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ude saponin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31초

열처리(熱處理)가 인삼(人蔘)사포닌의 안정성(安定性)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Heating Treatment on the Stability of Saponin in White Geinseng)

  • 성현순;양재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2-26
    • /
    • 1986
  • 인삼엑기스의 추출온도와 추출시간, 그리고 열처리가 인삼엑기스의 사포닌과 순수분리 조제된 조사포닌의 양적 변화와 패턴변이에 미치는 영양을 조사하기 위하여 물을 추출용매로 하고 추출 조건별로 인삼엑기스와 조사포닌을 조제하고 조제된 조사포닌을 다시 열처리하여 그 변이여부를 HPLC법으로 측정비교하여 본 결과 순수분리된 조사포닌이 인삼엑기스중의 사포닌 경우보다 열처리에 의한 변이차가 더 컸으며 패턴별로는 ginsenoside-Rd가 비교적 내열성이었고 ginsenoisde-Re, -Rc, $-Rb_1$$-Rb_2$가 비교적 비내열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삼엑기스 조제시 사포닌의 패턴과 양적인 변이는 추출온도가 높고 추출시간이 길수록 컸으며 $100^{\circ}C$이상에서 특히 심하였다. 따라서 인삼엑기스중의 사포닌 함량과 ginsenoside별로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추출조건으로는 $80^{\circ}C$이하에서 40시간내외로 처리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anax(인삼)속 식물의 사포닌화합물 함량 및 조성 (Content and Composition of Saponin Compounds of Panax Species)

  • 고성룡;최강주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254-259
    • /
    • 1995
  • The content and composition of saponin compounds of Panax spec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species, region and processing type of red and white ginseng. The species employed were Korean-, Chinese-, Japanese red ginsengs, and Korean white ginseng of Panax ginseng, American- and Canadian ginsengs of Panax quinquefolium, and Panax notoinseng. Twelve main saponin components in the ginseng were identified and quantified using TLC and HPLC. All three species had remarkably different content and composition. However, within each species they were similar. Twelve major ginsenosides were determined in P. ginseng, eight in p. quinquefolium, and six in P. notoginseng. Of the components of P ginseng Rf, $Rh_1$, $Rh_2$ and Ra were not detected in P quinquefolium, and $Rb_2$, Rc, Rf, $Rh_2$, Ra and Ro not detected in P. notoinseam. Crude saponin content and protopanaxadiol/protopanaxatriol saponin ratio were compared. They were 4.81~5.24% and 1.27~ 1.45 in p. ginsengs, 7.01~7.25% and 2.12~ 2.15 in p. quinquefolium, 9.80% and 0.99 in P. notoineng. The prosapogenin and sapogenin content were different among the Panax species.

  • PDF

시호(Bupleurum falcatum L.)의 모상근 배양을 통한 Saponin 생산 I. 캘러스, 부정근, 모상근과 재배근의 Saponin 양상과 함량 비교 (Production of Saponin by Hairy Root Culture of Bupleurum falcatum L. I. Comparison of Saponin Content and Pattern in Callus, Adventitous Root, Hairy Root and Cultivated Root)

  • 안준철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6권1호
    • /
    • pp.43-49
    • /
    • 1993
  • In order to survey possibility to produce saikosaponin from in vitro hairy root culture, culture of callus, adventitous root, and hairy root of Bupleurum falcatum L. were estabilished,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in saikosaponin extracted from these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ultivated root. Callus grew well in MS medium containing 0.9 $\mu$M 2, 4-D. In contrast, both of adventitous root and hairy root grew well in hormone-free MS medium. However, hairy root showed more rapid growth with extensive lateral root branches, characteristics of lower content of water and softer than in adventitous root. Among the selected lines of adventitous root and hairy root were observed difference in the growth rate. Mannopine, one of opine synthesized in the transformed tissue with Agrobacterium rhizogenes. A4 were detected in the extract of hairy root lines. Pattern and content of crude saponin from adventitous and hairy root showed no difference, but somewhat difference from those of cultivated root. However, in callus, distinct production-aspect of saponin was not observed.

  • PDF

Hair Growth Promoting Effect of Radish Crude Saponin Extract on Athymic Nude Mice

  • Kim, Hyun-K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1호
    • /
    • pp.184-195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air restoration efficacy of selected radish saponin extracts on nude mice. Nude mice genetically predisposed to pattern balding were used in this study. Our study revealed the underlying mechanism of stimulating hair growth in athymic nude mice by repair the nu/nu follicular keratin differentiation defect. Thus, the topical application of radish saponin may represent a novel strategy for the management and therapy of certain forms of alopecia. The term of hair density of PEE treated nude mi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 as compared with of control nude mice. Histological observation of skin sample showed no hair follicle or only distorted hair follicles were observed in the control samples, in contrast, by the PEE treatment groups showed a fully formed and increased the number of hair follicles up to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in terms of the number of hair follicles in nude mouse skin.PEE treated mice the number of BrdU-labeled keratinocytes per anagen follicle increased significantly, especially in the follicular bulbs and outer root sheath compared with the control mice. Moreover, PEE-treated nude mice also exhibi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BrdU-labeled epidermal keratinocyte proliferation.

산약의 조추출 mucin과 saponin이 급성 위궤양이 유도된 흰쥐에 미치는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Crude Mucin and Saponin from Dioscorea Rhizoma on Gastric Ulcer Induced by Alcohol in Rats)

  • 박영미;임재환;정형진;서을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1호
    • /
    • pp.1200-1208
    • /
    • 2014
  • 본 연구는 산약(Dioscorea Rhizoma)으로 부터 조추출된 mucin과 saponin이 위궤양이 유도된 흰쥐의 위조직 손상과 혈액 성분 및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위궤양을 유발시킨 후 산약에서 추출한 1%의 mucin을 경구투여한 실험군(DR-M 실험군)의 위점막은 위궤양 유발군(GU 실험군)에 비하여 다소 미미하지만 궤양성 출혈과 울혈이 지속되었으나, 1%의 saponin을 경구투여한 실험군(DR-S 실험군)은 궤양성 출혈이 1일 이상 진행되었으나 3일차에 급격히 호전되어 대조군과 유사한 상태로 회복되었다. 또한 mucin을 경구투여한 실험군은 급성 위궤양으로 인한 위와 장 및 간 조직에서의 부종, 국소성 괴사, 출혈이 지속적으로 출현하였으나, saponin을 경구투여한 실험군은 조직의 출혈과 국소적 괴사가 현저히 감소되어 3일 경과 후에는 위점막하층과 장의 미세융모가 매우 깨끗한 매끄러운 상태로 회복되었다. 혈장 내 AST와 ALT의 수준은 mucin 실험군의 경우 위궤양 유발 직후 위궤양 유발군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점차 감소되었으며, saponin 실험군은 위궤양 유발 1일 경과 시 급격히 증가한 후 대조군과 유사한 수치로 회복되었다. 또한 SOD와 CAT의 활성은 mucin 실험군과 saponin 실험군 모두에서 위궤양 유발 후 점차 증가하였다. 따라서 산약에 포함되어 있는 saponin은 mucin에 비해서 급성 위궤양에 의한 위조직의 손상을 감소시키고 혈액 성분을 정상화시키며 항산화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미쳐 위궤양으로부터 흰쥐의 위장기능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이크로파 저온진공건조 기술을 이용한 홍삼제조공정 개발 및 제품특성에 관한 연구 (Process Development of Red Ginseng Production by Microwave-assisted Low Temperature Vacuum Dry and Characteristics of Products)

  • 이상호;지중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05-314
    • /
    • 2017
  • 본 연구는 마이크로파 저온진공건조 기술을 이용하여 고효율 인삼개발을 하고자 하였다. 홍삼 제조 공정에서 증삼 후 $60-70^{\circ}C$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고 다시 $40^{\circ}C$에서 72시간동안 건조한 열풍 건조 홍삼과 증삼 후 마이크로파 저온진공건조기에서 900 watt, 2.45 MHz, 50 mmHg 조건으로 5시간동안 건조하고 다시 750 mmHg로 2시간동안 건조한 홍삼으로 조직 관찰, 관능평가, 진세노사이드 및 조사포닌 함량 변화 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마이크로파 저온진공 홍삼은 색도가 밝은 색으로, 표면적은 다공성 조직으로 변화하였으며, 향미를 높이고 쓴 맛을 크게 감소시킴과 동시에 단 맛을 증가시켜 종합적인 선호도를 높였다. 또한, 단시간에 진세노사이드 $Rg_1$$Rb_1$ 함량을 열풍 건조 홍삼에 비해 1시간대에서 약 6배, 8배가 증가되었으나, $Rg_3$ 함량에서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조사포닌 함량은 10-20분대부터 크게 증가하여 이후 지속적으로 높은 함량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보면, 마이크로파 저온진공홍삼은 열풍 건조 홍삼에 비해 다공성 조직 변화를 통해 단시간에 진세노사이드 및 조사포닌에 대한 추출 수율을 높이고 향미와 식감을 개선시켜 홍삼에 대한 선호도를 높일 수 있음을 확인되었다.

4년근 인삼의 효소적 가수분해 조건에 따른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4 Year-old Ginseng by Enzymatic Hydrolysis Conditions)

  • 임가영;마진열;김건우;최진국;강동균;권태룡;장세영;정용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29-23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4년근 인삼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효소적 가수분해 조건에 따른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인삼은 증숙 후 분쇄하여 가수분해 효소제 A, B, C 및 D 4종에 처리에 따른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 pH 5.5~5.6, 당도 4.0~4.33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조사포닌 함량은 D 효소제에서 가장 높았으며, B, C 및 A 순으로 나타났다. D 효소제의 농도 0.3%(w/w)까지 조사포닌, 환원당 및 총당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이후에는 농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가수분해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효성분이 증가하였으나 3시간 이후 큰 변화는 없었으며, $60^{\circ}C$로 처리하였을 때 조사포닌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 D 효소제, 효소제 농도 0.3% (w/w)로 $60^{\circ}C$에서 3시간의 조건이 가장 적합한 나타났으며 이때 환원당, 총당 및 조사포닌 함량은 각각 18.11, 36.21 및 4.23 mg/g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효소적 가수분해 방법은 4년근 인삼의 유효성분 증가에 효과적으로 다양한 활용 방법이 기대되었다.

화경제거가 지모의 수량 및 조사포닌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duncle Cutting on Yield and Crude Saponin Content in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 한승호;최병준;신철우;손석용;박상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5-61
    • /
    • 2001
  • 1. 종자형성계통군의 생엽중은 5월30일, 6월30일 및 6월15일 화경제거가 화경무제거 보다 약 $29{\sim}12%$ 무거웠으며, 유식물체형성계통군의 생엽중은 6월15일, 5월30일 및 6월30일 화경제거 순으로 무제거보다 약$21{\sim}4%$ 무거웠다. 2. 종자형성계통군의 생근경중은 5월30일, 6월15일 및 6월30일 화경제거가 화경무제거 보다 약$41{\sim}33%$ 증수하였으며, 유식물체형성계통군의 생근경중은 5월30일 화경제거가 화경무제거 보다 약 3% 증수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3. 종자형성계통군의 메탄올엑스함량은 5월30일 화경제거와 6월 15일 화경제거가 39.77% 및 39.17%로 6월 30일 화경제거보다 높았으며, 유식물체 형성계통군의 메탄올엑스함량은 처리별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4. 종자형성계통군의 조사포닌함량은 5월 30일 화경제거가 7.50%로 무제거 (5.67%)보다 높았으며, 유식물체형성계통군의 조사포닌함량은 처리별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 PDF

고려홍삼 제품류의 사포닌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 (Saponin and Ginsenoside Content in Korean Red Ginseng Products)

  • 최강주;고성룡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78-182
    • /
    • 1989
  • 한국담배인삼공사에서 제조된 홍삼제품류 9종에 대한 유효성분함량의 품질관리 연구 일환으로 조사포닌, vanillin-$H_2SO_4$ 비색법에 의한 총사포닌 및 HPLC에 의한 개별 ginsenoside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홍삼을 분말형태로 가공한 의료용분말, 삼분, 타브렛 및 캡슐제품은 사포닌함량, PD/PT 사포닌의 함유비율, ginsenoside의 함량과 조성패턴이 거의 유사하였다. 그러나 홍삼을 추출하여 그 농축물을 인스턴트 제품화시킨 정분, 삼정, 삼정차, 삼정환 및 삼차는 총사포닌함량뿐 아니라 PD/PT사포닌의 함유비율, ginsenoside의 함량과 조성패턴이 상이하였다. 따라서 홍삼제품류별로 사포닌함량과 패턴을 표준화시키고 원료삼으로부터 최종제품까지 제조과정별 품질관리를 수행함으로서 사포닌패턴과 함량이 균일한 제품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믿어진다.

  • PDF

인삼Saponin의 Aspergilius parasiticus R-716의 생육 및 Aflatoxin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inseng Saponins on Growth and Synthesis of Aflatoxin by Aspeygillus parusiticus R-716)

  • 이광승;장진규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11-20
    • /
    • 1986
  • 인삼 saponin의 첨가가 Aspergillus parasiticus R-716 공시균의 PH, 균체량의 변화, chloroform 추출액의 색상, 포자형성능, 그리고 saponin의 첨가량에 따른 aflatoxin의 생성 및 억제효과등을 조사한 결과를 다음과 같다. 1. 공시균의 배지인 sucrose low salt의 PH변화는 crude saponin(CS)의 경우 PH3인 0.5% 첨가구에서 가장 낮은 aflatoxin 생성량을 보였으며, PH 2.2인 protopanaxatriol(PPT) 0.05% 첨가구에서 가장 많은 생성량을 보였다. 2. 인삼 saponin첨가량에 따른 균체량의 변화는 PPT 0.01%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119%까지 증가하였으나 다른 saponin의 첨가농도가 증가할 수록 감소하였고 CS 0.5%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25.8%의 감소율을 보였다. 3. aflatoxin의 chloroforn 추출시 생성된 색상은 밝은 황색일수록 aflatoxin의 생성량이 많았다. 4. 포자형성은 각 인삼 saponin 농도가 0.02%까지는 변화가 없었으나 0.05%첨가구부터 형성이 줄어들어 0.5% 첨가구에서는 형성되지 않았다. 5. aflatoxin총생성량은 PPD와 PPT 0.005%~0.02% 첨가구에서는 105%까지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감소를 보였으며, CS의 0.5% 첨가구에서는 91.7%의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고 B1, B2, G1 및 G2에 대햐여는 90%이상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PS에 대하여는 0.5% 첨가구에서 B1에 55.9%의 억제효과가 있는 반면에 B2는 8.1%의 낮은 억제효과밖에 없었고, PPT 0.005% 및 0.5% 첨가구는 오히려 B2가 증가하였다. PPD에 대하여는 0.005%~0.02% 첨가구에서는 G1의 경우 오히려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