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ude extracts

검색결과 935건 처리시간 0.037초

Monoclonal antibodies to recombinant Der p2, a major house dust mite allergen: specificity, epitope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wo-site capture ELISA

  • Yong, Tai-Soon;Lee, Sang-Mi;Park, Gab-Man;Lee, In-Yong;Ree, Han-Il;Kim, Kyung-Sup;Oh, Sang-Hwan;Park, Jung-Won;Hong, Chein-Soo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7권3호
    • /
    • pp.163-169
    • /
    • 1999
  • House dust mite allergens have been well established as sensitizing agents that are important in the induction of allergic diseases. In order to analyze epitopes of the allergen and to develop a quantitative method of the allergen exposure,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a recombinant Der p 2 (rDer p 2), one of the major allergens of Dermatophogoides pteronyssinus, were produce. Four monoclonal antibodies produced wee species-specific and did not cross-react to the D. farinae crude extract. Two of the monoclonal antibodies were found to be IgG1 and the others were IgM. For the analysis of epitopes, a Der p 2 cDNA encoding 126 amino acids (aa) was dissected into three fragments with several overlapping peptides, A (aa residues 1-49), B (44-93), and C fragment (84-126). Three monoclonal antibodies showed reactivities to the recombinant B fragment and to the full-length rDer p 2, but one monoclonal antibody reacted only with the full-length rDer p 2. Two-site capture ELISA was developed using two different monoclonal antibodies for quantitating Der p2 in house dust. The sensitivity limit was 4ng/ml with rDer p2 and $8{\;}\mu\textrm{g}/ml$ with the d. pteronyssinus crude extract. The result suggested that the assay using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rDer p2 could be useful for the environmental studies and for the standardization of mite allergen extracts.

  • PDF

연육 (surimi) 소재로서 어체중량이 다른 넙치의 품질 특성 비교 (Quality of Bastard Halibut with Different Weights as a Surimi Source)

  • 허민수;신준호;박권현;이지선;노윤이;전유진;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8-24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and enzymatic properties of unmarketable cultured bastard halibut (Paralichthys olivaceus) of different weights as a potential source of surimi and surimi gel.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cultured bastard halibut of different weight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t P<0.05 (light weight (LBH) 400~500 g, medium weight (MBH) 600~800 g, and heavy weight (HBH) > 1,000 g). Compared to Alaska pollock muscle, the bastard halibut muscle had a 4% higher crude protein content and 6% lower moisture content. The collagen content of LBH bastard halibut muscle was 1.58 g/100 g, which was lower than or no different from bastard halibut weighing different amounts. Regardless of fish weight or pH, the enzymatic activities of crude fish extracts ranged from 0.34~0.48 U/mg for casein and hemoglobin, 11.0~12.7 U/mg for LeuPNA, 5.4~6.1 U/mg for ArgPNA, 2.3~2.9 U/mg for SAAPFNA, and 0.1~0.2 U/mg for BAPNA. The yield of surimi gel from LBH was 24.4%, which was similar to that from MBH and lower than that from HBH. The surimi gel from LBH was similar to that from HBH, while weaker than that from MBH. The surimi gel from LBH gel was stronger than grade SA gel from commercial Alaska pollock.

양식지역의 차이에 따른 비규격 넙치 연육 (Surimi)의 품질 특성 (Quality of Surimi from Unmarketable Bastard Halibut as Affected by the Region where Cultured)

  • 허민수;신준호;박권현;이지선;노윤이;전유진;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598-605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and enzymatic properties of unmarketable bastard halibut (Paralichthys olivaceus) cultured in different regions (i.e., Jeju, Wando, and Geoje) as a potential source of surimi and surimi gel.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unmarketable bastard halibut cultured in different region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t P<0.05. Compared to Alaska pollock muscle, all of the unmarketable bastard halibut muscle had a 4% higher crude protein content and 5% lower moisture content. The collagen content of bastard halibut muscle cultured in Jeju was 1.96 g/100 g, which was higher than in fish cultured in other regions. Regardless of the region where cultured or pH, the enzymatic activities of the crude extracts from unmarketable bastard halibut muscle ranged from 0.30.0.48 U/mg for casein and hemoglobin, 11.9.13.7 U/mg for LeuPNA, 5.6.6.7 U/mg for ArgPNA, 2.8.4.7 U/mg for SAAPFNA, and 0.1.0.2 U/mg for BAPNA. Regardless of region, no mercury or lead was found in any of the unmarketable bastard halibut muscle, except for lead in fish cultured in Geoje. The strength of surimi gels from unmarketable bastard halibut cultured in Jeju, Geoje, and Wando was 1059, 988, and 900 g${\times}$cm, respectively. The surimi gel from unmarketable bastard halibut cultured in Jeju was stronger than commercial Alaska pollock surimi, which was grade SA.

Immunoblot technique을 이용한 폐흡충의 발육단계별 항원 특이성 분석 (Analysis of antigenic specificities of Puragonimus westeymuni developmental stages using immunoblot technique)

  • 주경환;홍성철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7권1호
    • /
    • pp.1-8
    • /
    • 1989
  • 폐흡충증의 진단은 객담검사법이 가장 확실한 진단 방법이기는 하지만 폐흡충이 폐에 기 생한 경우에도 충란 검출이 어려울 때가 있으므로 혈청학적 진단법이 이용되고 있다. 혈청학적 진단법에 사용되는 항원인 기생충 추출물, 즉 조항원은 분류학적으로 유사한 기생충과 서로 공유하고 있는 공통 항원 때문에 교차 반응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이 연구는 발육단계 별 폐흡충에서 만든 조항원을 SDS-PAGE(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로 전기영동한 다음 EITB(enzyme-linked immunoelectrotransfer blot)를 이용하여 항원대별 항원성 및 특이성을 관찰하여 시기별로 채취한 고양이 혈청에 대한 특이 반응대를 관찰해 보고자 시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항원은 실험적으로 고양이에 감염시켜 3, 5, 8및 12주 만에 얻은 폐흡충의 식염수 추출액 (SEPn; n=감염된 시기)이며 3∼20% linear gradient gel에서 SDS-PAGE하였다. Silver stain결과 폐흡충 조항원은 최소한 30개 이상의 band들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각 발육단계 에 공통된 항원대로 203, 63, 35, 21, 19, 13 kDa band들이 관찰되었고, 단계별로 차이점도 관찰 되었다. SEPl2에서는 새로운 229 kDa band가 관찰되었다. 주요 항원대에 대하여 EITB를 한 결과 각 항원과 감염 후 5주 이상 된 혈청과 공통적으로 반응한 항원대는 203, 115, 91, 85, 67, 63, 48, 39, 35 및 25 kDa band들이었고, 8주 이상 된 혈청과의 반응에서는 19, 13및 10 kDa 항원대와 공통적으로 일관성 있게 반응하였다. SEP12는 12주 된 혈청과 229 kDa에서 특이하게 반응하였다.

  • PDF

한국산(韓國産) 대두(大豆)의 단백질(蛋白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1보(第1報)); 대두품종별(大豆品種別) 화학적(化學的) 조성분(組成分)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Protein of Korean Soybeans. -Part 1; Chemical Compositions of Korean Soybeans-)

  • 김재욱;변시명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7권
    • /
    • pp.79-84
    • /
    • 1966
  • 한국산(韓國慶) 대두(大豆)의 품종간(品種間)의 차이(差異)를 비교(比較)하고 나아가서 품종(品種)의 개량(改良)이나 가공이용면(加工利用面)에 유용(有用)한 재료(?料)를 얻기 위해 우리나라 각지방(各地方)의 장려품종을 비롯하여 전국적(全國的)으로 널리 재배(栽培)되고 있는 대두(大豆) 49품종(品種)을 대상(對象)으로 하여 일반화학조성분(一般化學組成分)의 분석(分析)과 가용성(可溶性) 및 불용성(不溶性) 단백질(蛋白質)의 정량(定量)을 실시(實施)하여 다응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일반화학조성분(一般化學組成分) 수분(水分); 평균(平均) 11. 95% 최고(最高) 12.57% 최저(最低) 10.93% 단백질(蛋白質); 평균(平均) 39.80% 최고(最高) 47.00% 최저(最低) 33.79% 지방(脂肪); 평균(平均) 19.20% 최고(最高) 24.79% 최저(最低) 16.32% 철유(鐵維), 평균(平均) 3.98% 최고(最高) 5.57% 최저(最低) 3.03% 회분(灰分); 평균(平均) 4.60% 최고(最高) 5.23% 최저(最低) 3.95% 가용성(可溶性) 무질소물(無窒素物); 평균(平均) 20.57% 최고(最高), 26.81% 최저(最低) 16.58%. 2. 가용성(可溶性) 단백질(蛋白質) 및 불용성(不溶性) 단백질(蛋白質) 가용성(可溶性) 단백질(蛋白質); 평균(平均) 33.26% 최고(最高) 37.31% 최저(最低) 27.73% 불용성(不溶性) 단백질(蛋白質); 평균(平均) 단백질(蛋白質) 1.94%, 최고(最高) 4.61% 최저(最低) 0.85% 비단백태질소(非蛋白態窒素); 평균(平均) 4.49% 최고(最高) 6.83% 최저(最低) 2.50% 3. 품종간(品種間)의 화학적(化學的) 조성분(組成分)이 대체적(大體的)으로 큰 차이(差異)를 나타내고 있어서 가공이용면(加工利用面)으로서 그 대두(大豆)가 단백질원(蛋白質源)인가 또는 지방원(指肪源)인가에 따라 적절(適切)한 품종(品種) 선택(選擇)을 하는 것이 유리함을 나타낸다. 4. 제한(制限)된 품종 수에 대하여 반당(反當) 단백질(蛋白質) 수량(收量) 및 반당(反當) 지방(脂肪) 수량(收量)을 산출(算出) 비교(比較)하였다. 끝으로 본(本) 연구는 1965 年度 서울대학교 대학원(大學院) 연구비(硏究費)로 수행(遂行)한 것이며 본 연구를 시종 지도편달(指導鞭撻) 해 주신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주임교수 이춘영박사(李春寧博士)에게 감사(感謝)를 드리며 또한 본 연구의 시료를 제공하여 주신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 이고웅박사(李股雄博士)에 게 사의(謝意)를 표하는 동시에 본 연구의 분석에 협력하여 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농화학과 김수영군(金洙榮君)에게 사의(謝意)를 표하는 바이다.

  • PDF

초기발육단계 폐흡충에서 추출한 단백질의 전기영동상 (Electrophoretic Patterns of Proteins from Paragonimus westermani in Early DEvelopmental Stages)

  • Boong Huer;Suk-Il Kim;Shin-Yong Kang;Seung-Yull Cho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2호
    • /
    • pp.189-196
    • /
    • 1985
  • 폐흡충 발육에 따른 형태학적 변화와 함께 구성단백질의 전기영동상의 차이점을 관찰할 목적으로 실험 감염 후 4, 6, 8, 10 및 12주 경과한 초기 발육단계의 폐흡충으로부터 각각의 생리 식염수 추출액을 만들고 이들 추출액 내의 단백질 구성을 디스크 폴리아코릴아마이드젤 전기병동(disc-PAGE)양상으로 비교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감염후 4주부터 l2주에 이르는 충체들의 생리식염수 추출액 전기영동상에서 관할된, 서로 다른 Rf치를 보인 단백질 band수를 모두 합하면 15개이었다. 그중 5개는 관찰한 전 발육단계를 통하여 관찰할 수 있었다. 2. 분리된 구성 단백질 band수와 그 양상은 각 발육단계마다 서로 다르게 관찰되었지만, 4주와 6주의 전기영동상이 비슷하였고, 8주와 10주의 전기영동상 또한 비슷하게 나타났다. 3. 12주 성충에서의 전가영동상은 그 이전의 영 동상과 크게 달라졌던 바 가장 낮은 전기이동도 영역에서 새로운 단백질 band가 주(주, major) band로 관찰되었고, 12주 이전의 충체에서 미약하던 단백질 band가 주 band로 전환되었으며 4주와 6주의 미성숙 충체에서 관찰되었던 band들이 소멸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폐흡충은 성충으로 발육하는 초기 발육단계에서 구성단백질의 전기영동상이 단계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바, 특히 8주와 12주에 각각 크게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HT-1080 세포에서 만형자 용매 추출물의 암전이 억제효과 (Anti-invasive Effect of the Solvent-partitioned Fractions from Viticis Fructus in PMA-induced HT-1080 Cells)

  • 손재민;김호준;공창숙;서영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93-299
    • /
    • 2018
  • 본 연구는 PMA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에 의해 MMP 활성이 증가된 섬유육종세포에서 MMP-2와 -9의 mRNA 발현 및 단백질 활성에 대한 만형자의 억제 효과를 zymography와 RT-PCR 방법에 의해서 측정하였다. 만형자 시료는 dichloromethane에 의해서 두 번 추출되었으며 동일한 과정을 methanol를 사용하여 반복하였다. 각각의 용매에 의해서 얻어진 추출물을 합한 후에 zymography를 이용하여 이 추출물의 MMP-2와 -9에 대한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유의적인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억제활성 성분을 추적하기 위하여 극성에 따른 추출물의 용매분획을 실시하여 n-hexane, 85% aq. MeOH, n-butanol, 및 water 분획층을 얻었다. 이 4가지 용매분획에 대한 MMP 억제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측정한 결과 85% aq. MeOH 분획층이 zymography와 RT-PCR 실험에서 MMP-2와 -9에 대해 가장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만형자 추출물이 암전이 억제제 개발을 위한 좋은 원천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한다.

수확시기에 따른 대학찰옥수수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aehak Waxy Corns with Different Harvest Times)

  • 이상훈;황인국;김현영;이하규;이성희;우선희;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719-724
    • /
    • 2010
  • 수확시기에 따른 대학찰옥수수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확시기를 적기, 전기(-4일) 및 후기(+4일)로 달리하여 종실특성, 일반성분, 유리당, 무기성분, 지방산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낟알의 백립중, 높이와 넓이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수분을 제외한 조회분, 조지방 및 조단백 함량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및 sucrose가 검출되었으며,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무기성분 중 구리, 나트륨, 칼슘 및 칼륨은 수확시기가 빨라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철과 아연은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지방산은 불포화지방산이 약75%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oleic acid, palmitic acid 및 palmitoleic acid가 주요 지방산이었다. 수확적기 이후에 수확된 대학찰옥수수의 에탄올 추출물은 총 폴리페놀 함량이 104.45 mg/100 g으로 가장 많았으며, 항산화활성도 높게 나타났다.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해송이버섯(Hypsizigus marmoreus) 추출물 중 단백다당체의 암세포 성장억제효과 (Cytotoxic Effect of Isolated Protein-bound Polysaccharides from Hypsizigus marmoreus Extract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정은봉;조진호;조승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2호
    • /
    • pp.1647-1653
    • /
    • 2008
  • 해송이버섯 분말의 암세포성장억제효과의 증진을 위한 성분의 추출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추출조건의 독립변수(추출온도, 추출시간, 용매비)와 이에 따라 영향을 받는 수율과 추출물의 단백질 함량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수율과 단백질 함량이 높은 조건을 충족시키는 최적조건은 추출온도 $51.3^{\circ}C$, 추출시간 8.2시간, 그리고 추출용매비는 46.7 mL/g 으로 나타났다. 최적조건에서 추출되어진 조추출물을 이용하여 알코올을 이용하여 침전한 후 dialysis tube를 이용하여 저분자물질을 제거하여 조다당체를 얻었으며 조다당체를 이용하여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산성다당체와 중성다당 체를 얻어 각각의 다당체의 암세포성장억제효과를 알아보았다. 위암세포주 AGS에는 산성다당체가 0.5 mg/mL의 농도에서 73.97%로 가장 높은 세포증식억제효과를 보였으며 간암세포주 HepG2에는 조다당체가 0.5 mg/mL의 농도에서 82.45%로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결장암세포주 SW480에서는 모든 분획의 시료가 20%미만의 세포성장 억제효과를 보였다.

참죽의 추출방법에 따른 수용성 다당류의 생리기능성 (Biological activity of water-soluble polysaccharides from Cedrela sinensis according to extraction methods)

  • 오민희;황여진;윤경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15-221
    • /
    • 2017
  • 다양한 영양성분을 함유할 뿐만 아니라 생리활성이 우수한 참죽으로부터 수용성 다당류를 추출하고 이들의 생리기능성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참죽을 열수, 초음파 및 효소(Viscozyme, Shearzyme)를 이용하여 수용성 다당류를 추출하고, 추출법에 따른 수용성 다당류의 기능성을 비교하였다. Searzyme 효소로 추출하여 얻은 수용성 다당류 분획의 수율과 총당 함량이 가장 높았다. 참죽으로부터 추출된 수용성 다당류 분획의 산화방지 활성을 측정한 결과, 열수추출에 의해 얻은 수용성 다당류 분획물의 $IC_{50}$ 값이 가장 낮게 나타나 가장 높은 산화방지 활성을 보였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측정 농도가 증가할수록 모든 추출군의 활성이 증가하였다. 포도당 흡수지연 효과를 확인한 결과, 모든 추출군은 포도당 흡수 지연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WSPs는 대조구인 CMC의 포도당 흡수지연 효과와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Bile acid 흡수지연 효과를 측정한 결과, bile acid의 투과율이 CMC에 비해 높아 흡수지연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 열수에 의해 추출된 수용성 다당류분획이 뛰어난 산화방지 및 미백활성을 보였으며, Shearzyme 효소추출물이 우수한 포도당 흡수저해 효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참죽으로부터 추출된 수용성 다당류는 향후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