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ude fat extract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27초

야콘의 이화학적 성분과 항산화 효과 (Physico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Yacon (Polymnia Sonchifolia))

  • 김아라;이재준;정해옥;이명렬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0-48
    • /
    • 2010
  • 야콘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야콘 분말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야콘 분말의 일반성분은 건물량(dry matter basis)을 기준으로 수분 함량은 3.53%, 조단백질 1.13%, 조지방 0.40%, 조회분 0.79%, 식이섬유소 1.63% 및 탄수화물 92.52%를 함유하였다. 구성당은 fructose가 1320.84 mg/l로 가장 많았고 glucose가 1283.70 mg/l 검출되어 총 2종이 검출되었다.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함량이 123.12 mg%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aspartic acid, proline, arginine, alanine, valine, histidine, lysine순이었다. 구성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와 lauric acid 2종류의 지방산만 각각 51.72%와 48.28%로 검출되었으며, 불포화지방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유기산은 총 3종의 유기산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oxalic acid가 2519.29 mg/l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benzoic acid 1895.17 mg/l, formic acid 247.84 mg/l 순이었다. 비타민 A, C 및 E의 함량은 각각 0.057 mg%, 0.670 mg% 및 0.001 mg%로 검출되었으며, 무기질은 총 5종의 무기질 성분이 검출되었고, 이 중 K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Na, Ca, Mg 순이었고 Zn의 함량은 미량이었다. 야콘 에탄올 추출물을 n-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n-butanol, water로 계통 분획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Rancimat으로 측정한 항산화지수는 pH 1.2 조건에서 분획 중 ethylacetate 분획이 1.4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BHT 1.83에 비해서는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에서도 ethylacetate 분획이 49.82%로 분획 중 가장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보였으나, 양성대조군인 BHT의 75.29%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야콘은 체내 신진대사와 생리활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영양소들이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야콘의 기능성 식품으로써의 이용화가치가 한층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해 본다.

구운 마늘의 이화학적 성분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Baked Garlic)

  • 이재준;이현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75-583
    • /
    • 2011
  • 구운 마늘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구운 마늘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건물량 기준으로 수분 5.30%, 조단백질 36.89%, 조지방 12.60%, 조회분 4.36%, 식이섬유소 2.88% 및 탄수화물 37.97%였다. 구성당은 총 6종의 유리당 중 galactose 61.59 mg/100 g만이 검출되었으며, 구성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함량이 5,275.00 mg/100 g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aspartic acid, arginine, ammonia, lysine, proline, valine, leucine 순이었으며 총 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36.60%로 나타났다. 구성 지방산은 linoleic acid, oleic acid, lauric acid 및 linolenic acid가 구운 마늘의 주요 지방산으로 전체 지방산의 96.50%로 나타났고, 불포화지방산이 85.22%로 포화지방산에 비하여 약 5.8배 높게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산은 총 3종의 유기산이 검출되었는데, 이 중 oxalic acid 함량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benzoic acid, formic acid 순이었었다. 비타민 A, C 및 E의 함량은 각각 0.064 mg/100 g, 1.452 mg/100 g 및 0.037 mg/100 g로 모두 미량 검출되었으며, 비타민 C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무기질은 K 함량이 980.80 mg/100 g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다음으로 Mg, Ca 순이었으며 Na, Zn, Fe는 미량 검출되었다. 총 polyphenol, flavonoids 및 thiosulfates 함량은 각각 2.85 mg/100 g, 0.97 mg/100 g 및 0.61 OD/g 이었다.

버찌의 품종별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lowering Cherry (Prunus serrulata L.) Fruits According to Cultivars)

  • 이성아;김경희;이상영;정경희;조숙현;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574-579
    • /
    • 2009
  • 버려지는 자원인 버찌의 이용증대와 건강 기능성식품 소재로의 개발가능성에 대해 시사하고자 버찌 4품종(왕벚, 산벚, 일엽벚, 카네이션벚)의 유용영양성분 및 생리활성성분을 비교 평가하였다. 일반성분 중 수분함량은 카네이션벚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조단백은 $0.19{\sim}1.49%$, 조지방은 $1.00{\sim}2.66%$의 함량을 보였다. 일엽벚은 조회분 및 무기질(Ca, K, Mg, Fe, Mn)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미노산 15종 중 methionine은 산벚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methionine을 제외한 나머지 14종 아미노산은 모두 카네이션벚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품종별 버찌의 색도 변화는 카네이션벚이 가장 붉은 색을 나타내었다. 당도는 왕벚> 산벚> 일엽벚> 카네이션벚의 순으로 유의차를 보였으며 유기산 함량은 $3.42{\sim}4.18%$로 카네이션벚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추출용매별 anthocyanin 화합물 함량을 측정한 결과, anthocyanin 함량은 methanol 추출물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품종별로 살펴본 결과 산벚이 가장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와 같이, 버찌의 품종별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버찌를 활용한 천연색소 및 건강 기능성 소재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버찌의 품종 중 특히 카네이션 벚이 다른 품종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잣 종자(種子)의 아미노산(酸), 지방산(脂肪酸), 비타민 분석(分析) (Analysis of Amino Acid, Fatty Acid, and Vitamin in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Seeds)

  • 한상섭;황병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4호
    • /
    • pp.345-351
    • /
    • 1990
  • 잣종자의 영양분(營養分) 함량(含量)을 알기위하여 일반분석(一般分析), 아미노산(酸) 분석(分析), 지방산(脂肪酸) 분석(分析), 비타민 분석(分析)을 행하였다.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 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분석(一般分析)에서 잣종자에 함유(含有)된 수분(水分)은 4.4%, 조단백질(粗蛋白質)은 18.3%, 조지방(粗脂肪)은 67.3%, 조섬유(粗纖維)는 4.7%, 회분(灰分)은 2.2%, 가용성(可溶性) 무질소물(無窒素物)은 3.1% 였다. 2. 아미노산(酸)은 모두 18종(種), 즉 lysine, histidine, arginine,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glutamic acid, proline, glycine, ala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tyrosine, phenylalanine, cysteic acid, tryptophan 등이 분석(分析)되였으며 이중 가장 많이 함유(含有)된 성분(成分)은 glutamic acid 였다. 3. 필수(必須) 아미노산(酸) 10종(種) 즉, arginine, histidine, lysine, threo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 tryptophan 등이 모두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4. 지방산(脂肪酸)은 모두 13종(種) 즉, myristic acid, palmitic acid, palmitole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arachidic acid, 9 icosenoic acid, 9, 11-icosenoic acid, 8, 11, 14-icosatrienoic acid, 그리고 알 수 없는 2종(種)의 8읍 지방산(脂肪酸)등이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필수지방산(必須脂肪酸)인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 모두 함유(含有)되어 있었으며, 가장 많이 함유(含有)된 지방산(脂肪酸)은 linoleic acid 였다. 5. 비타민 A, $B_1$, $B_2$, E, niacin 등 5종(種)의 비타민이 함유(含有)되어 있었으며, 이중 가장 많은 것은 비타민 E 였다.

  • PDF

파프리카 분말을 첨가한 양갱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Added with Paprika Powder)

  • 박은영;강선경;정창호;최상도;심기환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4호
    • /
    • pp.37-43
    • /
    • 2009
  • Special과 Fiesta 품종의 파프리카 분말 첨가량을 달리한 양갱의 일반생분, 수분활성도, 색도, 물성, 관능 검사를 조사하였다. 양갱의 일반성분을 측정한 결과 Special과 Fiesta 품종 모두 가용성 무질소물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함량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양갱의 수분활성도는 Special과 Fiesta 품종 모두 0.9부근으로 나라났으며 특히 파프리카 분말 4% 첨가하였을 때, Special 품종의 경우 0.946, Fiesta 품종의 경우 0.944로 높게 나타났다. 파프리카 분말을 첨가한 양갱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L값은 Special 및 Fiesta 품종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Special 품종은 증가 하였으나 Fiesta 품종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Special 및 Fiesta 품종 모두 파프리카 분말 첨가량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양갱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Special 및 Fiesta 품종 모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견고성과 점착성이 증가하였으며, 양갱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파프리카 분말 1% 첨가구에서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들화분을 첨가한 밀가루 반죽의 물성과 제빵 적성 (Effects of Cattail Pollen Powders on the Rheology of Dough and Processing Adaptability of White Pan Bread)

  • 이병찬;정용면;황성연;이종화;오만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25-533
    • /
    • 2009
  • 부들화분(Cattail pollen powder)을 기능성 빵의 소재로 활용하고자 화분의 일반 성분을 분석하고 소맥분에 부들화분을 3, 6, 9% 첨가하여 반죽의 물성 변화와 제빵의 가공 적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들화분의 일반성분은 수분 12.7-13.2%, 조단백질 15.7-17.8%, 조지방 1.3%, 유리당 7.5-7.7%, 조섬유 14.7-18.6%, 회분 3.4-4.9%, 가용성 무 질소물 49.7-55.9%이었다. 소맥분에 부들화분을 첨가한 반죽의 물리적 특성은 첨가 비율이 높아질수록 흡수율은 증가하였으며, 반죽의 안정도는 감소하였다. 부들화분의 첨가에 따라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falling number값이 감소하였고 amylase활성이 높아졌다. 빵 반죽의 발효력은 부들화분 3% 첨가구에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완제품에 있어서도 가장 큰 부피를 나타내었다. 수분활성도는 부들화분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대조구보다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크게 감소하였다. 빵의 hardness, springiness는 저장함에 따라 모두 증가하여 품질이 저하됨을 알 수 있었으며 부들화분을 첨가한 식빵 제품의 유통기한은 3일까지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빵의 기호도 조사에서 부들화분을 3% 첨가한 식빵의 기호도가 대조구에 비하여 모든 항목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능이버섯(Sarcodon aspratus)의 화학성분과 생리활성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Neungee Mushroom (Sarcodon aspratus))

  • 주옥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64-871
    • /
    • 2008
  • 본 연구는 능이버섯의 식품영양학적 및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능이버섯의 화학성분과 추출물에 대한 생리활성을 확인하였다. 능이버섯은 수분 85.73%, 조단백질 1.78%, 조지질 1.87%, 회분 1.27%로 나타났으며, 아미노산 중 alanine(90.11 mg%), 지방산 중 linoleic acid(39.09 mg%), 유기산 중 tartaric acid(75.47 mg%) 및 유리당 중 glucose (1,680 mg%)의 함량들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능이버섯 추출물에 대한 전자 소거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였고, $800\;{\mu}g/mL$ 처리 시 각각 46.2% 및 77.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능이버섯 추출물은 역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간 지질에 대한 과산화 억제 활성이 증가하였고, $1,500\;{\mu}g/mL$ 처리 시 $2,347\;{\mu}mol$ MDA/g liver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능이버섯추출물을 첨가하여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살펴본 결과, 저장 7일 후에 POV가 197.4 meq/kg이하로서 대조구에 비하여 약간의 항산화효과가 있었다. 암세포에 대한 능이버섯 메탄올 추출물의 세포독성에서, 폐암 세포주인 A549에 대한 증식 억제율은 능이버섯 메탄올 추출물 $100\;{\mu}g/mL$ 처리시 9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Responses of Dairy Cows to Supplemental Highly Digestible Rumen Undegradable Protein and Rumen-protected Forms of Methionine

  • Sun, T.;Yu, X.;Li, S.L.;Dong, Y.X.;Zhang, H.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5호
    • /
    • pp.659-666
    • /
    • 2009
  • Metabolizable protein (MP) supply and amino acid balance in the intestine were manipulated through selection of highly digestible rumen-undegradable protein (RUP) sources and protected methionine (Met) supplementation. Four ruminallycannulated, multiparous Holstein cows averaging 193${\pm}$13 days in milk were used in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to assess N utilization and milk production responses to changes in RUP level, post-ruminal RUP digestibility and protected Met supplementation. Treatments were A) 14.0% crude protein (CP), 8.0% rumen degradable protein (RDP) and 6.0% RUP of low intestinal digestibility (HiRUP-LoDRUP); B) 14.1% CP, 8.1% RDP and 6.0% RUP of high intestinal digestibility (HiRUP-HiDRUP); C) 13.1% CP, 7.9% RDP and 5.2% RUP of high intestinal digestibility (LoRUP-HiDRUP), and D) 13.1% CP, 7.9% RDP and 5.2% RUP of high intestinal digestibility plus rumen escape sources of Met (LoRUP-HiDRUP+Met). Experimental diets were formulated to have similar concentrations of RDP, net energy of lactation ($NE_L$),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cid detergent fiber (ADF), calcium, phosphorus and ether extract using the NRC model (2001). Results showed that dry matter intake (DMI), production of milk fat and protein were similar among treatments. Milk production was similar for diet HiRUP-LoDRUP, HiRUP-HiDRUP and LoRUP-HiDRUP+Met, and significantly higher than diet LoRUP-HiDRUP. Milk fat and protein percentage were higher for cows receiving HiDRUP treatments, with the greatest increases in the diet LoRUP-HiDRUP+Me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ruminal pH, $NH_3g-N$ and volatile fatty acid (VFA) concentration among all treatments. Apparent digestibility of dry matter (DM), CP, NDF and ADF and estimated bacterial CP synthesis were similar for all treatments. Nitrogen intakes, blood and milk urea-N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cows receiving HiRUP diets. Urine volume and total urinary N excretion were significantly lowered by LoRUP diets. Lowering dietary RUP level while supplementing the highly digestible RUP source with rumen escape sources of Met resulted in similar milk production, maximal milk fat and protein concentration and maximum N efficiency, indicating that post-ruminal digestibility of RUP and amino acid balance in the small intestine can be more important than total RUP supplementation.

조지방 추출 방법에 따른 지방산 조성 비교 및 조리방법을 달리한 닭고기 부위별 지방산 함량 분석 (Comparison of Fatty Acid Composition by Fat Extraction Method: Different Parts of Chicken by Cooking Method)

  • 정상화;신정아;김인환;김병희;이준수;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8호
    • /
    • pp.1257-126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분유(milk powder)를 이용하여 조지방 추출방법인 Rose-Gottlieb법, Folch법 그리고 산분해법으로 각 방법의 총 포화지방산, 불포화지방산, 트랜스지방산의 함량을 비교하였고, 산분해법을 이용하여 조리방법에 따른 닭의 부위별 지방산 조성을 확인하였다. 각 조지방 추출법(Rose-Gottlieb법, Folch법, 산분해법)으로 추출된 포화지방산 함량은 8.302~8.711 g/100 g milk powder로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불포화지방산 함량(11.143~11.669 g/100 g milk powder)과 트랜스지방산 함량(0.269~0.284 g/100 g milk powder)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각 추출법에 의한 지방산 조성과 함량을 비교해본 결과, 산분해법이 시간, 조건, 조작 등에서 용이하였다. 또한 산분해법을 통하여 FAPAS의 지방산 함량을 분석해본 결과, z-score가 ${\mid}z{\mid}{\leq}2$를 만족하여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원재료의 경우 날개살(11.346 g/100 g sample), 다리살(8.313 g/100 g sample), 가슴살(6.302 g/100 g sample)순의 총 지방산 함량을 가졌으며, 조리방법에 따른 닭의 부위별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볶기와 튀기기 조리방법에서 트랜스지방산의 함량이 더 검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커피박 첨가 돈족(豚足)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ettitoes(Jokbal) added with Coffee Meal)

  • 최석봉;안상란;이명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5-124
    • /
    • 2016
  • 본 연구는 실제 커피박을 자원화하고, 부가가치를 향상시키며, 열수추출물로 만든 커피박을 제조한 후 족발을 현재 식품제조사에서 만드는 공정으로 가공하여 다변화된 풍미와 기능성이 향상된 족발로 돈족 제품의 다양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기초자료로 얻고자 실시하였다. 족발의 pH는 대조구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수분함량의 경우 대조구와 커피박 추출물 첨가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지방, 조회분의 경우 첨가량 증가에 따라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다소 증가되었으며, 단백질의 경우는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염도의 경우 대조구보다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텍스쳐(texture) 분석은 커피박 추출물 첨가에 따라 hardness와 chewiness는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cohesivenes와 springiness는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명도는 커피박 추출물 첨가량을 10%, 20%, 30%로 점차적으로 증가할수록 L값은 대조구에 비해 점점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a값은 커피박 추출물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며, b값은 대조구가 가장 낮았고 첨가량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커피박 추출물의 색도가 족발의 색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관능평가 결과, 10%의 커피박 추출물 첨가군이 외관, 씹힘성, 냄새 및 선호도에 높은 점수를 나타내 족발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관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