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itical duration

검색결과 444건 처리시간 0.03초

기후변화에 따른 에너지 저장시설 침수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ooding Risk Assessment of Energy Storage Facilitie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 류성렬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0-18
    • /
    • 2022
  • 연구목적: 인천지역 에너지 저장시설 폭우재해로 인한 침수분석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현장조사를 통한 탐문조사 및 목측 조사, 기 수립 보고서 및 도면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해 지금까지 파악되지 않은 관로 및 하천의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침수분석을 위해 선정한 SWMM 모형의 입력자료를 구축하였다. 연구방법: 재현기간 및 지속기간별 확률강우강도 산출에 따른 확률홍수량 분석을 통해 임계지속기간의 결정을 위해 빈도별 임의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강우강도 산정이 필요하므로 국토해양부 연구 성과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이를 토대로 빈도 및 지속기간별 확률강우량을 추출하여 침수분석을 통해서 임계지속기간을 결정하고, 방재성능목표에서 제시한 강우량을 적용하여 부지의 안전측 검토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결론: 해당 기지의 임계지속기간은 유역 경사가 매우 완만하여 30분으로 비교적 짧은 지속기간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으로 임계지속기간이 30분 이내의 경우 침수가 발생하더라도 침수규모는 크지 않는 특성이 있다.

Framework for Estimating Appropriate Construction Duration of CFRD in the Planning Phase

  • Kim, In Kyum;Kim, Kyong Ju;Yun, Won Gun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604-605
    • /
    • 2015
  • To secure quality of dam construction needs appropriate construction duration. Tight construction schedule may have negative influence on infrastructure quality, work safety and maintenance cost. It is necessary to reflect proper construction duration in the planning phase. There have been standards for estimating construction duration of building and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but dam construction have not. In order to estimate construction duration of CFRD, feasible study reports and design reports were analyzed to acquire available information. After that, considering on construction duration methods such as comparison with similar cases, approximate estimating formula, approximate quantity assumption were adapted to Critical Path items. Hence, this study present framework for construction duration estimating of CFRD in the planning phase. This framework can be applied other types of dam along the same line.

  • PDF

유수지 설계를 위한 계획강우의 임계지속기간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Design of Edtention Pond and Critical Duration of Design Rainfall in Seoul)

  • 이종태;윤세의
    • 물과 미래
    • /
    • 제26권1호
    • /
    • pp.115-124
    • /
    • 1993
  • 본 연구는 유수지.배수펌프장설계를 위한 계획강우의 임계지속기간의 결정 및 이에 근거한 계획 유수지.배수펌프장의 적정규모 추정에 관한 것이다. 계획강우의 지속기간과 시간적 분포형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240분 범위의 9가지 경우의 지속기간들과 Huff의 4분위법에 의한 4종류의 강우분포들을 검토대상 강우로 선택하였으며, 유출해석모형으로는 ILLUDAS를 사용하였다. 임계지속기간 결정기준으로서 저류비(총유출량에 대한 최대저류량의 비)의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이 값을 최대로 하는 지속기간을 계획강우의 임계지속기간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배수구역면적이 $0.24~12.7\textrm{km}^2인$ 서울시의 18개 유수지.배수펌프장을 선정하였으며,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30분과 60분이 임계지속기간으로 나타났다. 도한 Huff의 제 2, 3분위형의 경우가 제 1, 4분위형 보다 큰 저류비를 보여주었다. 또한 임계지속기간을 갖는 강우조건에서의 최대저류비와 첨두입출비간의 회귀식을 제시하였다. 이 관계식은 유수지 배수펌프장 계획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국립공원내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미계측 산림지역의 설계홍수량 추정 (Estimation of Design Flood Runoff in Ungaged Forest Watershed to Reduce Flood Damage within the National Park)

  • 김상민;임상준;이상호;김형호;마호섭;정원옥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1권5호
    • /
    • pp.107-11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design flood runoff for ungaged forest watershed to reduce the flood damage in national park. Daewonsa watershed in Jirisan National Park was selected as study watershed, of which characteristic factors were obtained from GIS data. Flood runoff was simulated using SCS unit hydrograph module in HEC-HMS model. SCS Curve Number (CN) was calculated from forest type area weighted average method. Huff's time distribution of second-quartile storm of the Sancheong weather station, which is nearest from study watershed, was used for design flood runoff estimation. Critical storm duration for the study watershed was 3 hrs. Based on the critical duration, the peak runoff for each sub-watershed were simulated. It is recommended to monitor the long-term flow data for major stream stations in National Park for a better reliable peak runoff simulation results.

Critical Compressive Strain of Concrete under a Long-Term Deformation Effect Part I. Experiments

  • Nghia, Tran Tuan;Chu, In-Yeop;Kim, Jin-Keu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 /
    • 제4권2호
    • /
    • pp.89-96
    • /
    • 2010
  • This paper focuses on the effect of creep on the critical compressive strain (CCS) of concrete. The strain of concrete corresponding to the peak compressive stress is crucial in the selection of the ultimate yield strength of the reinforcing bar used in reinforced concrete columns. Among the various influencing factors, such as the creep, shrinkage, loading rate and confinement, the effect of creep and shrinkage is the most significant. So far, investigations into how these factors can affect the CCS of concrete have been rare. Therefo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reep and shrinkage on CCS, an experimental (part I) and a parametric study (part II) were conducted, as presented in these papers (part I considers creep effect, part II considers effect of creep and shrinkage). In part I, experiments pertaining to the loading age, loading rate, loading duration and loading and creep levels were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these variables on the CCS of concrete. It was found that the effects of the loading rate, loading age, and level and duration on the CCS of concrete were negligible. However, it is very important to consider the effect of creep.

설계홍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의 민감도 분석: 자연유역을 중심으로 (A Sensitivity Analysis for Parameters Effection upon the Design Floods: Natural Watershed)

  • 윤여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1권6호
    • /
    • pp.695-708
    • /
    • 1998
  • 최근 중·소규모의 도시전역과 자연유역에서 임계지속기간의 개념을 도입하여 설계홍수량을 산정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임계지속기간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며 특히 자연유역에 대해서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유역을 대상으로 Clark모형을 이용하여 강우분포 형태, 첨두강우 발생위치, 빈도에 따른 임계지속기간 및 첨두유량을 산정하고, 적용모형의 매개변수들에 대한 민감도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각종 인자들이 설계홍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부등류 해석을 기반으로 한 노면배수시설 설계 (Design of Road Surface Drainage Facilities Based on Varied Flow Analysis)

  • 구혜진;김진수;박형섭;전경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12호
    • /
    • pp.1173-1185
    • /
    • 2008
  • 노면배수시설의 설계방법을 임계지속시간의 고려 여부와 등류 및 부등류의 해석 방법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하고, 각 방법에 따른 설계결과를 비교·검토하였다. 임계지속시간을 고려하지 않는 방법에서 설계강우는 10분 지속시간의 강우강도로 정하나, 임계지속시간을 고려할 경우 설계강우는 강우의 지속시간과 유출의 도달시간이 유사해지는 경우를 시산적으로 찾아 결정한다. 4가지 설계방법으로 수립된 설계모형을 다양한 수로의 종단경사 및 길어깨 횡단경사를 가지는 노면배수시설에 적용하고, 그 설계결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10분 지속시간의 강우강도를 이용하는 경우, 부등류 해석을 기반으로 설계한 유출구 간격은 종단경사와 길어깨 횡단경사가 작은 경우에만 등류 해석보다 크게 산정되었다. 반면 도달시간을 산정하여 임계지속시간을 결정하는 경우에는 본 연구에서 고려된 모든 조건에서 부등류 해석을 기반으로 설계한 유출구 간격이 등류 해석보다 크게 산정되었다. 그러나 도달시간을 산정하여 임계지속시간을 결정하고 부등류 해석을 기반으로 설계한 유출구 간격은 10분 지속시간의 강우강도를 적용하고 등류 해석을 기반으로 설계한 값보다 항상 작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체계적인 호흡운동 프로그램이 기흉환자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Systematic Breathing Exercises Program on Recovery of Patients with Pneumothorax)

  • 김용례;박상연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8-36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ystematic breathing exercise program on recovery of patients with pneumothorax. Methods: An nonequivalent interrupted time-series control group posttest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40 inpatients (Experimental Group; 20, Control Group; 20) at the one University Hospital in U city. The systematic breathing exercise program including education on deep breathing exercise using incentive spirometry, Range of motion (ROM) exercise in shoulder joint, walking exercise and feedback were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control group carried out deep breathing exercise using incentive spirometry. The duration of chest tube insertion, duration of hospitalization, and frequency of analgesics use were measured. The data were analysed by a SPSS/WIN program. Results: The duration of chest tube insertion and duration of hospitaliz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of the frequency of analgesics us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systematic breathing exercise program was effective to improve recovery of patients with pneumothorax. This program can be applied in hospitals for patients with pneumothorax as one of the nursing intervention modalities.

  • PDF

방전에너지에 따라 동전극과 흑연전극이 방전가공면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n EDM Surface with the Copper and Graphite Electrode According to the Discharge Energy)

  • 최재용;전언찬;정재현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3-59
    • /
    • 1997
  •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inmvestigate MRR(metal removal rate), REW(relative electrode wear), surface roughness, heat transumutation layer and microhardness distribution in cross-section of the machined surface with various pulse-on duration and peak pulse current, using the copper and graphite electrode on the heat treated STD11 which is extensively used for metallic molding steel with the EDM.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a) There exists critical pulse-on duration(If Ip equals 5A, .tau. on is 50 .mu. s) which shows the the maximum MRR in accordance with peak oulse current and the MRR decreases when the pulse-on duration exceeds the critical pulse-on during because of the abnormal electric discharge. b) Safe discharge is needed to make maximum of MRR and the metalic organization must be complicated for discharge induction. c) Graphite has much more benefits than copper electrode when rapid machining is done without electrode wear. d) The most external surface has the highest microhardness because of car- burizing from heat analysis of the dielectric fluid and the lower layar of the white covered layer has lower microhar dness than base matal because of softening.

  • PDF

우유의 HACCP 시스템에서 Predictive Food Microbiology Model 이용 (Application of Predictive Food Microbiology Model in HACCP System of Milk)

  • 박경진;김창남;노우섭;홍종해;천석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3-110
    • /
    • 2001
  • 예측식품미생물학(PFM)은 1980년대 후반 이후 식품미생물학 분야에서 새롭게 발생한 신학문 분야이다. PFM은 특별한 환경적 요인에 따른 미생물 특히, 병원성미생물의 반응(사멸과 생존)을 예측하기 위하여 수학적인 모델을 이용한 것이다. 현재까지 개발된 PFM모델중 완전한 것은 없지만, 어떤 특정 조건하에서는 신속하고 객관적으로 미생물의 반응을 예측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HACCP시스템, Risk Assessment 등에서 응용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PFM 모델중 PMPwin5.1을 이용하여, 우유 저장에 대한 HACCP시스템 중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분석, CCP 및 CL설정에 대한 방법론적 예를 제시하였다. 모델에 대한 초기조건으로 우유와 동일한 물리화학적 조건인 pH 6.7, Aw 0.993, NaCl 1.3%을 고정변수로 하고, 저장온도(4~15$^{\circ}C$)를 변이변수로 선정하여, 온도에 따른 주요 병원성미생물의 generation time, lag phase duration, infective dose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산출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온도의 변화에 따른 각 병원성미생물의 성장을 안전정도에 따라 “안전온도범위(Safe temperature zone)”, “주의온도범위(Caution temperature zone)”, “위험온도범위(Danger temperatue zone)”로 분류하였으며, 이들 분류는 우유의 유통기간인 5일을 기준으로 각 병원성미생물의 lag phase duration, infective dose에 도달하는 시간에 따라 결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우유의 HACCP시스템에 있어, 위해요인 분석시 위해요인의 분류 및 위해요소간의 위해 정도의 우선순위 부여에 보조적인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유통.저장단계에서 병원성미생물의 상징에 대한 온도수준을 나타내므로, 이 단계를 CCP로 설정할 수 있고, CCP에 대한 CL은 주위온도범위내에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허용수준에 대한 온도의 범위를 제시하므로 모니터링이나 검증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