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p density

검색결과 778건 처리시간 0.036초

파종양식과 재식밀도가 옥수수 변형단교잡종 교배친의 생육 및 채종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ing Pattern and Plant density on Seed Production of a Modified Single Cross Corn Hybrid)

  • 박근용;강영길;박승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2-66
    • /
    • 1984
  • 옥수수 변형단교잡종 채종재배에 있어서 웅주간파 ♂♀ 1 : 2, 2 : 4 등의 파종양식과 재식밀도가 종자친의 생육 및 채종량과 화분친의 웅수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983년 제천옥의 종자친 KS8/B68과 화분친 KS5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기 및 간장은 파종양식이나 재식밀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고 종자친의 착수고는 파종양식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재식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2. 종자친의 100주당 수수는 10a당 종자친 3,500본에서는 파종양식간에 비슷하나 5,000본 이상에서는 2 : 4 재배보다 웅주간파나 1 : 2재배에서 많았으며 재식밀도 증가에 따라 파종양식에 관계없이 직선적으로 감소하였다. 수당입수는 파종양식간에는 차이가 없고 파종양식과 재식밀도의 상호작용도 유의하지 않았으나 재식밀도 증가에 따라 작아졌다. 100입중은 25g 내외로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3. 화분친의 화분이 제한되지 않은 조건에서의 채종량은 웅주간파, 1 : 2재배, 2 : 4재배순으로 많은 경향이였고 10a당 종자 친 3,500본에서 5,000본으로 증가시킴에 따라 크게 증가하나 5,000본에서 6,500본으로 재식밀도 증가에 따른 채종량 증가는 크지 않았다. 4. 화분친의 웅수장과 웅수당 영화수는 1 : 2나 2 :4재배에 비하여 웅주간파 재배에서 작았고 재식밀도 증가에 따라 1 : 2 및 2 : 4재배에서는 크게 감소하였으나 2: 4재배에서는 유의하게 작아지지 않았다. 5. 변형단교잡종의 채종에는 1 : 2나 2 : 4재배의 10a당 종자친 5,000본 재식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다비 밀식 재배에서 Anti-GA에 의한 벼의 영양생장 조절과 그에 따른 수량 변화 I. 재식밀도에 따른 Anti-GA가 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Modulation of vegetative growth of rice under the high nitrogen and planting density with a Anti-GA for breaking yield-ceiling I. Effect of Anti-GA on the growth and yield of rice under planting density)

  • 임재석;권용웅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1992년도 춘계 학술대회지
    • /
    • pp.50-51
    • /
    • 1992
  • PDF

Comparison of Yield Potential According to Planting Density for Use of Small Potatoes in Greenhouse Cultivation

  • Yoon-Ho Song;Yoon-Sang Jo;A-Reum Park;Gyu-Seuk Han;Jin-Hee Meng;Geon-Su Ha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3-43
    • /
    • 202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planting density suitable for technology that can produce a lot of small seed potatoes to machine sowing, the test material was made of less than 3 g of seed potatoes, and planting density was 75×10, 75×15, 75×20cm. the results of the test study were as follows, number of potatoes per 10a and number of potatoes under 50 g were the most 75×10cm in 2sowing methods. In view of these results, planting density suitable for technology that can produce a lot of small seed potatoes to machine sowing is judged 75×10cm in 2sowing methods. In order for this study to be applied in the agricultural field, cultivation management such as adequate water supply will be required.

  • PDF

2기작재배시 후기작 재식밀도에 따른 식용 풋찰옥수수의 생육 및 수량 (Effect of Planting Densities on Growth and Yield of Fresh Waxy Corn as Second Crop)

  • 김은석;김수경;김대호;손범영;강동주;최진용;송근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90-194
    • /
    • 2000
  • 남부지방 노지에서 식용 풋옥수수 2기작 적정 재식 거리를 구명하기 위하여 1997년까지부터 1998년까지 2년간에 걸쳐 풋옥수수로 적합한 찰옥 2호를 7월 10일 파종하였다. 재식 밀도는 ha당 55.5천본, 66.6천본, 83.3천본, 111.1천본으로 달리하여 주요 생육특성 및 수량반응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장은 재식밀도가 ha당 55.5천본일때 평균 154cm이었으나, 재식밀도가 증가할 수록 커져 111.1천본에서는 168cm로 컸다. 또한 착수고와 중심고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재식밀도 차이에 따른 도복은 없었다. 2. 출사기에 조사한 단위면적당 건물중은 재식밀도의 증가에 따라 무거워졌고, 엽면적지수도 건물중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3. 2기작에서 출사기는 재식밀도간에 차이가 없이 8월 27일로 동일하였다. 4. 이삭길이와 이삭폭은 재식밀도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착립장은 가장 밀식인 ha당 111.1 천본에서 짧았다. 이삭수는 재식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많아졌으나, 이삭중은 ha당 83.3천본에서 2개년 평균 11.2 MT으로 가장 무거워 적정 재식밀도는 약 80천본으로 추정되었다.

  • PDF

국내 육성 품종 '탐미유채'의 소포자 배양 시 배양조건이 배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lture Condition on Embryogenesis in Microspore Culture of Brassica napus L. Domestic Cultivar 'Tammiyuchae')

  • 김광수;이영화;조현준;장영석;박광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17-323
    • /
    • 2012
  • 국내 육성 유채 품종의 소포자 배양을 통한 효율적인 소포자배 생산법의 확립을 위해 '탐미유채'를 대상으로 소포자 배양 시 적당한 꽃봉오리의 크기, 고온처리시간, 배양밀도, 기내 증식조건 등의 배양조건을 구명하고자 실시한 결과, 소포자배 발생은 1핵기말과 2핵기 초기 상태의 소포자가 포함된 3.0~3.5 mm 크기의 꽃봉오리에서 채취한 소포자에서 배발생률이 가장 높았으며, 배지 1 mL 당 약 388개의 소포자 배가 발생하였다. 배양 초기에 $32.5^{\circ}C$에서 2일간 열처리하였을 때 배발생률이 가장 높았다. 소포자의 배양밀도에 따른 배발생은 $5{\times}10^4$개/mL일 때 가장 높았으며, 배양밀도가 더 이상 높아지면 배발생을 억제하였다. 발생한 소포자배는 $0.5mg{\cdot}L^{-1}$ NAA와 $1mg{\cdot}L^{-1}$ BA가 첨가된 MS 고체배지에 치상하여 배양하면 정상적인 신초로 재분화되었고, 발달한 신초를 절취하여 식물성장 조절제가 첨가되지 않은 MS고체배지에서 배양하면 뿌리가 발달하여 정상적인 식물체로 성장하였다.

드문모심기 적정 파종량 및 육묘일수 분석 (Seeding Rate and Days for Low-density Transplant Cultivation)

  • 황운하;정재혁;이현석;양서영;이충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2호
    • /
    • pp.112-119
    • /
    • 2021
  • 최근 벼 이앙 시 필요한 육묘상자 개수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생력재배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드문모심기의 안전 육묘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육묘상자당 파종량 및 육묘일수에 등 육묘환경에 따른 모소질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육묘일수 10일 시 파종량에 따라 엽수, 줄기두께가 변하였으며, 육묘일수 20일에는 초장, 엽수, 줄기두께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2. 상자 당 파종량 증가에 따라 육묘일수에 따른 초장신장, 엽령증가정도 및 줄기두께 증가정도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3. 상자 당 파종량 증가에 따라 줄기 건물중 및 뿌리 건물증이 감소하였으며 그 감소폭은 육묘일수 10일에 비해 20일에 크게 증가하였다. 4. 어린모의 줄기 건물중은 뿌리건물중, 초장 및 줄기두께와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상자 당 파종량 증가 시 모충실도는 낮아지며 육묘일수당 모충실도 감소량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5. 드문모심기 시 육묘상자 절감의 효율증대를 위해 최소 묘취량을 설정하여 이앙 시 주당 3~5본을 이앙하기 위한 적정 파종개수는 11,000로 현미천리중이 22 g인 종자의 경우 약 280~300 g으로 판단되며 이 때 적정 육묘일수는 모충실도감소가 적은 13~16일로 판단된다.

호밀 리빙멀치, 토양환원, 예취처리가 유기농 콩밭 잡초 발생에 미치는 영향 (Weed Occurrence as Influenced by Living Mulch, Soil Incorporation and Cutting Treatment of Rye in Organic Soybean Field)

  • 이병모;이지현;오영주;이상범;강충길;지형진;이종형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4-170
    • /
    • 2010
  • 유기농 콩 재배에 가장 문제가 되는 잡초를 억제하기 위하여 호밀을 피복작물로 이용하여 콩을 재배하였다. 호밀의 이용방법에 따른 잡초 억제 효과를 보기 위하여 리빙멀치(living mulch), 토양 환원, 호밀 예취구를 두었고, 콩의 재식밀도와 호밀 파종밀도를 다르게 처리하여 잡초의 발생 양상을 비교하였다. 호밀을 리빙멀치로 이용한 처리구가 잡초의 발생과 생 육을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콩 파종 한달 후의 잡초 억제율은 리빙멀치구가 92.5%에 달하였으며 15일 예취구가 75.4%, 토양 환원구가 67.1%, 30일 예취구가 61.3%에 달하였다. 호밀의 파종 밀도에 따른 효과는 처리구간 차이가 미미하였으나 콩 생육 후기에는 호밀 2줄 파종이 호밀 1줄 파종보다 다소 우수하였다. 콩 재식거리에 따른 효과도 호밀 파종 밀도의 결과와 비슷하여 밀식과 소식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Effects of Planting Densities and Maturing Types on Growth and Yield of Soybean in Paddy Field

  • Cho, Jin-Woong;Lee, Jung-Joon;Oh, Young-Jin;Lee, Jae-Dong;Lee, Sang-Bo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05-109
    • /
    • 2004
  • Field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southeastern Korea ($36^{\circ}$N) on a commerce silt loam soil at paddy field. Seed were manually planted on 16 July 2003. Plants were planted with plant densities of 70${\times}$10 cm (row width x plant spacing), 50 x 10 cm, and 30 ${\times}$10 cm. Two seedlings per hill were taken prior to V3 stage. Fertilizer was applied prior to plant at a rate of 30-30-34 kg (N-$\textrm{P}_2\textrm{O}_5$-$\textrm{K}_2\textrm{O}$) per ha. Experimental design was a randomized complete block in a split plot arrangement with three replications. Yield from different planting densities responded similarly in three soybean cultivars and increased when planting density increased. Somyeongkong showed the highest increasing rate of yield about 26% by 338 g $\textrm{m}^{-2}$ at 30 x l0 cm compared to yield of conventional planting density (70 x 10 cm). Also, the planting density significantly affected pod and seed number and seed weight, but not seed per pod. The tallest plant appeared at 30${\times}$10 cm. The change of leaf area according to days after emergence showed differently in soybean cultivars. The highest and lowest total dry matter production per square meter appeared at 30 x 10 cm and at 70 x 10 cm, respectively. Crop growth rate (CGR) showed greater at R3∼R4 stages compared with V7∼R2 or R2∼R3 growth stages and showed the greatest at 30 x 10 cm in three soybean cultivars. As late planted soybean,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seed yield and CGR, and leaf area index (LAI) according to planting densities at before and after the flowering stage. Relationship between seed yield and CGR in three planting densities showed 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textrm{R}^2$=0.757) at R3 to R4 stages, and significant relations ($\textrm{R}^2$=0.505, 0.617) at V7 to R2 and V2 to V3. Also, there was 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difference between seed yield and LAI during R3 to R4 and R2 to R3 stages.

Establishment of Sesame Cultivation Practices as Succeeding Cropping System of Watermelon in the Greenhouse Condition

  • Shim, Kang-Bo;Hwang, Jung-Dong;Pae, Suk-Bok;Lee, Myoung-Hee;Ha, Tae-Joung;Park, Chang-Hwan;Park, Keum-Yong;Son, Jeong-Hee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195-199
    • /
    • 2010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velop optimum sesame cultivation practices as succeeding cropping system of watermelon in the greenhouse condition. We also compared major components in sesame seed cultivated in the greenhouse and open field condition. The adaptable varieties under the greenhouse condition were white sesame 'Pyoungan' and black sesame 'Jinki' which showed higher yield and disease resistance. We also conducted several experiments to determine optimum sowing date, planting density and pinching time. Grain yields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veral sowing dates. In general, sesame sowing on June 30th showed higher grain yields than July 10th, July 20th and July 30th in the greenhouse. We also found out sesame cultivation practice with the row spacing of 40 cm and interplant spacing of 30 cm (a few branch type) or 40 cm (many branch type) showed higher yield than other treatments. Optimum pinching time was 25 days after first flowering in main stem when thousand seed weight and grain yield were highest. In the comparison of major components of sesame at the different cultivation conditions, sesame seeds cultivated in the greenhouse contained 4% much more oil content than open field condition. The lignan compounds, sesamin and sesamolin were also higher by 6% in the greenhouse than open field condition. It was concluded that sesame cultivation practices as succeeding cropping system of watermelon in the greenhouse condition guaranteed higher grain yield with less labor input which is now emerging alternative farming practice system in present aging rural society and will also give sesame cultivation farmers to increase net income in Korea.

중부 평야지에서 고품질 중생종 벼 '하이아미'의 재식밀도에 따른 수수 변화와 수량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anicle Production and Yielding Traits Influenced by Transplanting Density in Mid-Maturing Quality Rice 'Haiami' in the Mid-Plain Area of Korea)

  • 양운호;강신구;박정화;김숙진;최종서;윤영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193-202
    • /
    • 2017
  • 중부 평야지에서 최고품질 중생종 벼 '하이아미'의 밀식에 의한 수수 증가 효과와 그에 따른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성 변화의 관계를 분석하고, 완전미 수량에 대한 수량 관련요소의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수원 벼 재배시험 포장에서 2014~2015년 수행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단위 면적당 경수는 재식거리가 좁고 주당본수가 많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벼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그 차이는 적어졌으나 이러한 경향은 수확기 수수까지 유지되었다. 2. 완전미 수량은 재식거리에 따라 2014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2015년에는 $30{\times}18cm$에서만 감소하였으며, 두 해 모두 주당본수가 적을수록 높았다. 3. 단위 면적당 포기수와 주당본수 증가에 의하여 $m^2$당 수수는 많아졌으나, 밀식에 의한 수수 증가가 완전미 수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단위 면적당 수수는 수당영화수와만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고, 다른 수량구성요소 및 완전미 수량과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5. 재식거리와 주당본수 조절에 의한 완전미 수량의 변화는 완전미 비율과는 관계가 없었고 쌀수량과 직선적인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쌀수량은 $m^2$당 영화수 증가에 따라 향상되었는데, $m^2$당 영화수는 $m^2$당 수수보다 수당영화수 증가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나 이들 두 요소가 함께 영향을 미쳤다. 6. 결론적으로 중부 평야지에서 하이아미를 보통기 보비 재배하는 경우, 완전미 수량은 밀식에 의한 수수 증가로 향상되지 않으며, $m^2$당 수수와 수당영화수의 적절한 조합에 의하여 $m^2$당 영화수를 증가시켜 쌀수량을 증대시킴으로써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