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aralinguistic Behavior as a Deception Cue

거짓말의 단서로서 준언어행위

  • 김대중 (동아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 박지혜 (동아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Received : 2019.03.21
  • Accepted : 2019.04.21
  • Published : 2019.04.28

Abstract

This experimental study examines whether paralinguistic behavior is a deception cue in an interrogation. 92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an experiment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conditions. Participant were then asked to take the money or not to take the money according to the condition they were assigned. Then participants had a face-to-face interrogation. During the interrogation, participants' paralinguistic behavior was recorded and used for coding and analysis. Results reveal that participants' paralinguistic behaviors differ depending on question types and deceptive paralinguistic cues are speech speed and fillers for the closed critical question and response latency, response length, and fillers for the open critical question. These findings implicate that part of paralinguistic behavior could be a deception cue and thus these cues might be applicable to deception detection in real world criminal investigations.

본 연구는 심문 환경에서 나타나는 준언어행위가 거짓말의 단서가 되는지를 탐색하고자 했다. 92명의 대학생이 실험에 참여했으며, 실험참여자는 시나리오에 따라 현금을 절취하는 조건과 절취하지 않는 조건에 무작위로 할당되었다. 이어서 현금절취와 관련된 면대면 심문을 받았다. 심문 동안 실험참여자의 준언어행위는 녹화되어 코딩, 분석되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질문형태에 따라 거짓말의 단서로서 준언어행위의 차이가 나타나는데, 폐쇄형 핵심질문에서는 발화속도와 삽입어 사용이, 개방형 핵실질문에서는 응답지연길이, 응답길이, 삽입어 사용이 거짓말의 단서가 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준언어행위의 일부가 거짓말의 단서가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준언어행위를 활용하여 범죄 등의 진술 진위판단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Keywords

CCTHCV_2019_v19n4_187_f0001.png 이미지

그림 1. 개방형 핵심질문에서 진실성과 성별에 따른 삽입어 사용 차이

표 1. 측정된 준언어행위의 종류, 정의, 측정단위

CCTHCV_2019_v19n4_187_t0001.png 이미지

표 2. 질문형태에 따른 각 준언어행위 차이

CCTHCV_2019_v19n4_187_t0002.png 이미지

표 3. 폐쇄형 핵심질문에서 성별과 진실성에 따른 준언어행위 차이

CCTHCV_2019_v19n4_187_t0003.png 이미지

표 4. 개방형 핵심질문에서 성별과 진실성에 따른 준언어행위 차이

CCTHCV_2019_v19n4_187_t0004.png 이미지

표 5. 폐쇄형 핵심질문과 개방형 핵심질문에서 진실성에 따른 준언어행위 차이 비교

CCTHCV_2019_v19n4_187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B. M. DePaulo, J. J. Lindsay, B. E. Malone, L. Muhlenbruck, K. Charlton, and H. Cooper, "Cues to deception," Psychological Bulletin, Vol.129, pp.74-112, 2003. https://doi.org/10.1037/0033-2909.129.1.74
  2. P. Ekman and W. V. Friesen, "Detecting deception from the body or fa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29, No.3, pp.288-298, 1974. https://doi.org/10.1037/h0036006
  3. 김시업, 전우병, 전충현, "군 수사현장에서 용의자의 비언어적 행동을 이용한 거짓말 탐지,"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12권, 제2호, pp.101-114, 2006.
  4. 김시업, 전우병, 김경하, 김미영, 전충현, "용의자의 거짓말 탐지를 위한 비언어적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9권, 제1호, pp.151-162, 2005.
  5. 전우병, 김시업, "남녀 대학생들이 거짓말시 나타내는 비언어적 행동단서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제20권, 제2호, pp.57-7, 2006.
  6. 노진아, 현명호, "거짓말의 음성 및 발화행동 특징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27권, 제1호, pp.119-137, 2008.
  7. 조은경, 이미선, 김재홍, "거짓말의 특징에 대한 신념: 경찰관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9권, 제1호, pp.185-198, 2005.
  8. 정연숙, 호텔 종사원의 유사언어가 대인신뢰 및 서비스 수행능력 평가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9. 김성경, 신명선, "일반 성인의 구어속도 선호도 연구," 언어치료연구, 제25권, 제2호, pp.57-64, 2016.
  10. 이소현, "대학생 말하기 향상을 위한 준언어적 구성 요소와 교육 방법에 대한 모색: 발표를 중심으로," 언어과학연구, 제79권, pp.251-287, 2016.
  11. 안병섭, "음운론적 발화실수의 유형화 시도," 언어학 연구, 제36권, pp.161-182, 2015.
  12. 박진원, "학령기 말더듬아동의 읽기유창성 및 쓰기유창성 비교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8호, pp.476-48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8.476
  13. 남현욱, 안종복, 권도하, "말더듬 아동 및 성인의 삽입어 특성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제7권, 제1호, pp.109-120, 2006.
  14. 신문자, "유창성장애의 특성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제1권, pp.82-103, 1996.
  15. 신문자, "유창성장애 성인의 말속도와 유창성측정에 관한 연구," 음성과학, 제7권, pp.273-284, 2000.
  16. 강성관, 형조셉전, "백채널 토큰, uh, um(uhm), and hm이 제2외국어 학습에서 미치는 순기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호, pp.25-38,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1.025
  17. 서종훈, "말하기에 드러난 쉼(pause)의 인식 양상 연구," 어문학, 제119권, pp.27-56, 2013.
  18. 김대중, 박지혜, 이희은, 김주찬, "커뮤니케이션 채널에 따른 시선행위 고찰: 면대면 심문과 영상심문 환경에서의 차이를 중심으로,"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제22권, 제4호, pp.4-34, 2018.
  19. P. Ekman, Telling lies: Clues to deceit in the marketplace, politics and marriage, Norton, 1992.
  20. M. G. Frank and P. Ekman, "The ability to detect deceit generalizes across different types of high-stakes li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2, No.6, pp.1429-1439, 1997. https://doi.org/10.1037/0022-3514.72.6.1429
  21. M. Zuckerman, B. M. DePaulo, and R. Rosenthal,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of deception," In L. Berkowitz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New York: Academic Press, pp.1-57, 1981.
  22. A. Vrij and S. Mann, "Telling and detecting lies in a high stake situation: The case of a convicted murderer,"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Vol.15, No.2, pp.187-203, 2001. https://doi.org/10.1002/1099-0720(200103/04)15:2<187::AID-ACP696>3.0.CO;2-A
  23. 김시업, 전우병, 전충현, "군 수사현장에서 용의자의 비언어적 행동을 이용한 거짓말 탐지,"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12권, 제2호, pp.101-114, 2006.
  24. 조은경, "거짓말의 특징과 탐지,"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21권, 제2호, pp.33-65, 2002.
  25. P. Ekman and W. V. Friesen, "The repertoire of nonverbal behavior: Categories, origins, usage and coding," Semiotica, Vol.1, No.1, pp.49-98, 1969. https://doi.org/10.1515/semi.1969.1.1.49
  26. A. Vrij, "Behavioral correlates of deception in a simulated police interview," Journal of Psychology: Interdisciplinary and Applied, Vol.129, pp.15-29, 1995. https://doi.org/10.1080/00223980.1995.9914944
  27. A. Vrij, Nonverbal communication and credibility. In A. Memon, A. Vrij, & R. Bull, Psychology and law: Truthfulness, accuracy and credibility Maidenhead, UK: McGraw-Hill, pp.32-59, 1998.
  28. Global Deception Research Team, "A world of lie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Vol.37, No.1, pp.6074, 2006. https://doi.org/10.1177/0022022105282295
  29. 이인성, 이수영, "웹 내비게이션과 인지부하: 인터넷 이용경험이 인지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1권, 제5호, pp.295-321, 2007.
  30. A. Vrij, "Why professionals fail to catch liars and how they can improve," Legal and Criminological Psychology, Vol.9, pp.159-181, 2004. https://doi.org/10.1348/1355325041719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