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vity learning program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3초

뉴질랜드의 교사교육 프로그램과 수학교사교육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in New Zealand)

  • 최창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9권3호
    • /
    • pp.287-298
    • /
    • 2010
  • The purpose of teacher education can be accepted in various meanings but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e ultimate purpose is focused on training teachers to teach instruction in school effectivel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consists in giving some suggestive points to the primary teacher education of our country by introducing education system, teacher education programs, real cases of teacher education in new zealand to the readers. To do this, I took part in four classes and observed the ones, interviewed some students and collected the materials of products of activity during one year and also videotaped for analysis in the case of needed and so we have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we have found that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practicum, management of class and assessment system of new zealand college of education are quite different with our primary teacher education systems and also various courses are established. Second, the teacher education in new zealand is focused on how they compose the environment of learning related to the context of one. Third, we have to think seriously how we can teach our students interestingly in our classroom. Finally, the global trend of instruction in new zealand teacher education is oriented to learner and so I felt that daily class itself is the one to cultivate creativity of learner.

초등학교 영재교육을 위한 수학·과학 중심의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Gifted Education Based on Mathematics and Science)

  • 류성림;이종학;윤마병;김학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217-228
    • /
    • 2018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과학 교과 내용을 중심으로 인문과 예술, 공학, 기술, 디자인의 교육 자료를 다양한 주제로 융합하여 영재교육을 위한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2015개정 교육과정에 적합한 초등학교 수학-과학 교과의 성취기준과 교과 내용을 분석하여 4단계 STEAM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3시간 블록타임의 16차시 융합교육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구안했다. 개발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현장 적용을 위해 개발과 시범 적용 과정에서 4명의 교육 전문가 패널이 참가하여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완성했다. 수학-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여러 교과를 통합하여 디자인과 메이킹, 감성 기반의 16차시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초등학생들에게 시범 적용한 결과 창의적인 설계와 디자인, 적극적인 참여와 협동학습, 재미있는 수업활동(게임, 만들기 등)으로 융합교육의 목적과 가치를 달성할 수 있었다. 개발된 융합교육 영재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정규 수업 시간과 창의적 체험활동, 영재학급 수업 등에서 적용한다면 학생들의 과학적 창의성, 예술적 감수성, 디자인 감각 등을 함양할 수 있는 실질적인 융합교육 콘텐츠가 될 것이다.

의상디자인 교육용 하이퍼미디어 코스웨어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Hypermedia Couseware for Fashion Design Education)

  • 조진숙;한명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8권5호
    • /
    • pp.629-637
    • /
    • 2000
  • This paper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a fashion design educational program that will foster the talent and aesthetic consciousness of fashion design students. The goal of progressive educational methods with cutting edge technology is to elevate educational efficiency, and ultimately rear creative designers. To fulfill its objective, this paper presents a courseware program on fashion design education utilizing hyper media that include animation, photographs, pictures, sounds and characters. By the utilization of such comprehensive source of information media, a hypermedia courseware was developed for elementary education in fashion design with the following conclusions : 1. The program enables the students to customize their fashion design education. The students of fashion design education programs are able to choose and adjust their own programs to suit their requirements and intellectual level. 2. The program effectively motivates. Much like a constant sequence of various images on a screen that can provoke profound heart-felt emotions and inspire creativity, the program can stimulate and motivate the students. 3. The program provides a consistent education. To advance the overall quality of fashion design education, the problem of dissonance in educational content should be resolved and possible individual errors in delivery rectified. The present program will solve such problems, and establish coherent standards that will withstand the test of time regardless of time or place. 4. The program is cost effective. Since the present program frees the teacher from the time consuming drudgery of preparing various texts and lesson plans, have the materials delivered and handled, it reduces the time and cost previously required. 5. The program has the capability to be upgraded. The accumulated know-how of teachers and the total experience of the program can be linked with other programs for limitless expansion.

  • PDF

조형발상기반의 창의력 교육을 위한 On-Line 및 Off-Line상의 교육 컨텐츠 및 교구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n the On-line/Off-line Learning Content Solutions & Tools for Education of Creative Talent base on Method of Formative Inspiration)

  • 정승호;최은석;김대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891-899
    • /
    • 2009
  • 유아/초등학생용 UI design의 부재와 창의력 교육 서비스 시장에서 On-line과 Off-line상의 교육부분 모두를 만족시키고 창의력 개발을 극대화 시켜주는 교육프로그램과 컨텐츠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창의력(조형) 개발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한 활용을 위해서 On-line과 Off-line상의 교육을 병행할 수 있는 컨텐츠와 교재/교구(이하:크레키즈 Cre-kids)의 개발이 필요하다. 크레키즈는 창의성 4요소(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를 증진시킬 수 있는 4가지 영역별로 나누어져있다. 4가지 영역은 (1)언어적 발상, (2)시각적 발상, (3)만들기 발상, (4)컴퓨터 발상으로 되어있다. 영역을 통하여 아이들에게 체계적으로 조형발상능력을 키워주며 4가지의 영역을 다시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4사 분면으로 나누며 각각의 분면을 평가하고 이것을 지수로 나타낸다. 이것을 CDQ(Creativity Design Quotient) 라고 할 수 있으며 각 컨텐츠에 대한 평가 결과를 토대로 하여 조형 창의력 지수에 대한 연구가 가능 할 것이다.

The Eff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using Machine Learning Platform on STEAM Literacy and Learning Flow

  • Min, Seol-Ah;Jeon, In-Seong;Song, Ki-S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0호
    • /
    • pp.199-208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머신러닝 플랫폼을 활용하여 STEAM 교육을 하는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융합인재소양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동질집단인 초등학교 6학년 44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통제집단에는 일반 교과 융합 수업 10차시를, 실험집단에는 머신러닝 포 키즈(Machine learning for Kids)를 활용한 STEAM 기반 인공지능 융합 수업 10차시를 적용하였다.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 성취기준 및 내용 요소를 분석하여 융합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교과목 및 수업 내용을 선정하였고, 소프트웨어 수업 모델, 다양한 교수·학습 전략 등을 활용한 교수·학습 과정안 및 학습지를 개발하였다. 융합인재소양 검사와 학습몰입 검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공지능 기능을 확장시킨 코딩 환경이 학습자들의 몰입과 융합인재소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융합인재소양의 하위 요소 중 융합, 창의 영역과 같은 개인적인 역량을 발휘하는 부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습몰입의 하위 요소 중 도전과 능력의 조화, 명확한 목표, 과제에 대한 집중, 자기 목적적 경험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추후 더욱 확장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미래를 대비하는 더욱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디자인씽킹 기반 어플리케이션 적용 음악수업 활동과 이에 대한 효과성 탐색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Music Class Based on Design Thinking and Using Applications)

  • 김수연;오유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33-244
    • /
    • 2020
  • 본 연구는 디자인씽킹에 기반한 어플리케이션 적용 음악 수업 활동과 이에 대한 효과성을 탐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의 '디자인씽킹 기반 어플리케이션 활용 음악 수업 프로그램 개발'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효과성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 P 중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두 반을 실험집단(29명)과 통제집단(29명)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은 일반적인 음악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수업이 학생들의 창의성, 공감능력, 협동심,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검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과정은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수업을 7주간 실시하고, 프로그램 사전-사후 설문검사를 실시, 대응 표본 t 검정을 사용해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은 창의성, 공감능력, 협동심, 문제해결력 부분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반면, 일반적인 음악수업을 진행한 통제집단은 사전-사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문제 상황 속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이 향상되고 협동심을 통한 빠른 문제 해결과 성취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창의적 아이디어를 창출하며 창의역량 증진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본 음악수업 활동이 새롭고 창의적이며 다양한 수업 모델을 필요로 하는 현장에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재량활동시간에 창의성학습 활동을 위한 비프로그램형 라인트레이서 학습모형 - 교재 개발과 수행평가 중심 - (A Non-program Line Tracer Learning Model for Creative Learning Activities during Discretionary Activity Hours)

  • 문외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01-109
    • /
    • 2011
  • 대부분의 로봇 학습도구가 성적 및 사교육능력이 우수한 집단 학생들의 창의성교구로 사용되고 있으며 아직, 재량활동시간 등의 정규교과 수업에 접목하여 사용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비교적 저렴한 라인트레이서를 교구로 사용하여 학업성취도가 평균 이하인 초등학생 5학년들이 정규교과목과 연계하여 로봇학습을 할 수 있도록 12차시 분량의 교육과정과 교재를 개발하였다. 최적성을 확인하기 위해 학업성취 수준이 학년 평균 이하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시킨 후 평가하였다. 각 차시별 학습결과를 산출물 중심으로 성취수준을 평가한 결과로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이 대부분의 교육과정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는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며 본 연구에서의 실행경험을 통해 학업성적이 비교적 낮은 초등학생들이 정규교과 과정과 연계한 로봇교육 성공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DEVS 형식론 기반의 정보처리학습이론을 적용한 사범대생 대상 프로그래밍교육의 효과성 분석 (Effectiveness Analysis of Programming Education for College of Education Student Based on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Applied DEVS Methodology)

  • 한영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3권9호
    • /
    • pp.1191-1200
    • /
    • 2020
  • In this paper, we proposed DEVS based programming education model that based on the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not a grammatical programming education, and studied effectiveness analysis using computer thinking patterns. By creating a small range of patterns in the grammar which underlies the programming language and solving various examples through combinations, this paper shows an education method to develop problem-solving skills based on algorithmic thin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acilitate non-majors learn programming languages and understand patterned program structures when writing programs by patterning of control statements which the most important in learning programming.

창의성 개발을 위한 여섯 색깔 사고 모자 기법 중심의 웹기반 학습 프로그램 설계 (Design of a Web-Based Learning Program through Six Thinking Hats for Creativity Development)

  • 박윤성;이재인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16-123
    • /
    • 2005
  • 현재의 교육에서 창의성은 선택이 아닌 필수 조건이다. 예전의 모범답안 찾기식 교육으로는 복잡한 현대 사회에 적응하기도 어렵거니와 남보다 한 걸음 더 앞서 나갈 수가 없다. 그만큼 창의성 개발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나, 국내에서 환경을 이용한 실용적인 창의성 개발 프로그램은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 개발 기법 중에서 한 가지 주제에 대하여 여러 관점에서 접근하도록 하는 기법인 여섯 색깔 사고 모자 기법과 그 기법을 활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네 가지 주제에 대하여 웹 상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 PDF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 (Preschool Children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 Using Korean Parent as a Teacher Test)

  • 김신정;김계숙;김영희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12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a KPAAT(Korean Parent As a Teacher Test) and provide a basic data to develop parent education program. Methods: This is a secondary analysis study using 103 preschool mothers who were chosen from 2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located at Kyounki-Do. Results: 1) Subjects' child-rearing attitude was above average at the point of $2.86({\pm}\;.20)$. 2) 16 sub-dimension(response to question, permissive attitude of play, control, control of play, expectation about child, understanding about learning, support of learning, encouragement of thinking, provision of imaginary play opportunities, support of play, encouragement of accomplishment motivation, propriety of child-rearing, affectional support, fixed idea, confidence about education, limitation) and 6 factors(response to question, permission of play, control & limitation, evaluation & support about child, encouragement of academic accomplishment, facilitation of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were above 2.50 except ($2.24{\pm}\;.29$) sub-dimension.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ccording to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Conclusion: From this study, KPAAT can be utilized later childhood period. And nurses need to help mothers to have sound child rearing attitud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