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ystal protein

검색결과 313건 처리시간 0.028초

$CoCl_2$로 유도된 C6 신경교세포의 사멸에 대한 억간산(抑肝散)의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Ukgan-san in $CoCl_2$-induced Cell Death of C6 Glial Cells)

  • 조문영;신용진;하예진;우찬;김태정;유주연;최용석;최정훈;신선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78-191
    • /
    • 2013
  •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made an effort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mechanism of Ukgan-san (UGS) extracts on hypoxia-induced C6 glial cell death. Methods : The cell viability was assessed by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MMT) assay and cell morphological changes were analysed with microscope after staining with crystal violet (CV). Reactive oxygen species (ROS) formation was assessed by flow cytometer after staining with 2'7'-dichlorofluorescein diacetate (DCF-DA). We also analyzed expression of hypoxia-inducible factor-1 alpha (HIF-$1{\alpha}$) and p53, processing of procaspase-3 and procyclic acidic repetitive protein (PARP) by western blot method. Results : We estimated the elevated cell viability by UGS extract on $CoCl_2$-induced C6 glial cells. UGS attenuated $CoCl_2$-induced ROS formation in C6 glial cells and also showed a protective activity compared to antioxidants and exhibited abrogation of LDH-released by $CoCl_2$. UGS suppressed the typical apoptotic cell death markers, caspase-3 and PARP activation. UGS inhibited $CoCl_2$-induced HIF-1${\alpha}$ expression which is known as a major regulator for hypoxia-induced cell death, and suppressed p53 expression.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UGS extract contains protective constituents for hypoxia-induced C6 glial cell death.

Post HCV Infection Due to MX Gene Stimulation Produced Post Treatment with Imported and Locally Produced Egyptian Biosimilar IFN

  • Mohamed, Shereen H;Mahmoud, Nora F;Mohamed, Aly F;Kotb, Nahla S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4호
    • /
    • pp.5635-5641
    • /
    • 2015
  • Background: Cirrhosis is regarded as a possible end stage of many liver diseases, including viral infection. It occurs when healthy liver tissue becomes damaged and is replaced by scar tissue and finally may lead to hepatocellular carcinoma. Interferons (IFNs)are two general categories, type I and II. Type I includes one beta interferon and over 20 different alpha interferons. Alpha interferons are very similar in how they work, interacting with other proteins on cells like receptor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x gene productivity post different cell line treatment with imported and Egyptian biosimilar locally produced IFNs, as well as the efficacy of those tested IFNs. Also, an assessment was made of sensitivity of different cell lines as alternatives to that recommended for evaluation of antiviral activity. Materials and Methods: Different cell lines (Vero, MDBK and Wish) were employed to evaluate cytotoxicity using the MTT assay. Antiviral activity was evaluated compared with standard IFN against VSV, Indiana strain -156, on tested rh-IFNs (imported; innovated and Egyptian biosimilar locally produced IFNs) in the pre-treated cell lines previously mentioned. The virus was propagated in the Wish cell line as recommended. Finally we estimated up-regulation of the Mx gene as a biomarker. Results: Data recorded revealed that test IFNs were safe in test cell lines. Viability was around 100%. Locally tested interferon did not realize the international potency limits, while the imported one was accepted compared with the standard IFN. These results were the same either using infectivity titer reduction assay or crystal violet staining of residual non- infected cells. Mx protein production was cell type related and confirmed by the detected Mx gene expressed in imported and locally produced IFN pre-treated cell lines. The expression of the gene was arranged in the order of Vero> wish > MDBK for the imported IFN, while for the Egyptian biosimillar locally produced one it was MDBK> Vero> wish. With regard to the antiviral activ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imported IFN potency compared with the locally produced IFN (P<0.05), the IFN potential (antiviral activity) was not cell line related and showed non-significant difference for each separate product. Conclusions: Vero cells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cell line for evaluation of IFN potency in case of unavailable USP recommended cell lines. Alternative potency evaluation assay could be used and proved significant difference in IFN potency in case of local and imported agents. Evaluation of antiviral activity could be used in parallel to viral infectivity reduction assay for better accuracy. Mx gene can be used as a marker for IFN potential.

굴 엑기스에서 결정물질 Brushite(CaHPO4 · 2H2O)의 생성 (Formation of Brushite (CaHPO4 · 2H2O) in the Oyster Extracts)

  • 이종수;윤소미;장준호;임치원;최광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29-733
    • /
    • 2006
  • 굴 자숙시 사용한 세척수를 농축하여 만든 굴 엑기스 제품에서 발생한 미세 결정물질을 분리하여 성분의 본체를 규명하고, 발생 원인을 추정하였다. 결정물질은 수분 8.1%, 유기물이 21.6%, 무기물 70.2%로 되어 있었으며, 유기물은 taurine, phosphoserine 등 9개의 유리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었고, 무기물의 주성분은 ICP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 Ca이 54.8%, P이 43.8%로 이 두 성분이 전체 무기질의 98.6%를 차지하였다. XRD 분석결과와 SEM 사진의 분석에 의하여 이 결정물질은 Ca와 인산이 결합된 $brushite(CaHPO_4{\cdot}2H_2O)$로 동정되었으며, 10 mg까지는 마우스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결정물질이 생성된 굴 엑기스에서 결정물질을 제거한 다음 남은 엑기스와 결정물질이 생성되지 않은 굴 엑기스의 칼슘이나 인 등의 함량이 비슷하여, 이 결정물질이 원래 굴의 성분으로 함유되어 있거나 굴 엑기스의 제조과정 중에 만들어진 소량의 brushite가 농축과정에서 점차 농도가 진하여지고, 저장중 굴 엑기스 내의 다른 성분이나 외부의 요인들에 의하여 결정으로 성장하고, 이렇게 성장된 결정이 황갈색으로 착색된 굴 엑기스 내에서 혼재하여 확인되지 않고 있다가 비중 차이에 의하여 저장 중에 굴 엑기스를 담은 용기의 바닥에 침전된 것으로 추정된다.

미생물 살충제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icrobial Insecticide)

  • 이재구;김교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9권4호
    • /
    • pp.189-201
    • /
    • 1976
  • 공업폐수를 이용하여 미생물 살충제를 생산하기 위하여 배양방법, 배양조건 및 생물학적 검정을 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B. thuringiensis avr. thuringiensis는 특히 나비목 해충에 유효한 ${\delta}-endotoxin$과 파리목에 유효한 fly-toxin을 생산하는 세균이다. (2) 제사공장에서 폐기되는 자견수를 영양원으로서 본 세균배양에 이용할 목적으로 분석한 결과 많은 량의 무기물과 단백질이 용으로부터 추출되어 나왔음을 알았다. (3) GYS 배지와 citrate salts배지를 만들때 물대신 자견수를 사용하면 가장 경제적으로 많은 량의 ${\delta}-endotoxin$을 얻을 있다. (4) GYS 배지에 8gr/l의 glucose 첨가시 균체와 crystal의 혼합물 생산량이 가장 많았다. (5) 아미노산중 leucine + isoleucine _ valine을 $1.25{\times}10^{-3}M$ 농도로 citrate salts 배지에 첨가시 공시세균의 증식이 훨씬 좋았다. (6) Na-glutamate를 citrate salts배지에 $2.5{\times}10^{-3}M$ 첨가시 가장 좋은 증식을 보였다. (7) 공시 나무목 해충중에서 total body extract의 pH가 가장 높은 Pieris rapae Linne (pH 8.4)에서 가장 좋은 살충효과를 보이고 Dendrolimus spectabilis Bulter와 Bombyx mori Linne에서는 효과가 낮았다. (9) 본 세균의 배양 상등액은 초파리에 대하여 높은 살충률을 보여 열에 안정한 exotoxin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 PDF

알긴산을 분해하는 해양미생물인 Sphingomonas sp. MJ-3 균주의 올리고알긴산 분해효소의 상동성 모델링 및 특성연구 (Homology Modeling and Characterization of Oligoalginate Lyase from the Alginolytic Marine Bacterium Sphingomonas sp. Strain MJ-3)

  • 김희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1-129
    • /
    • 2015
  • 알긴산은 미역이나 다시마 같은 갈조류의 세포벽에 존재하거나 또는 특정 박테리아들이 biofilm을 만들기 위하여 생산하는 L-${\alpha}$-guluronate 및 D-${\beta}$-mannuronate로 구성된 산성다당류이다. 전보에서 보고한 Sphingomonas sp. MJ-3의 외부 분해효소인 올리고알긴산 분해효소(oligoalginate lyase, MJ3-Oal)는 효소단백질의 N-terminal 영역에 내부 알긴산 분해효소인 polyM 분해효소의 단백질 서열과 상동성을 가지고 있었다. 본 실험에서는 MJ3-Oal이 외부 분해효소 활성뿐 만 아니라 내부 분해효소 활성도 함께 가지는 효소인지 알기 위하여 Saccharophagus degradans 2-40T 유래 올리고알긴산 분해효소인 Alg17c의 결정구조와 상동성 모델링을 행하였으며 기질과 수소결합을 할 것으로 예상되는 잔기 중 426번째 아미노산인 tyrosine을 구조가 비슷한 phenylalanine으로 돌연변이시키고 알긴산 분해양상을 wild type과 비교하였다. MJ3-Oal의 FPLC 결과를 보면 처음에는 이당류, 삼당류 등 올리고머가 증가하다가 최종적으로 단당류로 전환되었으나 Tyr426Phe 돌연변이 효소의 FPLC profile은 외부 분해활성만 나타내었다. 또한 $^1H$-NMR spectra 역시 MJ3-Oal은 polyM block 또는 polyMG block의 내부결합을 분해하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Sphingomonas sp. MJ-3 유래 올리고알긴산 분해효소는 외부 분해효소 활성 및 내부 분해효소 활성 모두 가질 가능성을 뒷받침해 준다.

도토리전분(澱粉)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Som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Acorn Starch)

  • 김정옥;이만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30-235
    • /
    • 1976
  • 3종(種)의 도토리 Quercus crispula Blume, Quercus serrata Thunberg 및 Quercus mongolica Fischer를 공시재료(供試材料)로 하여 그의 이화학적성질(理化學的性質), 호화도(糊化度), 점도(粘度) 및 X-ray회절등(回折等)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도토리는 지방(脂肪) $3.5{\sim}5.0%$, 단백질(蛋白質) $7.2{\sim}7.7%$, 당질(糖質) $71.6{\sim}76.3%$, 회분(灰分) $1.9{\sim}2.2%$였다. 2. Ether처리(處理)보다 85% methanol열처리(熱處理)가 보다더 순수(純粹)한 정제전분(精製澱粉)을 얻을 수 있었다. 3. 도토리 조제전분(粗製澱粉)은 일반(一般)으로 갈색(褐色)이나 정제전분(精製澱粉)은 회백색(灰白色)을 띄었다. 4. 호화(糊化)는 비교적 낮은 온도(溫度) 곧 $61{\sim}68^{\circ}C$이고, 호화개시(糊化開始)는 Q.C.B.>Q.S.T>Q.M.F.의 순(順)으로 빨랐고 점도(粘度)는 Q.M.F>Q.S.T.>Q.C.B.의 차례로 높았다. 5. 도토리전분(澱粉)은 그 결정구조(結晶構造)가 감자전분(澱粉)과 옥수수전분(澱粉)의 중간성질(中間性質)을 띈 것으로 추정(推定)된다. 또 고온습열처리(高溫濕熱處理)로서 면간격(面間隔)이 긴쪽 부터 먼저 결정구조(結晶構造)가 파괴되었다.

  • PDF

제주산양산삼이 세린-팔미토일 전이효소(Serine-Palmitoyltransferase)를 통해 피부 장벽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The Effect of Jeju Wild Ginseng Extracts on Skin Barrier via Serine-Palmitoyltransferase)

  • 김효민;이정노;김재문;김성규;박성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19-126
    • /
    • 2016
  • 피부는 스모그, 담배연기 및 UV와 같은 외부환경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가장 큰 기관이며, 보호 기작으로서 각질세포와 그 사이를 메우고 있는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 등의 세포간지질이 라멜라 액정 구조로 피부 장벽을 이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포간지질 중 세라마이드 생합성과 관련되어 있는 세린-팔미토일 전이효소(serine-palmitoyltransferase, SPT) 발현을 western blot으로 확인한 결과, 제주산양산삼 추출물이 농도의존적으로 SPT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주산양산삼 추출물을 5% 함유한 제형을 2주간 피부에 도포 후 TEWL을 측정하였을 때, 제주산양산삼 추출물을 함유한 에멀젼 도포부위의 TEWL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제주산양산삼 추출물이 SPT의 발현 증가를 통해 세포간 지질의 핵심성분인 세라마이드의 생합성을 증가시켰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제주산양산삼 추출물은 피부장벽기능을 개선시켜 TEWL 감소 효과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화장품 분야에서 피부장벽 강화 및 보습소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검정곰팡이의 형태분화에 따른 세포외성효소의 신생적생합성에 관한 연구 (Biosynthesis of the extracellular enzymes in de novo during the differentiation of Aspergillus niger)

  • 김종협
    • 한국균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0
    • /
    • 1978
  • 검정곰팡이(Aspergillus niger)의 액침배양과 액체표면배양을 통한 동조적 형태분화에 있어서 체외효소인 단백질분해효소, 알파 및 굴루크아밀라제의 신생적 생합성 상황을 연구하였다. 굴루크아미라제는 경자(phialide)가 성숙하는 단계 즉 포자 형성의 전단계에서만 그 활성이 왕성하였다. 단백질분해효소(산성, 중성 및 알칼리성)들은 분생자병의 성장단계에서 활성이 약간 증가하였으나, 경자의 성숙단계에서는 활성이 극히 활발하였다. 알파아밀라제는 경자의 성숙시기와 포자형성기에서 활성이 활발하였으며 그 활성은 장기간 지속 되었다. 알파아밀라제의 활성은 포자형성 기간중 계속 증가하였으므로 신생적으로 생합성된다고 할 수 있으며, 포도당배지에서 많은 량이 생합성되었고, 또 포도당량의 고갈에 즈음하여 그 생합성이 개시되었으므로 이 효소는 구성적 효소이며 이화 대사물의 억제작용(catabolite repression)을 받는 효소라고 할 수 있다. 포리아크릴아미드 젤(polyacrylamide gel)을 이용한 전기영동으로서 포자형성기와 그 전단계의 균체로부터 다양하고 선명한 세포외성 단백질을 분리할 수 있었다. 균사형성기나 포자발아기의 균체로부터는 극소수의 선명치 못한 분리상을 얻었다. C-14 우라실이 균체의 RNA핵산으로 섭취되어 들어가는 비율과 C-14 굴루탐산이 균체 단백질으로 섭취되어 들어가는 비율은 포자형성전기에서 왕성하였으며 포자형성 기간중에는 극히 저조하였다. 알파아밀라제의 신생적 생합성과 포자형성이 일치하는 현상은 유전인자의 표현과정이 내포되는 분화(포자형성)라는 점에서 볼 때 의의와 인과관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1.9 eV)와 $e_g$ $(2.8{\sim}3.0\;eV)$로의 전이 즉, $O^{2-}(2p){\rightarrow}Mn^{4+}(3d)$$O^{2-}$에서 $Mn^{3+}$ 이온의 $t_{2g}$ (2.3 eV)와 $e_g$ ($3.4{\sim}3.6$ eV)로의 전이 즉, $O^{2-}(2p){\rightarrow}Mn^{3+}(3d)$ 등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1.6, 1.8, 1.9 eV 부근에서 관측된 좁은 에너지 영역의 흡수구조 들은 팔면체 $Mn^{3+}$ 이온 내에서의 d-d 결정장(crystal-field) 전이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흡수구조는 Ni 치환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 강도가 감소한다. x = 0.6의 경우 $e_g$ 상태와 관련된 CT 전이구조 들이 $t_{2g}$ 상태와 관련된 전이구조 들에 비하여 큰 폭으로 감소하는데 이것은 Jahn-Teller 효과에 의해서 격자상수가 tetragonal 구조로 확장됨에 따라 $e_g$ 상태와 $O^{2-}(2p)$ 상태 간의 파동함수 중첩이 감소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의 영향(影響)을 더 많이 받고 있었다. 마. total ginsenosides의 분해반응시(分解反應時)의 활성화(活性化)에너지($E_a$)는 17.7kcal/mole이었고

  • PDF

Anisakis 형(型) 유충(幼蟲)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Anisakis Type Larvae)

  • 임정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93-307
    • /
    • 1975
  • As it has been known recently that anisakis type larvae harbouring in marine fishes are a causal agent of zoonosis to human and probably to land living mammal animals, attention was focused on the study on the larvae in an aspect of epidemiology or epizootiology. The present work was conducted from 1966 to 1975 for i) survey on the harbouring status of anisakis type larvae in marine fishes of this country, ii) observation on the response to the experimental infestation of the larvae to the pigs, in the reason that they could well fetid raw fish viscera occasionally containing the larvae as a high protein source of swine food, and iii) observation on the larval resistance and response to vermicidal agents for the purpose of prevention of the larval infection to the mammal animals. The data obtained in the studie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survey on the status of larvae harbouring in main species of marine fishes of this country, 15 species, a total of 1,940 fishes, were observed and the result was summarized in table 2. Average number of larvae, in upper rank of 5 out of all 15 species of fishes, were as highest as 156 larvae ranging 74 to 450 in Pseudosciaena manchurica (chamjogi), 54.5 ranging 15 to 240 in Trichiurus haumela (kalchi), 35.6 ranging 8 to 112 in Trachurus japonica (junggengi), 30.6 ranging 4 to 65 in Parapristipama trilineatum (benjari) and 20.5 ranging 3 to 48 in Nibea argentata (boguchi) respectively. In morphological observation, size of the larvae in the fishes were varied, ranging from 2 to 32mm long, and a tendency to larger size and number of larvae in the fishes, which were wider sea migration, higher age and lager bodily size, was observed The favorite places harbouring the larvae in fishes were mainly around the intraperitoneal viscera such as mesentery, omentum, liver, pyloric suspensory, fat tissue and cloaca, and rarely in body muscles of fish. Fishes heartily infested with the larvae showed stunted growth decreased egg formation and severe damage of liver. 2. In the experimental infestation of the larvae to normal pigs, as illustrated in table 3, a group with large dose of larvae (a total of 1,800 larvae, 300 larvae Per dose, twice in a dart for 3 days) showed acute clinical syndrome terminatine death with a week course, whereas two groups with less dose of larvae (a total of 180~360 larvae, 10 larvae per dose, at 5 days interval for 70~180 days) showed subclinical syndrome with remarkably stunted growth as. much as approximately one half of body size in contest to the control pigs. In the pathological findings, a group with large dose of larvae showed macroscopically larvae penetrating to the gastric wall with severe gastroenteritis, and histopathologically various acute lesions caused by active larvae penetration into the wall of stomach and interstine, whereas two groups with less dose of larvae showed chronic lesions such as hypertrophy and verminous granulomatous swelling of gastric wall, suggesting strongly the possibility of natural infestation of larvae to swine. 3. In the resistance of the larvae to the chemical solutions, the larvae tolerated for 2 days in 15 percent solution of sodium chloride and acetic acid, and for 7 days in 70 percent solution of ethyl alcohol. In the resistance to the temperature, the larvae died within 1 second at $62^{\circ}C$ and tolerated for 24 hours at $-3^{\circ}C$, 12 hours $-5^{\circ}C$ respectively. 4. For the experiment on the vermicidal effect to larvae, general vermicidal drugs such as Neguvon, Combantrin, antimony Potassium, piperazine adipate and piperazine dihydrochloride, oxidizer such as potassium permanganate and potassium chlorate, and dyes such as gentian violet and crystal violet were used, and among them, as illustrated in table 6, potassium permanganate was proved as the best. In the successive test for the practical use of potassium permanganate, vermicidal effect in seawater solution of potassium permanganate and common-water solution of potassium permanganate were compared, and then retested by dipping the fish viscera including the larvae into the two different solutions of potassium permanganate. The result through these tests indicated that 0.01 percent common water and sea-water solution of potassium permanganate could be apparently recommended as a preventive vermicidal solution, having 90 to 100 percent vermicidal effect by dipping for 12 to 24 hours even though sea-water solution of potassium permanganate had a tendency to slightly less effect than the common-water solution of potassium permanganate (Table 8).

  • PDF

다기능 탄산칼슘 형성세균의 시멘트 건축물 적용위한 부식능 평가 및 건축물 정주미생물 중 방제 대상 결정 (Assessment of Bio-corrosive Effect and Determination of Controlling Targets among Microflora for Application of Multi-functional CFB on Cement Structure)

  • 박종명;박성진;김사열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37-242
    • /
    • 2015
  • 탄산칼슘 형성세균에 의한 건축물 균열보수 및 그들의 내구성 증진은 기존 화학제에 비해 친환경적이며, 영구적이라는 측면에서 그들의 응용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균열복구 기전이 세균의 대사에 의한 calcite crystal 형성과정에서 기인되는 것으로, 대사과정 중 산 형성으로 시멘트 기반 콘크리트 건축물에 대한 위해 가능성 논란이 지속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멘트 모르타르에 대한 생물학적 부식능이 있는 방제대상 미생물을 결정하고 시멘트 콘크리트 건축물에의 안전한 적용을 위한 다기능성 탄산칼슘 형성세균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첫째, 건축물에서 분리된 균사형 진균, 효모, 세균 균주들을 대상으로 chalky test를 실시하여 $CaCO_3$에 대한 가용화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건축물에서 분리된 세균 균주의 경우 가용화 능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C. sphaerospermum KNUC253 및 P. prolifica KNUC263 균주가 $CaCO_3$에 대한 가용화 활성을 보여, 시멘트 기반 건축물 표면에서 방제되어야 균주로 판단된다. 둘째, 독도 토양 및 건축물에서 분리되어 시멘트 표면 진균생장 억제효과, 시멘트 표면균열을 수복 및 수분 침투력 감소효과가 보고된 특허등록 균주 A. nicotianae KNUC2100, B. thuringiensis KNUC2103, S. maltophilia KNUC2100 및 B. aryabhatti KNUC205들이 $CaCO_3$을 가용화하지 않음을 볼 때 산 형성으로 인한 시멘트 모르타르 주성분인 $CaCO_3$에 대한 위해는 없을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더하여 그들 중 B. aryabhatti KNUC205, A. nicotianae KNUC2100의 경우 건축소재 열화가능성의 판단근거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bio-degradative assay에서 다양한 고분자물질 구성요소에 대해 활성을 나타내지 않아 다양한 건축환경에 대해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