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ne kinase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32초

심혈관질환의 수술기주위 결과예측에 있어 수술 전 백혈구 수 및 D-dimer 농도의 임상적 유용성 (Clinical Usefulness of Preoperative Levels of Leukocyte and D-Dimer in Predicting Perioperative Outcomes of Cardiovascular Disease)

  • 최석철;김양원;황수명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0호
    • /
    • pp.1458-1467
    • /
    • 2010
  • 이 연구는 관상동맥질환 수술기주위의 결과예측에 있어 수술 전 백혈구 및 D-dimer 수치가 유용한 인자가 될 수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회고적으로 실시하였다. 수술 전 백혈구 수는 수술 전 및 후의 심장표지자인 troponin-I, creatine kinase-MB, C-반응단백 각각의 농도와 정의 상관성이 있었다. 수술 전 D-dimer 농도 역시 수술기주위의 심장표지자들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수술 전 백혈구 수는 간표지자인 aspartate aminotransferase 및 alanine aminotransferase의 수술 전후 농도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비해, 수술 전 D-dimer 농도는 수술 전후 빌리루빈 농도, 수술 전 글루코스 농도, 수술 후 크레아티닌 농도와 각각 정 또는 역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수술 전 백혈구 및 D-dimer 수치 둘 다 수술 전 고밀도콜레스테롤 농도 및 좌심실구출계수와 각각 역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수술전 백혈구 수는 수술시간 및 수술 후 기계보조 호흡시간과 각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수술 전 D-dimer 농도는 수술 후 기계보조 호흡시간, 중환자실 치료기간, 재원기간과 각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 회고적 조사의 결과는 수술 전 백혈구 및 D-dimer 수치가 관상동맥수술 환자들의 수술기주위 결과예측에 있어 임상적으로 유용한 인자들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산소 챔버의 근육 피로회복효과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Effect on Oxygen Chamber for Recovery of Muscular Fatigue)

  • 유수정;남은영;김형준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83-98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xygen chamber to recover muscle fatigue. Methods: Twenty Subjects were divided into Oxygen Chamber Group (n=10) and Rest group (n=10). Subjects visited hospital two times, blood tests were performed 3 times for each visit. 1st blood test was performed in 4 hours hunger state. 2nd blood test was performed within 5 minutes after the 6 minutes bike exercise. 3rd blood test was performed after the 40 minutes Oxygen treatment or 40 minutes rest in bed. Blood test items were Lactate, Glucose, Lactate Dehydrogenase, Creatine Kinase, Free Fatty Acid. 2nd visit was applied 1st visit process, But Oxygen Chamber group was crossed over to Rest Group, Rest Group was crossed over to Oxygen Chamber group. The Blood test result was analyzed with paired T-test using SPSS for Windows version 21. Results: The reduction of Lactate in Oxygen Chamber Group (6.86±2.07 mmol/ℓ) was higher than Rest group (6.57±2.33 mmol/ℓ), but it was not statically significant (p=0.68). The reduction of Glucose in Oxygen Chamber Group (6.85±12.14 mg/dl) was lower than Rest group (7.60±9.83 mg/dl), but it was not statically significant (p=0.83). The reduction of Lactate Dehydrogenase in Oxygen Chamber Group (16.10±14.91 mmol/ℓ) was lower than Rest group (19.75±12.46 mg/dl), but it was not statically significant (p=0.41). The reduction of Creatine Kinase in Oxygen Chamber Group (13.40±5.69 U/ℓ) was lower than Rest group (15.25±8.01 U/ℓ), but it was not statically significant (p=0.41). The reduction of Free Fatty Acid in Oxygen Chamber Group (285.50±174.13 uEq/ℓ) was higher than Rest group (196.15±131.58 uEq/ℓ), but it was not statically significant (p=0.07).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Oxygen chamber therapy could be effective to recover muscle fatigue.

클로렐라의 항 피로 효과 연구 (Antifatigue Effect of Chlorella vulgaris in Mice)

  • 안효진;서상완;심경식;김정숙;김은희;이미옥;박형석;한재갑;이은희;엄재영;홍승헌;김형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9-175
    • /
    • 2006
  • 단세포 조류 생물인 Chlorella vulgaris(클로렐라)는 다양한 생리 활성을 가진 기능성 소재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제 수영 부하 실험과 혈액 생화학적 지표에 대한 클로렐라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혈액 생화학적 지표로는 Blood urea nitrogen(BUN), creatine kinase(CK), lactic dehydrogenase(LDH), glucose(Glc), total protein(TP), albumin을 혈액 생화학적 지표로 측정하였다. 매일 0.05, 0.1, 0.15 g/kg 농도의 클로렐라를 각각 실험 군별로 마우스에 구강 투여했다. 클로렐라를 투여한지 3일, 7일째 되는 날 강제 수영 부하 실험을 시행한 결과 0.15 g/kg 클로렐라를 투여한 그룹에서 유의적으로 부동시간을 감소시켰다. 또한 혈청 중 BUN 수치를 낮췄으며, CK, LDH 수치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클로렐라 투여 시 혈 중 Glc 수치는 높아졌으나, TP 와 albumin 수치는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클로렐라가 육체적 지구력 향상 효과가 있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출하취급과 차량형태가 출하돈의 스트레스와 도체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ndling and Transport Vehicle on Stress and Carcass Quality of Market Pigs)

  • 김두환;송준익;전중환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1-106
    • /
    • 2011
  • 출하취급과 출하차량 형태가 출하돈의 혈액성상과 도체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개방형 트럭과 밀폐형 박스 트럭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차량형태에 대하여 출하취급을 최대한 부드럽게 혹은 상차, 하차, 계류 과정에 전기봉 사용을 포함하여 고의적으로 거칠게 하는 그룹으로 나누어 체중 약 110kg에 출하되는 삼원교잡종 비육돈 144두를 공시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모든 출하돈은 계류장 도착 후 3시간 동안 계류하였다. 혈액은 도축직후에 채취하였고 배최장근 시료는 도축 12시간 후 (overnight)에 채취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출하돈의 스트레스와 관련된 혈중 glucose, cortisol, creatine kinase 및 lactate dehydrogenase 농도는 출하취급을 부드럽게 한 그룹에 비하여 고의적으로 거칠게 취급한 그룹에서 높았으며 결과적으로 PSE 발생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출하차량은 출하돈의 스트레스 관련 혈액성상과 도체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부드러운 출하취급은 PSE 발생을 줄이기 위한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출하취급이 거칠면 혈중 스트레스 관련 지표들의 농도가 증가하여 동물복지를 나쁘게 할 수 있어 거친 취급은 반드시 피해야 할 것이다. 또한 출하차량은 출하돈의 스트레스와 도체품질 등 직접적인 측면보다는 외관, 악취 등 간접적인 측면에서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Ursolic acid supplementation decreases markers of skeletal muscle damage during resistance training in resistance-trained men: a pilot study

  • Bang, Hyun Seok;Seo, Dae Yun;Chung, Young Min;Kim, Do Hyung;Lee, Sam-Jun;Lee, Sung Ryul;Kwak, Hyo-Bum;Kim, Tae Nyun;Kim, Min;Oh, Kyoung-Mo;Son, Young Jin;Kim, Sanghyun;Han, Ji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1권6호
    • /
    • pp.651-656
    • /
    • 2017
  • Ursolic acid (UA) supplementation was previously shown to improve skeletal muscle function in resistance-trained men.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using the same experimental paradigm, whether UA also has beneficial effects on exercise-induced skeletal muscle damage markers including the levels of cortisol, B-type natriuretic peptide (BNP), myoglobin, creatine kinase (CK), creatine kinase-myocardial band (CK-MB), and lactate dehydrogenase (LDH) in resistance-trained men. Sixteen healthy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resistance training (RT) or RT+UA groups (n=8 per group). Participants were trained according to the RT program (60~80% of 1 repetition, 6 times/week), and the UA group was additionally given UA supplementation (450 mg/day) for 8 weeks. Blood samples were obtain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nd cortisol, BNP, myoglobin, CK, CK-MB, and LDH levels were analyzed. Subjects who underwent RT alone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in body composition and markers of skeletal muscle damage, whereas RT+UA group showed slightly decreased body weight and body fat percentage and slightly increased lean body mass, but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ddition, UA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BNP, CK, CK-MB, and LDH levels (p<0.05). In conclusion, UA supplementation alleviates increased skeletal muscle damage markers after RT. This finding provides evidence for a potential new therapy for resistance-trained men.

미세전류 자극이 척주세움근의 피로지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icrocurrent Stimulation on Erector Spinae Fatigue Index)

  • 강다행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545-551
    • /
    • 2013
  • 본 연구는 단시간 들기 내리기 작업을 실시한 누적피로 대상자에게 미세전류자극 및 휴식을 적용하여 피로 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2012년 12월부터 2013년 2월까지 S대학에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말초질환 및 근골격계 질환이 없고 오른손을 사용하는 20대의 신체 건강한 남자 22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10 kg 상자를 15분 동안 들기 내리기를 100회 실시한 직후, 표면근전도기를 이용한 근피로지수(Median Frequency : MF)와 혈액피로지수(Creatine Kinase Lactate : CK, Lactate Dehydrogenase : LDH)를 측정하였다.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군에는 미세전류자극을 대조군에는 휴식을 각각 20분간 중재하였다. 중재 후, 근피로지수와 혈액피로지수를 측정하여 누적 피로지수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휴식그룹의 왼쪽 척주세움근 피로지수를 제외한 두 그룹 모두에서 중재방법 적용 전보다 적용 후 유의한 누적피로의 감소(p<.05)가 있었고, 미세전류의 자극은 휴식과 비교했을 때, 근피로지수의 유의한 감소(p<.05)를 보였지만, 혈액피로지수는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미세전류자극은 반복적인 들기와 내리기 작업 종사자들의 근피로회복에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되며, 장시간 피로지수 추적조사 및 중재 적용시간에 따른 피로회복의 상관관계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흰쥐의 방사선 피폭후 생물학적 지표로서의 혈액효소 (Serum enzymes as indicators of radiation exposure in rat)

  • 김인규;김상복;김진규;김국찬;천기정;박효국;이강석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8권2호
    • /
    • pp.37-45
    • /
    • 1993
  • 생물학적 선량평가를 위한 생화학적 지표 연구로서 흰쥐 혈액 내 효소활성도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는 0.1, 0.25, 0.5, 2, 4Gy의 방사선 조사후 24시간까지 혈액내 활성도가 증가하였고 72시간 경과시에는 대조군과 비슷한 활성도를 보였다. Creatine kinase는 2, 4Gy 방사선 조사후 혈액내에서 활성도가 72시간까지 증가하였으나 0.1, 0.25Gy 방사선 조사시에는 커다란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2) Malate dehydrogenase 활성도는 0.1, 025, 0.5Gy 방사선 조사시에는 커다란 변화가 없었으며 lactate dehydrogenase는 방사선 조사후 활성도가 감소하였다. 3) GOT의 활성도는 선량률 0.1Gy/min.로 0.1, 0.25, 0.5, 2, 4Gy 조사후에는 어떠한 변화도 없었으며 선량률 0.5 Gy/sec.로 0.5, 1, 1.5, 2, 3, 5, 7 Gy로 조사후에는 증가현상을 보이고 있다. Acid phosphatase활성도는 상기의 어떠한 선량에서도 나타나지 않고 있다. 잠재적으로 이러한 효소들은 방사선 피폭의 지표물질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생화학적 지식과 기술을 이용한 좀더 나은 지표물질을 찾기 위하여 계속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 PDF

용봉탕 또는 사탕(蛇湯) 보충식이가 횐쥐의 지구력 운동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Terrapin or Snake Extract on Exercise Performance in Rats)

  • 송태철;한대석;이창호;김영언;김해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14-220
    • /
    • 2005
  • 구전에 의해서 건강 보신식품으로 알려져 온 뱀과 자라에 대하여 이들 추출물에 대하여 흰쥐의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평가하고, 보신식품에 대한 기초자료 축적 및 향후 의약품 대체식품 개발에 이용 가능한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흰쥐의 식이에 5% 사탕 또는 1% 용봉탕을 첨가하고 4주간 사육한 후 90분간 수영시킨 군(90-min subgroups)과 탈진 때까지 수영시킨 군(all-out subgroups)을 두 하부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강제수영능력 시간을 측정한 결과 용봉탕 또는 사탕은 흰쥐의 수영시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90-min subgroups의 피로요소 측정 결과 대조군에 비해 사탕 추출물 첨가식이를 섭취한 군의 혈청 젖산 농도가 유의적으로 낮았으나(p<0.05), 무기인산, creatine kinase 및 요산 농도는 ET군과 ES군 모두 대조군과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All-out subgroups과 대조군의 혈청 피로 요소 역시 사탕 섭취군의 젖산 농도가 높았던 점 이외에 다른 요소의 농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용봉탕 및 사창 추출물의 섭취로 인한 지구력운동 수행에 대한 효능 및 혈청 피로 요소에 미치는 영향은 전혀 없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들이 몸을 이롭게 한다는 인식은 영양 보충식품으로 이해할 수는 있지만, 건강기능 면에서는 잘못된 믿음이라고 판단된다.

둔상에 의한 심타박상과 심좌상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Analysis of 24 cases of Cardiac Contusion and Cardiac Concussion)

  • 이계선;정진악;금동윤;안정태;이재원;신제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3호
    • /
    • pp.270-275
    • /
    • 1999
  • 배경: 저자들은 흉부 손상환자에서 심손상이 예상되는 경우 심전도, 혈중내 CK, CK-MB분획 변화를 선별하여 이상이 있는 경우 이면성 심초음파검사를 실시하여 이상유무로 심타박상 및 심좌상으로 분류하여 임상적 고찰을 해보기로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월부터 1998년 3월까지 15개월간 심손상이 의심되어 본교실에 입원치료한 24명을 대상으로 병력, 내원당시 심전도 및 혈중내 CK, CK-MB 분획을 연속적 선별검사를 실시하여 이상이 있는 경우 심초음파검사를 하였다. 결과: 연령분포는 20∼40대가 58.3%로 가장 많았으며, 남여비는 3 : 1 이었다. 원인은 교통사고가 15례(62.5%)로 가장 많았다. 동반손상의 경우 다발성 늑골골절, 흉골골절 순이었다. 심전도 검사상 심타박상의 경우 정상이 가장 많았으며, 심좌상에서는 ST-T변화가 가장 많았다. CK-MB분획은 심좌상에서 높았으며, 내원 당일은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내원 1, 2, 3일에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다. 재원기간은 심타박상에서 평균 9.22일이었고, 심좌상에서 26.18일이었다(p=0.0075). 합병증은 급성폐부전이 7례로 가장 많았으며, 이중 5례에서는 인공호흡기 치료를 하였으며 사망한 경우는 없었다. 결론: 저자들은 흉부손상환자에서 심손상이 의심되는 경우 심전도, CK, CK-MB분획을 연속 선별검사하여 이상이 있는 경우 심초음파를 실시하여 심좌상의 유무를 진단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허혈전후 적출 가토 심근내의 구성 효소의 변화 (Pre-and Post-ishemic Changes of the Constituent Enzymes in Isolated Rabbit's Myocardium)

  • 천수봉;전도환;이재성;김송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2호
    • /
    • pp.117-124
    • /
    • 2000
  • Background: Nucleoside transport inhibitor(NTI) Keeps AMP, ADP, ATP levels high in myocytes by inhibiting adenosine cataboilsm so that it may preserve the myocardial contractability during ischemi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yclic AMP phosphodiesterase inhibor(C-AMP PDSI) and S-P-nitrobenzyl-6 -thioniosine(NBT; a sort of NIT) on myocadial preservation and changes of constituent enzyme. Material and method: Twenty-six isolated rabbit hearts were perfused with Krebs-Henseleit buffer solution for 20 minutes arrested for 20 minutes and ten reperfused for 30 minutes. The following four groups were prepared and hemodynamic changes coronary effluent lactate dehydrogenase (LDH) a-hydroxybutylic accid(a-HBD) levels and myocardial LDH creatine kinase-MB (CK-MB) adenosine deaminase(ADA) a-HBD levels and myocardial LDH creatine kinase-MB (CK-MB) adenosine deaminase(ADA) a-HBD levels were analysed before and after cardiac arest ; Group I(control) ; the heart was only perfused with K-H ; Group II ; the heart was perfused with K-H including C-AMP PDSI(Amrinone 25mg/L); Group III ; the heart was perfused with K-H including NBT(4.19mg/L) ; Group IV ; the heart was perfused with K-H including C-AMP PDSI + NBT. Result : Left venticular developed pressure(LVDP) at 10 minutes of the equilibriu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III(72.1$\pm$5.3 mmHg p<0.01) and group III(72$\pm$5.6 mmHg P<0.025) as compared with group I (40.8$\pm$4.7mmHg) and LVDP at 20 minutes of the reperfu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II(74$\pm$5.3mmHg p<0.01) and group III(72$\pm$5.6mmHg p<0.025) as compared with group I (44.2$\pm$4.6mmHg). Percentage recovery of LVDP at the reperfusion was the highest in group II(123.3%) Percentage recovery of coronary flow at the equilibrium reperfusion were higher in group II(310%, 270%) group III(230%, 290%) group IV(310%, 280%) as compared with group I (100%) respectively. Myocadial LDH level was significant lower in group IV(33495$\pm$1802 IU/gm p<0.04) as compared with group I(48767$\pm$1421 IU/gm) Myocadial CK-MB level was significant higher in group II(74820$\pm$1421 IU/gm) compared with group I (45450$\pm$1737 IU/gm) Myocadial ADA level was significant higher group IV(1215$\pm$8 IU/gm p<0.05) compared with group I(125$\pm$15 IU/gm)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I and group II ,III, IV in changes of coronary effluent LDH, a-HBD levels. Conclusion: C-AMP PDSI solely appears to have a better effect on myocardial preservation after ischemia than NBT but with no synergistic effect and it could keep CK-MB leve high in myocardial tissu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