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wn-down technique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초

근관형성 기구 및 방법에 따른 근관 형태의 변화 (CHANGES IN ROOT CANAL CONFIGURATION USING DIFFERENT FILE TYPES AND TECHNIQUES)

  • 허영주;김성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2권1호
    • /
    • pp.291-304
    • /
    • 199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changes in root canal configuration with canal instrumentation using different file types and techniques and to investigate most appropriate instrumentation technique in maintaining the original canal configuration with different file types. Fifty curved mesiobuccal or distobuccal canals of extracted human maxillary molar teeth were instrumented using a step-back technique with stainless steel K-files or nickel-titanium K-files, a crown-down pressureless technique with stainless steel K-files or nickel-titanium K-files and nickel-titanium engine-driven files. Radiographs were taken before and after instrumentation using a specially designed device that allowed for the pre-and postinstrumentation canals to be taken with the same X-ray angulation. Magnified X-ray images on a magnifier screen were traced and post instrumentation canal images were compared with the preinstrumentation ones. Changes in canal curvature and the incidence of procedural accide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Crown-down pressureless technique with nickel-titanium K-files and nickel-titanium engine-driven filing produced no significant changes in canal curvature (p>0.05), while the step-back technique with stainless steel K-files or nickel-titanium K-files (p<0.01) and the crown-down pressureless technique with stainless steel K-files (p<0.05) produced significant changes. With nickel-titanium K-file, crown-down pressureless technique produced significantly less changes in canal curvature than step-back technique (p<0.05),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chniques with stainless steel K-files (p>0.05). File types exerted no significant influences in the changes of canal curvature both in the step-back technique and crown-down pressureless technique (0>0.05). Regardless of the file types used, step-back technique produced more procedural accidents such as ledge or elbow formation, apical zipping and apical transportation than the crowndown pressureless technique and nickel-titanium engine-driven filing. Both with stainless steel K-files and with nickel-titanium K-files, the incidence of apical extrusion of canal debris was higher in step-back technique than in crown-down pressureless technique.

  • PDF

Mtwo 전동 파일을 사용한 single length technique과 crown-down technique의 근관성형 효율 비교 (Comparison of shaping ability between single length technique and crown-down technique using Mtwo rotary file)

  • 임유경;박정길;허복;김현철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4호
    • /
    • pp.385-396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Mtwo 전동 파일의 사용에 있어서 제조사가 제안한 single length technique과 crown-down technique의 근관성형효율과 안전성을 비교하고 Mtwo 전동 파일의 변형된 사용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기구의 종류와 사용방법에 따라 60개의 레진 블록 근관 모형 (Endo Training Bloc; Benstply Maillefer, Ballaigues, Switzerland)을 세 군으로 나누어 20개씩 표본을 성형하였다. MT군은 Mtwo 파일 (VDW, Munich, Germany)을 제조사의 추천방법인 single length technique으로, MC군은 Mtwo 파일을 crown-down technique으로 형성하였고, 대조군인 PT군은 ProTaper (Denstply Maillefer, Ballaigues, Switzerland)를 사용하였다. 모든 기구는 250 r.p.m., torque 2.2 N로 고정한 전동 모터 (X-smart; Denstply Maillefer, Ballaigues, Switzerland)로 사용하였다. 근관 성형 후, 스캐너로 근관 형성 전후의 이미지를 채득하여 중첩 비교함으로써 근단부로부터 1, 2, 3, 4, 5, 6, 7, 8 mm 높이에서의 중심변위율을 산출하였다. 순수 기구조작 시간 및 기구조작 동안의 binding빈도를 기록하였다. 근관 성형 후, 레진 블록의 무게 감소를 측정하였고 근관 성형에 사용된 파일의 파절이나 변형 및 근관 성형 후 형태의 이상을 조사하였다. 세 실험군의 측정 및 산출된 자료를 일원배치 분산분석 및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사후 검정을 시행하여 비교하였으며, Fisher's exact test으로 근관의 이형성, 기구의 변형 그리고 기구 binding 등 발생 빈도를 유의 확률 95%에서 통계 검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근관의 만곡도 감소, 중심변위율, 레진 블록의 무게 감소, 기구 변형 등은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 0.05). 2. 기구 조작 시간은 보면 MT군과 MC군이 PT군보다 짧았다 (p < 0.05). 3. Elbow는 MT군이 MC군에서 PT군보다 더 많이 형성되었다 (p < 0.05). Ledge는 세 군 모두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4. 파일 binding 횟수는 MC군이 가장 적고 PT군이 가장 많았다 (p < 0.05). 이상의 결과를 볼 때, Mtwo 전동 파일을 crown-down technique으로 사용하는 것이 single length technique과 유사한 성형 효율을 보이면서도 더 안전할 것으로 추정된다.

근관형성법이 근관잔Δ사의 치근단 정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NAL PREPARATION METHODS ON THE APICAL EXTRUSION OF DEBRIS)

  • 박주명;김성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4권2호
    • /
    • pp.399-407
    • /
    • 1999
  • 근관 형성중 잔사의 치근단 정출은 치근단 조직의 반응을 유발하여 동통과 부종을 일으키며 치유를 지연시킬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종의 기구와 방법을 사용하여 근관을 형성하고 이에 따른 근관 잔사의 치근단 정출량을 비교함으로써 잔사의 정출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기구 조작법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120개의 발거된 사람의 하악 절치에서 근관형성중 치근단으로 정출되는 잔사의 양을 비교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40개의 치아를 10개씩 4군으로 나누어 2.52% 치아염소산나트륨용액으로 근관을 세척하면서 다음의 4방법 중 하나를 이용하여 근관을 형성하였다. 수동 스테인레스 스틸 K-화일을 이용하여 step-back technique, crown-down pressureless technique으로 근관을 형성하였고 전동 니켈 티타늄 기구로는 Quantec SC series 2000과 Profile .04 taper series 29를 이용하여 근관을 형성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80개의 치아를 16개씩 5군으로 나누고 근관 세척에 의한 잔사의 치근단 정출 영향을 배제하고자 근관 세척을 시행하지 않고 근관을 형성하였다. 이 때에는 첫 번째 실험의 방법중 Quantec SC series 2000 대신에 Quantec SC 및 Quantec LX를 이용하여 근관을 형성하였고 나머지는 첫 번째 실험과 동일하게 시행하였다. 각 치아로부터 정출되는 잔사를 용기에 모아 24 시간동안 건조시킨 후 전자 저울로 무게를 측정,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근관 세척을 시행한 경우와 시행하지 않은 경우 공히 step-back technique을 사용한 군에서는 다른 군에 비해 현저히 많은 량의 치근단 정출 잔사가 나타났다. 그러나, crown-down technique을 이용하여 근관 형성한 군과 수종의 Ni-Ti 파일을 이용하여 전동으로 근관 형성한 군들 사이에는 정출 잔사량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에 사용된 수동 및 전동 기구의 종류는 근관 잔사의 치근단 정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근관잔사의 치근단 정출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수동 및 전동 기구 공히 step-back 방법에 의한 filing 동작보다는 crown-down technique의 reaming 동작을 사용하여 근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 PDF

Two-File' 방식에 의한 근관 형성시 근관의 형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ape of a Canal Prepared With 'TWO-FILE' Technique)

  • Han-Soo Park;Seung-Ho Baek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6권6호
    • /
    • pp.507-511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Two File' 방식에 의한 근관형성시 근관의 형태변화 및 전이정도를 분석하고 이를 기존의 근관형성방법과 비교하고자 하는 것이다. 만곡된 근관을 가진 투명한 레진블럭 상에서 step back방식, crown down방식 및 'Two File' 방식으로 근관형성을 시행하고 이를 똑같은 위치가 재현가능한 고정틀에 위치시킨 후 사진의 이중노출 기법을 이용하여 근관형성 전후의 근관의 형태변화 및 전이정도를 분석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tep back방식의 경우 형성된 근관이 taper하지 못하고 불규칙한 형태를 보였으며 근관의 전이정도도 다른 두 가지 엔진구동 방식에 의한 경우에 비해 유의하게 컸다(p<0.05) 2. crown down방식의 경우 형성된 근관이 taper한 형태를 보였고, 근관의 전이 정도도 step back방식에 의한 경우보다 유의하게 작았다(p<0.05). 3. 'Two File' 방식의 경우 형성된 근관이 taper한 형태를 보였으며 근관의 전이정도도 step back방식에 의한 경우보다 유의하게 작았으나 crown down방식에 의한 경우와 유의할 만한 차이는 없었다(p<0.05).

  • PDF

수종 근관형성방법에 따른 레진모형상의 근관형태의 변화 (EFFECTS OF DIFFERENT PREPARATION METHODS ON THE MORPHOLOGIC CHANGE OF SIMULATED ROOT CANALS IN RESIN BLOCK)

  • 박미희;홍찬의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9권1호
    • /
    • pp.85-96
    • /
    • 1994
  • In this study, 24 curved resin blocks were prepared by one of the following four methods: 1) Conventional technique using K-flexo files 2) Step-back technique using K-flexo files 3) Crown-down technique using K-flexo files 4) Canal Master instrumentation using Canal Master Resin blocks were sectioned, photographed, and evaluated the mean centering ratio and the mean area of dentin removed before and after the instrument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I. the mean centering ratio 1. In the level 1 and level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centering ratio. 2. In the level 2, Step-back technique showed the worst mean centering ratio among the tested groups(p<0.001)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ther three groups. 3. In the level 4, Canal Master instrumentation and Step-back technique showed better mean centering ratio than the other two techniques(p<0.001)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echniques. II. the mean area of dentin removed 1. In the level l and level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area of dentin removed. 2. In the level 2, Canal Master instrumentation removed less dentin than the other three techniques(P<0.01). 3. In the level 4, Crown-down technique removed less dentin than the other three techniques(P<0.05).

  • PDF

'Three-File' 방식에 의한 만곡 근관 형성시 근관의 형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APE OF A CANAL PREPARED WITH 'THREE-FILE' TECHNIQUE IN A CURVED CANAL)

  • 박한수;이민구;김종진;임영준;장문성;이종엽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5권4호
    • /
    • pp.494-498
    • /
    • 2000
  • 이 연구의 목적은 'Three-File' 방식에 의한 근관형성시 근관의 형태변화 및 전이정도를 분석하고 이를 기존의 근관형성방법과 비교하고자 하는 것이다. 만곡된 근관을 가진 투명한 레진블럭 상에서 'Three-File' 방식, crown-down방식 및 스테인레스강 화일에 의한 수동방식으로 근관형성을 시행하고 이를 똑같은 위치가 재현가능한 고정틀에 위치시킨 후 사진의 이중노출 기법을 이용하여 근관형성 전후의 근관의 형태변화 및 전이정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스테인레스강 화일의 경우 근관확대가 가장 컸고 근관의 전이정도도 심하였으며, 형성된 근관이 taper하지 못하고 불규칙한 형태를 보였다. 2. Profile로 crown-down방식에 의해 형성한 경우 taper한 근관형태를 보였고, 근관의 전이 정도도 스테인레스강 화일의 경우보다 작았다(p<0.01). 3. Profile로 'Three-File'방식에 의해 형성한 경우 taper한 근관형태를 보였고 근관의 전이정도도 스테인레스강 화일의 경우보다 유의하게 작았으나(p<0.01), crown-down방식에 의해 형성한 경우와 유의할 만한 차이는 없었다(p>0.01).

  • PDF

근관내 여러 가지 조건에 따른 Root-ZX의 정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CURACY OF THE ROOT-ZX ACCORDING TO THE VARIOUS CONDITIONS OF ROOT CANALS)

  • 황호길;신영근;김평식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5권3호
    • /
    • pp.474-482
    • /
    • 2000
  • Currently frequency-dependent type electronic apex locators have been widely used to determine the working length in endodontic treatment. But, accuracy of electronic apex locators is controvers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Root-ZX(Morita Co., Japan) at different kinds of conditions of root canals compared with the radiographic working length. The 40 extracted human anterior teeth with fully formed apices and without any caries were used. The radiographs were taken for working length with the 0.5mm short of #15 K-file tip just visible at the foramen under the surgical microscope(Carl Zeiss Co. Germany) at 25X. Then the electronic working lengths were determined with Root-ZX at the different kinds of conditions of root canal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electrolyte and Crown-down pressureless techniqu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working length between radiograph and Root-ZX. 2.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electronic working length between the canal with electrolyte and without electrolyte. 3.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electronic working length between the canal without any instrumentation and after Crown-dow pressureless technique. 4. Of the total 40 root canals, 85% in Group I, 92.5% in Group II, 95% in Group III and 95% in Group IV using Root-ZX showed coincidence within 0.5mm accuracy compaing with the radiographic working lengt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oot-ZX can be use effectively for measuring the working length of root canal after instrumentation with Crown-down pressureless technique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electrolyte in root canal.

  • PDF

A survey of experience-based preference of Nickel-Titanium rotary files and incidence of fracture among general dentists

  • Lee, WooCheol;Song, Minju;Kim, Euiseong;Lee, Hyojin;Kim, Hyeon-Cheol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7권4호
    • /
    • pp.201-206
    • /
    • 2012
  • Objectives: The purpose was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and usage technique of NiTi rotary instruments and to retrieve data on the frequency of re-use and the estimated incidence of file separation in the clinical practice among general dentists. Materials and Methods: A survey was disseminated via e-mail and on-site to 673 general dentist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perator's experience or preferred technique and frequency of re-use or incidence of file fracture was assessed. Results: A total of 348 dentists (51.7%) responded. The most frequently used NiTi instruments was ProFile (39.8%) followed by ProTaper. The most preferred preparation technique was crown-down (44.6%). 54.3% of the respondents re-used NiTi files more than 10 time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xperience with NiTi files and the number of re-uses (p = 0.0025). 54.6% of the respondents estimated experiencing file separation less than 5 times per year. The frequency of separa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instrumentation technique (p = 0.0003). Conclusions: A large number of general dentists in Korea prefer to re-use NiTi rotary files. As their experience with NiTi files increased, the number of re-uses increased, while the frequency of breakage decreased. Operators who adopt the hybrid technique showed less tendency of separation even with the increased number of re-use.

회전식 nickel-titanium file을 이용한 유치의 근관치료 (ROOT CANAL TREATMENT ON PRIMARY TEETH USING NICKEL-TITANIUM NOTARY FILES)

  • 서주희;이광희;김대업;양계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20-625
    • /
    • 2001
  • 유치의 근관치료에서 치수절제술은 실활된 유치를 치열궁내에 유지하기 위해 치관과 근관부분의 괴사된 치수조직을 완전하게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이 술식은 감염된 치수의 세균을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다양하고 불규칙한 유치 근관의 형태가 주된 장애 요소로 작용한다. 더욱이 비협조적인 어린이의 경우에는 오랜 시간동안 정교한 시술을 하기가 곤란하다. 최근 들어 근관치료시에 회전식 기구를 이용하여 근관형성을 하는 장비들이 많이 개발되었으며 저속전기 모터에 회전식 NiTi file을 이용한 술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회전식 NiTi file과 전기모터를 이용하여 유구치의 근관치료를 시도하였다. 치수강을 개방하고 치관부 치수를 제거한 후 잠정적 작업장을 측정하였으며 적절한 NiTi file을 선택하여 잠정적 작업장까지 crown-down방법으로 점차적으로 형성하였다. 수용 file로 근단부 도달 및 성형을 하고 전체적인 마무리를 하여 Vitapex로 충전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