, Suk-Jae(1997) and consisting of 16 questions. The knowledge of infant-care was assessed using 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Inventory(KCDI) by Yoon Hyung Ju, which was modified by pedology Professor and 3 graduate school students in master's or doctorate courses. In addition, by using a tool made by Gwon, Mi-Gyeong(1998) centering on the literatures on infant cue in Barnard's NCAST program, the parents' sensitivity of infant cue is investigated.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is done with SPSS 10.0, and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F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re also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mother's parenting efficacy was higher than fath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ing efficacy by eudcational level of mothers. Second, knowledge of infant-care was higher in mothers than fathers. Areas that mothers have knowledge of infant-care in the order of the lowest areas are emotional development, sociality development, physical development and cognitive development. Third, mothers reaction to infant cue is more sensitive and positive than father's. Fourth,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with father's parenting efficacy and knowledge of infant-care on emotional development, and paternal parenting uneasiness has negative correlations with his sociality development and emotional development.Meanwhile,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with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knowledge of infant-care on emotional development. Maternal parenting efficacy has negative correlations with her knowledge of infant-care on emotional development.

  • PDF

입체시에 근거한 3차원 모양 항상성의 검증 (Stereoscopic 3-D shape constancy)

  • 이형철
    • 인지과학
    • /
    • 제10권3호
    • /
    • pp.17-28
    • /
    • 1999
  • 양안 부등 정보에 근거하여 모사 된 타원형 및 포물선형 반원주체가 관찰거리가 변화함에 딸 체계적으로 왜곡되어 지각되었다. 실험1과 실험3의 두 가지 관찰조건 모두에서, 타원형 반원주체는 45 cm의 관찰거리에서는 실제 모양과 근사하게 지각되었으나 135 cm의 관찰거리에서는 실제 곡면성의 75%로 과소 평가되어 지각되었다. 실험2에서는, 관찰거리에 대한 정보가 풍부할 때, 포물선형 반원주체가 45 cm의 관찰거리에서 실제 곡면성에 비해 118%의 곡면 성을 갖는 것으로 과장되어 지각되었으며, 90 cm의 관찰거리에서는 실제에 근접하여 지각되었고, 135 cm의 관찰거리에서는 실제 곡면성에 비해 85%로 과소 평가되어 지각되었다. 관찰거리에 대한 정보가 감소된 관찰조건에서는 모든 관찰거리에서 실제의 곡면 성 보다 다소 과소 평가되어 지각되었다. 예를 들어, 45 cm의 관찰거리에서는 실제 곡면성에 근접하여 지각되었고, 135 cm의 관찰거리에서는 실제 곡면성에 비해 68%로 과소 평가되어 지각되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들은 시각기제가 양안 부등을 추정한 관찰거리로 척도와(scale) 하여 3차원 모양을 표상 하게 된다는 설명을 지지하고, 이에 대립되는 가정, 즉 거리에 따라 변하지 않는 부등 곡률(disparity curvature)을 탐지해 냄으로써 3차원 모양을 직접 지각할 수 있다는 가정이 타당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 PDF

술어기반 문형정보를 이용한 자동요약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Automatic Summarization System Using Verb-Based Sentence Patterns)

  • 최인숙;정영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7-55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특정 주제분야의 텍스트를 대표할 수 있는 단어술어를 추출하고 기본문형을 형성 한 후 각 단서술어의 기본문형을 실례화하여 연결함으로써 요약문을 작성하는 자동요약시스템의 모형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시스템은 학습과정과 요약과정을 구분되며, 학습과정에서는 술어와 격조사를 출현빈도를 이용하여 주제분야 텍스트집단을 대표하는 단어술어와 필수격 조사를 추출한 뒤 단어술어가 이루는 문장의 기본문형을 형성한다. 요약과정에서 실례화 규직을 요약 대상 문장의 구문 분석 결과에 적용하여 기본문형의 격조사와 결합될 논항을 찾아 단문을 생성하고 연결하여 요약문을 완성한다. ‘화재’및‘강도’와 관련된 신문기사를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작성된 요약문은 단어술어가 포함된 주요 문장에서 추출한 필수 정보항목과 술어를 중심으로 생성된 문장들로서 문장간의 연결이 자연스러울 뿐 아니라 텍스트의 전체적인 의미를 표현할 수 있었다. 또한, 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학습을 통해 주제영역의 확장이 가능하였다.

  • PDF

파킨슨병 환자의 Handwriting 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학습 전략에 대한 문헌 고찰 (A Review of the motor learning stratige to improve handwriting function in Parkinson's disease)

  • 유연환;박진혁;이주현
    • 재활치료과학
    • /
    • 제4권1호
    • /
    • pp.29-38
    • /
    • 2015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파킨슨병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handwriting에서의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운동학습 전략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방법 : 이를 위하여 파킨슨병 환자에게 발생하는 handwriting에서의 문제점인 소자증(Micrographia)을 치료한 국내 외 문헌들을 고찰하였다. 결과 : 소자증을 개선하기 위해 파킨슨병 환자에 적용하는 운동학습 방법 중 외적단서와 되먹임 전략을 주로 적용한다. 이는 기저핵 손상으로 인한 내적 동기체계의 문제와 운동 개시의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외적단서는 시각적 청각적 언어적 단서 등을 이용하였고, 되먹임은 주로 시각적 자극을 이용하였다. 외적단서와 시각적 되먹임을 제시하는 동안 소자증을 가진 환자의 글자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효과가 있었고, 일부 연구에서는 단서 제거 후 짧은 기간 동안 쓰기과제 수행이 유지되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결론 : 앞으로 운동학습의 효과가 장기간 유지되는 전략을 도출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유통점의 샘플링에 관한 연구 : 후각적 자극과 매장 밀집도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Sampling of Distributors : Relating Olfactory Cues and Social Density)

  • 황희중;윤명길
    • 유통과학연구
    • /
    • 제16권9호
    • /
    • pp.59-63
    • /
    • 2018
  • Purpose - It has already been proved that 'mood' as the physical environment of shopping affects consumers' main sensory channels such as sight, hearing, smell, touch. However, there is no consensus on how the olfactory cue influences the customers in the shopping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previous studies on how the olfactory cue affects the customers in the shopping environment and present a clear direction as a suggestion for progressive research.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t is not important to use a lot of unconditional fragrance, but it should be exposed to the environment that suits the proper fragrance. In recent years, meaningful research on store fragrance has been slowly increasing. As a result, studies on the fragrance effects of retail stores have been conducted to verify the relevance of fragrance suitability in stores and consumer spending scale. Results - The fragrance appropriate for each store can not be uniformly specified as any fragrance. This is because external variables such as time, season, temperature, lighting, density of shoppers, and music in the store also affect customer evaluation. For example, using an unsuitable fragrance may encourage customers to leave the store quickly by restraining impulsive purchases or by disturbing concentration. The store manager should also be interested in using fragrances that are proven and effective in the store environment, but they should also have the ability to easily manipulate and manage the fragrances very appropriately according to changes in the store environment. Store managers should observe consumer preferences and responses according to their goals and strategies, and then systematically manage and store information about the fragrance appropriate to the store. Conclusions - In the future, the fragrance marketing researcher needs to consider the spatial form and density of the customer. In practice, managers operating a retail store should check the most appropriate store density(congestion) according to the size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store and maintain the ideal conditions.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how to select and control sensory elements such as fragrance(olfactory), music(auditory), and lighting(visual).

다시점 영상 시스템을 위한 얼굴 추적 (Face Tracking for Multi-view Display System)

  • 한충신;장세훈;배진우;유지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2C호
    • /
    • pp.16-24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관찰자의 시점에 적응적인 다시점 영상 합성 시스템을 위한 얼굴 추적 기법을 제안한다. depth 카메라를 이용하여 텍스쳐 영상과 깊이 정보를 획득한 후, 회전(rotation)과 이동(translation) 등 기하학적인 변환을 이용하여 관찰자의 위치를 고려한 다시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관찰 시점의 위치와 각도에 의한 입체감(motion parallex cue)을 제공하기 위하여 주 관찰자의 얼굴을 추적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에서는 모니터에 설치된 얼굴 획득용 카메라로부터 얻은 영상에서 얼굴 색상의 통계학적 특성과 변형적 형판(template)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초기에 설정된 주요 관찰자(dominant face)의 얼굴영역을 추적하게 된다. 실험 결과 복잡한 배경 하에서도 얼굴 영역의 위치를 성공적으로 검출 및 추적하여 관찰자 시점에 해당하는 3차원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었다.

생각회피훈련을 이용한 생각억제와 생각대체 전략의 효과비교 (Comparison of Effects of Thought Suppression and Thought Substitution Strategies Using Thought Avoidance Training)

  • 신영은;민윤기;이영창
    • 감성과학
    • /
    • 제24권1호
    • /
    • pp.3-10
    • /
    • 2021
  • 본 연구는 생각/생각회피 과제를 이용하여 의도적 생각회피, 즉 생각억제와 생각대체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연관성이 높지 않은 2음절 단어자극을 선정하고, 단일집단을 대상으로 회상조건(단서회상, 표적회상)과 훈련조건(생각, 생각억제, 생각대체, 기저선)의 정확회상률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훈련조건과 관계없이 표적회상에 비해 단서회상의 정확기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상조건과 관계없이 다른 조건에 비해 생각조건의 정확회상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상조건과 훈련조건의 상호작용 효과의 경향성이 나타났으며, 세부적 검증 결과. 생각억제의 경우, 회상조건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에 생각대체의 경우에는 표적회상에 비해 단서회상의 정확기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생각억제와 생각대체전략이 모두 의도적으로 생각을 회피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과 더불어 생각억제와 생각대체전략이 서로 다른 원리에 의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거짓말의 단서로서 준언어행위 (Paralinguistic Behavior as a Deception Cue)

  • 김대중;박지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87-196
    • /
    • 2019
  • 본 연구는 심문 환경에서 나타나는 준언어행위가 거짓말의 단서가 되는지를 탐색하고자 했다. 92명의 대학생이 실험에 참여했으며, 실험참여자는 시나리오에 따라 현금을 절취하는 조건과 절취하지 않는 조건에 무작위로 할당되었다. 이어서 현금절취와 관련된 면대면 심문을 받았다. 심문 동안 실험참여자의 준언어행위는 녹화되어 코딩, 분석되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질문형태에 따라 거짓말의 단서로서 준언어행위의 차이가 나타나는데, 폐쇄형 핵심질문에서는 발화속도와 삽입어 사용이, 개방형 핵실질문에서는 응답지연길이, 응답길이, 삽입어 사용이 거짓말의 단서가 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준언어행위의 일부가 거짓말의 단서가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준언어행위를 활용하여 범죄 등의 진술 진위판단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