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p year

검색결과 1,043건 처리시간 0.034초

인삼 논재배 연작지에서 윤작물 재배가 토양화학성, 토양 미생물상 및 2년생 인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Crop Rotation in Paddy Soil Exhibiting Crop Failure Following Replanting: Effect on Soil Chemical Properties, Soil Microbial Community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2-Year-Old Ginseng)

  • 이성우;박경훈;이승호;장인복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94-302
    • /
    • 2016
  • Background: Crop rot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soil chemical properties, minimizing the presence of disease pathogens, and assists in neutralizing autotoxic effects associated with allelochemicals. Methods and Results: Five rotation crops of sudan grass, soybean, peanut, sweet potato, and perilla were cultivated for one year with an aim to reduce yield losses caused by repeated cropping of ginseng. In 2-year-old ginseng grown in the same soil as a previous ginseng crop, stem length and leaf area were reduced by 30%, and root weight per plant was reduced by 56%. Crop rotation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electrical conductivity, $NO_3$, and $P_2O_5$ content of the soil, whereas organic matter, Ca, Mg, Fe, Cu, and Zn content remained-unchanged. Soil K content was increased following crop rotation with sudan grass and peanut only. Rotation with all alternate crops increased subsequent ginseng aerial plant biomass, whereas root weight per plant significantly increased following crop rotation with perilla only.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root rot ration and soil K content,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ginseng root yield and the abundance of actinomycetes. Crop rotation affected the soil microbial community by increasing gram negative microbes, the ratio of aerobic microbes, and total microbial biomass whereas decreases were observed in actinomycetes and the ration of saturated fatty acids. Conclusions: In soil exhibiting crop failure following replanting, crop rotation for one year promoted both soil microbial activity and subsequent ginseng aerial plant biomass, but did not ameliorate the occurrence of root rot disease.

고구마 연작지에서 심토파쇄에 따른 고구마 생육 및 수량성 변화 (Effect of Subsoiling on Growth and Yield of Sweetpotato in Continuous Sweetpotato Cropping Field)

  • 이형운;정미남;한선경;안승현;이준설;양정욱;송연상;김재명;남상식;최인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47-53
    • /
    • 2015
  • 고구마 연작 토양에서 토양물리성을 개선하고 고구마의 괴근 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심토파쇄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용적밀도와 공극률, 고상의 비율은 표토와 심토에서 2년간 심토파쇄+로터리 혹은 1년차 심토파쇄+로터리 토양에서 개선되어 심토파쇄에 의해 토양물리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심토파쇄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유기물, 유효인산, 총 질소 등 토양 양분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3. 지상부 수량과 주경의 길이는 2년간 심토파쇄+로터리 토양에서 많거나 길었으며, 1년차 심토파쇄+로터리 토양, 관행 로터리 토양 순으로 줄어들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4. 심토파쇄+로터리 토양에서 관행 로터리 토양보다 상품괴근수량이 17~20% 정도 유의하게 많았으며 주당 상저수, 주당 상저중도 증가하여 고구마 연작지에서 심토파쇄에 의한 증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고구마 괴근의 브릭스 당도와 총유리당 함량은 심토파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석회보르도액 처리가 3년생 인삼의 생육과 진세노사이드 및 엑스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raying Lime-Bordeaux Mixture on Yield, Ginsenoside, and 70% Ethanol Extract Contents of 3-Year-Old Ginseng in Panax ginseng C. A. Meyer)

  • 이성우;김금숙;현동윤;김용범;강승원;차선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44-247
    • /
    • 2010
  • It's crucial to control Alternaria blight and Anthracnose emerging mostly on ginseng leaves during the rainy season to increase the organic ginseng produ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icay of lime-brodeaux spray on the ginseng leaves and evaluate the growth and yield of the ginseng, and the contents of ginsenoside and 70% ethanol extracts from 3-year-old ginseng variety, Cheonpoong. Lime-bordeaux sprayings were conducted in the ratio of 6-6 in June, 8-8 from July to September every 15 days. After June 10, the spraying have no effects on the growth leaf and stem,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in chlorophyll contents. The ratio of intact leaf and root were distinctly increased because Alternaria blight and Anthracnose were decreased by spraying lime-bordeaux mixture. Root weight per plant and root yield were increased by 15%, and 62% in 3-year old ginseng, respectively, because the ratio of intact leaf and root were higher by using lime-bordeaux mixture. Furthermore, spraying of lime-bordeaux mixture is prone to increase the ratio of rusty root in ginseng. Spraying of lime-bordeaux mixture decreased both of the contents of ginsenoside and 70% ethanol extract by 13.7%, and 15.2% in 3-year-old ginseng, respectively.

Effect of the Growth Period on Bioethanol Production from the Branches of Woody Crops Cultivated in Short-rotation Coppices

  • Jo, Jong-Soo;Jung, Ji Young;Yang, J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3호
    • /
    • pp.360-370
    • /
    • 2019
  • Woody crops cultivated in short-rotation coppices are attractive sources of lignocellulosic materials for bioethanol production, since they are some of the most abundant renewable resource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s of the growth period on bioethanol production using short-rotation woody crops (Populus nigra ${\times}$ Populus maxiwiczii, Populus euramericana, Populus alba ${\times}$ Populus glandulosa, and Salix alba). The carbohydrate contents of 3-year-old and 12-year-old short-rotation woody crop branches were 62.1-68.5% and 64.0-67.1%, respectively.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3-year-old and 12-year-old short-rotation woody crop branches did not vary significantly depending upon the growth period. However, the 3-year-old short-rotation woody crop branches (glucose conversion: 26-40%) were hydrolyzed more easily than their 12-year-old counterparts (glucose conversion: 19-24%). Furthermore, following the fermentation of enzymatic hydrolysates from the crop branch samples (by Saccharomyces cerevisiae KCTC 7296) to ethanol, the ethanol concentration of short rotation coppice woody crops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3-year-old branch samples (~ 0.18 g/g dry matter) than in the 12-year-old branch samples (~ 0.14 g/g dry matt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immature wood (3-year-old branches) from short-rotation woody crops could be a promising feedstock for bioethanol producti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s as Affected by Minimum Tillage and Direct Seeding Cultivation on Dry Rice Paddy

  • Seo, Myung-Chul;Seong, Ki-Yeong;Cho, Hyeon-Suk;Kim, Min-Tae;Park, Tae-Seon;Kang, Hang-W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8-15
    • /
    • 2014
  • In order to evaluating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soil under minimum tillage and direct seeding cultivation on dry rice paddy, we conducted to analyze the soil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in treatment with 2-year minimum tillage and dry direct seeding (2MT), 3-year minimum tillage and dry direct seeding (3MT), and tillage transplanting cultivation (TT). As results of analyzing soil organic matter (OM) contents with 2 cm soil depth of interval from surface to 30 cm, OM contents with surface soil from 0 to 2MT and 3MT were higher than TT, recorded 34.6, 28.1 and $19.8gkg^{-1}$, respectively. But until 20cm in soil depth, it was not so large on the deviation of OM contents among the 3 treatments comparing with 2cm surface. Beneath 20 cm in soil depths, 2- and 3-year, OM contents in TT were distributed to be lower than 2MT and 3MT. The contents of total nitrogen in 2MT and 3MT were higher than the content in TT across the soil profile. Consequently, though minimum tillage and direct seeding farming is obviously the practice to saving of machinery work and labor, other practices such as continuously input OM should be needed to achieve carbon sequestration goal through minimum tillage and direct seeding on dry paddy.

인삼의 지하부 생육 및 엑스함량의 경시적 변화 (Seasonal Changes of Growth and Extract Content of Roots in Panax ginseng C. A. Meyer)

  • 이성우;강승원;성낙술;현근수;현동윤;김영창;차선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483-489
    • /
    • 2004
  • 경기도 안성지역의 $4{\sim}6$년생 재래종 (자경종) 인삼포장에서 4월 28일에서 9월 30일까지 월별 지하부 생육특성과 엑스함량의 경시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동체장은 월별 수축과 회복을 반복하여 9월 수확기까지 증가되지 않았으나 동체직경은 점진적인 증가를 보였다. 2. 단위 면적당 지상부중은 4월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7월에 최고를 보인 후 차차 감소되었으며, 지하부중은 5월에 감소된 후 9월 수확기까지 점차 증가되었는데, 6년생은 7월 이후 약간의 감소를 보였다. 3. 지하부의 상대생장율은 전엽기인 5월과 고온기인 8월에 감소되었고 6, 7, 9월에 다시 증가되었는데, 6년생의 지근과 세근은 $4{\sim}5$년생에 비해 월별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4. 상품비율 (근중 60g 이상)은 연생이 증가할수록 커서 4년생 23%, 5년생 60%, 6년생 69% 이었다. 5. 뿌리의 수분함량은 수확기까지 차차 감소되었는데, $7{\sim}9$월까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9월 수확기의 수분함량은 4년생 > 5년생 > 6년생순 이었다. 6. 동체의 경도는 5월에 감소된 후 급격히 증가되었는데, $4{\sim}5$년생은 $6{\sim}9$월까지 대체로 증가되었으나 6년생은 8월부터 차차 감소되어 $4{\sim}5$년생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7. 동체와 지근의 엑스함량은 4월부터 6월까지 급격히 감소된 후 9월에 다시 증가되었는데, $4{\sim}5$월의 엑스함량은 4년생이 $5{\sim}6$년생보다 많았으나 9월에는 연생 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참당귀(當歸) 추태년차별(抽苔年次別) 채종종자(採種種子)의 후대생육(後代生育) 및 수양(收量) (Growth and Root Yield in Progeny the Derived from Different Bolting Years in Angelica gigas Nakai.)

  • 유홍섭;이승택;김관수;김영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271-276
    • /
    • 1996
  • 참당귀(當歸) 추태년차별(抽苔年次別)로 채종(採種)한 종자(種子)의 후대생육(後代生育) 및 수량변화를 파악함과 아울러 종자(種子)의 최적(最適) 채종(採種)시기를 구명하고자 수행한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을 근거로 한 초기생육(初期生育) 및 중기생육(中期生育)은 추태년차(抽苔年次)가 짧을수록 양호하였으며 , 후기(後期) 생육(生育)은 처리간(處理間)에 차이(差異)가 없었다. 2. 뿌리생육(生育)은 3년차(年次) 탐종종자(探種種子)에서 근장(根長), 근경(根徑), 건근중(乾根重)은 1, 2년차(年次)보다 다소 양호(良好)하며 특히 R/S률(率)이 높아 뿌리 발육(發育)이 좋았다. 3. 추태률(抽苔率)은 1년차(年次)38.1%, 2년차(年次)10.4%, 3년차(年次) 1. 2%로 3년차(年次) 탐종종자(探種種子)에서 가장 낮아 추대율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3년차(年次) 채종이 적합하였다. 4. 10a당(當) 뿌리 수량(收量)은 1년차(年次) 채종종자(種子)에서 169kg으로 가장 낮았으며, 2년차(年次), 3년차(年次) 종자(種子)에서는 각각 287kg, 294kg으로 3년차(年次) 채종종자(採種種子)에서 가장 많았다. 4. 추선률(抽善率)은 중기생육시(中期生育時) 초장과 유의적인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으며, 수양(收量)은 추태률(抽苔率)과 고도(高度)의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여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 PDF

지역별 관개 계획기준년 선정과 기준작물 잠재증발산량 비교 (Selection of Irrigation Desgin Year and Compparision of Reference Crop Evapotranspiration at 13 Regions)

  • 김현수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the 1999 Annual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of Agricutural Engineers
    • /
    • pp.93-98
    • /
    • 1999
  • This study is performed to select irrigation design year from 10-year return period 7-month(April to October) precipitation amount and compare reference crop evapotranspiration at 13 regions by REF-ET model. 1. Seven-month growing season average reference crop evapotranspiration values showed low values of 4.1 ∼4.2mm /day by FAO-24 Corrected Penman method, and 3.6 ∼3.7mm/day by FAP-24 Blaney Criddle method in Chinjin and Ulsan, high values of 4.9mm/day by FAO-24 Corrected Penman method , 4.1mm/day by FAO -24 Blaney Criddle method in Mokpo and Pohang. 2. Estimated seven-month growing season average reference crop evapotranspirations are 4.6mm/day by FAO-24 Corrected Penman method, 3.9,mm/day by FAO-24 Balney Criddle method, 4.0mm/day 1985 Hargreaves method, respectively.

  • PDF

시호 수집종의 근 수량 및 Saikosaponin 함량 (Root Yield and Saikosaponin Content in Local Strains of Bupleurum falcatum L.)

  • 박용진;성재덕;김호영;서형수;이수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53-457
    • /
    • 1994
  • 본 시험은 1990년 11월부터 1992년 11월까지 국내에서 수집된 시호 6계통과 일본에서 도입된 삼도종을 공시하여 생육특성, 근수양성 및 saikosaponin 함량을 조사한 것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래종 시호의 개화기는 1년생이 8월 2∼3일, 2년생은 7월 16∼18일로, 1년생보다 2년생이 일찍 개화하였으며, 일본도입종인 삼도종은 국내 수집종에 비하여 1년생은 18일, 2년생은 32일각각 늦게 개화하였다. 2. 초장 및 경태에서 춘천종은 초장이 크고 경태가 굵은 편이었으며 삼도종은 다분지형이었다. 3. 근장, 근태 및 지근수는 국내 수집종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삼도종은 뿌리가 굵고 짧으며 지근이 적은 경향이었고, 건근수량은 1, 2년생모두 춘천종이 높았으며, 2년생근의 10a당 평균수량은 105Kg으로 1년생근에 비해 2.6배를 보였다. 4. Saikosaponin 함량면에서 춘천종은 1, 2년생근 모두에서 높은 편이었고, saikosaponin 조성에서는 국내 재래종이 일본에서 도입된 삼도종보다 약리활성이 높은 saikosaponin a 및 d의 함량비율이 높아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기상요인이 맥류수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Weather Condition for Grain Yield in Barley)

  • 서형수;이봉호;정근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18-325
    • /
    • 1986
  • 논보리 수량에 미치는 기상의 영향을 구명하고자 답리작 9개 시험지에서 12개년간 수행한 올보리의 보리쌀 수양성적을 발표하고 이 시기에 조사된 수량구성요소와 기상관측치와의 관계를 검토하였던 바 몇가지 결과를 얻었기에 여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보리쌀 수량은 전작에 비하여 답리작에서 감수되었고 지역간에도 차이가 현저하였으며 경남은 보리 재배에 안전성이 있었다. 2. 보리쌀 수량의 연차간 변리계수는 12.2~42.6%로서 풍ㆍ흉연간의 차이가 현저하였고, 출수기는 풍년이 흉년보다 남부가 중부보다 빨랐으며, 출수기와 수양간에는 부의 유의상관이 존재하여 출수기가 빠른 것이 증수되었다. 3. 풍년은 흉년보다 간장이 긴반면 수장은 짧은 경향이었고 수당입수는 비슷하였으나 천립중은 가벼웠으며 수수와 수량과는 고도의 정의 유의상관이 인정되어 풍ㆍ흉에 관계없이 수수가 $m^2$당 500개 이상이었던 것은 보리쌀이 10a당 250kg 이상 생산되었다. 4. 보리의 수량에 미친 온도는 풍년이 흉년에 비하여 감온성에 영향하는 영양생장기는 고온으로 교대기는 저온으로 경과되었고 감광에 지배되는 생식생장기는 비슷하였으며 월동기간의 온도와 보리 수양간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5. 강우량은 풍년이 흉년보다 파종기는 적었고 유묘기에는 많았으나 월동기간에는 적었다. 4월 상순의 강우량과 논보리 수량과는 부의 유의상관이 있었는데 이 시기에 강우량이 40mm 이상이었던 것은 보리쌀이 10a당 250kg 이하로 생산되어 보리의 수량 결정적인 영향을 하있으며 4월 중순 이후에는 풍년이 흉년보다 다소 많은 경향이었다. 6. 일조시간은 풍년이 흉년보다 파종기에는 길었고 월동기간은 짧았으며 해동후 수확기까지는 긴 상태로 경과하였는데 일조시간이 보리 수량에 미친 영향은 온도 및 강우량보다 명백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