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ab meat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19초

시판 유제품을 이용한 자숙 게육의 이취 저감화 (Reduction of Off-flavors in Steamed Crab Meat Using Dairy Products)

  • 정효연;김정선;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45-349
    • /
    • 2015
  • 자숙 게살을 우유, 두유, 요구르트, 카세인에 침지하여 유제품의 이취 제거효과를 전자코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해보았다. 우유와 자숙 게살의 반응시간이 길어질수록 이취저감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두유, 요구르트와의 반응에서 또한 비슷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우유, 두유, 요구르트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2차원 막대그래프로 표현하여 나타내었을 때 요구르트에 비해 우유와 두유에서 이취 저감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제품의 주요 단백질 성분인 카세인과 반응에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자숙 게살의 이취 성분이 유제품의 단백질과 결합하여 이취제거 효과가 나타났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토대로 일반가정에서 활용되고 있는 우유에 생선 및 게살을 재워 비린내를 제거하는 방법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입증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가정에서 손쉽게 유제품을 활용하여 이취저감화가 가능할 것이고 자숙게살의 품질관리 및 조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보관시간과 온도에 따른 판매 도시락의 샐러드 미생물 품질 평가 - 편의점과 프랜차이즈 도시락 전문점 제품 - (Microbiological Quality and Safety Assessment of Salad in Lunchbox's according to the Holding Time and Temperature - Convenience and Franchise Stores -)

  • 최정화;왕태환;곽동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24-733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salads in lunchbox's based on the holding time and temperature at convenience and franchise stores. Methods: Cabbage salad and crab meat salad were targeted for microbiological quality assessment. They were tested for aerobic plate counts, coliforms,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and Enterobacteriaceae and assessment were performed by Korean Food Standards Codex. Results: In cabbage salad at convenience franchise store's at $5^{\circ}C$, the aerobic plate counts did not exceed the Korean Food Standards Codex. For cabbage salad stored at $25^{\circ}C$, the aerobic plate counts was 5.08 log CFU/g we hours after purchase, which exceeded the Korean Food Standards Codex. In case of cabbage salad in franchise store, the E. coli and S. aureus count exceeded Korean Food Standards Codex 3 hours after purchase. Microbiological analysis did not exceed the Korean Food Standards Codex at $5^{\circ}C$ in crab meat salad in convenience store. At $25^{\circ}C$, the aerobic plate count was detected at 4.45 log CFU/g after 32 hours, coliforms, E. coli, and S. aureus did not detect, but Enterobacteriaceae was found to be 2.34 log CFU/g after 9 hours in franchise store's crab salad. Coliforms was detected at 1.18 log CFU/g after 3 hours, and S. aureus was detected at 2.04 log CFU/g after 6 hours at $25^{\circ}C$ in the franchise store. The lunchbox' salad under cold storage ($5^{\circ}C$) generally meet the Korean Food Standards Codex.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an urgent need to implement proper management guidelines for the production of lunchbox foods to ensure microbiological safety, and to improve the shelf life from production to consumption.

홍게(Chionoecetes japonicus) 다릿살 분말 첨가가 국수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d Snow Crab Chionoecetes japonicus Leg Meat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 김병목;정민정;김종찬;전준영;김동수;정인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85-292
    • /
    • 2016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supplemented with lyophilized leg-meat powder from the red snow crab, Chionoecetes japonicus (CP). The noodles were prepared by adding 0, 2, 4, 6, 8, 10% of CP on a wheat-flour basis. The ash,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contents of noodles increased with increasing CP content. The cooked weight, volume and water absorption values of noodles decreased, whereas the turbid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CP content. The L values of the noodles decreased with increasing CP content, whereas the a and b color values increased. Th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values increased with increasing CP content increased, while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the sensory evaluation, cooked noodles with 4-6% CP had greater overall acceptability than the noodles with other CP levels.

홍게(Chionoecetes japonicus) 다릿살 분말을 첨가한 마들렌의 제조 및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rocessing of Madeleine Containing Red Snow Crab Chionoecetes japonicaus Leg-Meat Powder)

  • 김병목;정민정;전준영;김동수;정인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77-284
    • /
    • 2016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deleine combined with lyophilized red snow crab Chionoecetes japonicus leg-meat powder (CM). The madeleine was prepared by the addition of wheat flour containing 0, 1, 5, 10, 15 and 20% concentrations of CM. Moisture content, pH, and baking loss rat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groups. Light color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while red and yellow color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while cohesiveness, springiness and adhesiveness did not differ from CON (madeleine containing 0% CM). In terms of sensory characteristics, appearance and color did not differ compared to CON, while taste, flavor and overall preference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 CM10 having the highest score among the groups. The present study assesses the potential of this improved formula as a convenience food.

Distribution and Serotyping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Seafood Processing Plants

  • Kang Sun-Mo;Lee Myung-Su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5권2호
    • /
    • pp.79-86
    • /
    • 2002
  • Listeria spp. were isolated from the samples submitted from various seafood plants such as raw materials, products, swab samples of plants floor and conveyor belts through the whole processing procedures. All th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3 kinds of seafood plants such as a imitation crab meat plant, jeotgal plant and frozen seafood plant. And also serotypes of the identified L. monocytogenes were determined. Among the 301 strains of isolated Llsteria spp., 96 strains, 179 strains and 26 strains were identified as L. monocytogenes, L. innocua and L. welshimeri, respectively. While among the 145 strains of Listeria spp. isolated from the imitation crab meat plant, $74\;(51.0\%)$ strains, $64\;(44.1\%)$ strains and $7\;(4.8\%)$ strains were identified as L. monocytogenes, L. innocua and L. welshimeri, respectively. In the case of the 126 strains of Listeria spp. isolated from the frozen seafood plant, $22\;(17.5\%)$ strains of L. monocytogenes,$93\;(73.8\%)$ strains of L. innocua, and $11\;(8.5\%)$ strains of L. wdshimeri were detected. Among the 30 strains isolated from a jeotgal plant, $22\;(73.3\%)$ strains of L. innocua and $8\;(26.7\%)$ strains of L. welshimeri were detected. The detection rates of L. monocytogenes, one of the very important food poisoning bacteria especially in frozen and/or refrigerated seafoods, were relatively high as $77.1\%$ (74/96 strains) in a imitation crab meat plant and $22.9\%$ (22/96 strains) in a frozen seafood plant, but not detected from jeotgal plant. Distribution of L. monocytogenes serotypes and characterization were examined. The serotypes of 96 L. monocytogenes isolated from pork skin, pork fat, the floor and conveyor belts were 1/2a $(59.4\%)$, l/2b $(6.2\%)$, 1/2c $(12.5\%)$ and unknown serotypes $(21.9\%)$. Unknown serotypes were divided into three specific groups by the O antigen they have.

한국 근해산 주요 게 종류의 함질소엑스분에 관한 연구 (Nitrogenous Constituents in the Extract of Crabs caught in the Korean adjacent Sea)

  • 한영실;이동수;김순임;변재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69-480
    • /
    • 1996
  • 한국 연근해산 대표적 인 3종 게(대게, 털게, 꽃게)의 육과 장기가 함유하는 함질소 엑스분의 분포를 성별, 부위조직별(몸통살, 다리살, 내장)과 생시료 및 열수추 출시료로 구분하여 분석하고,그 조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3종의 게는 모두 육중에 함질소 엑스분을 약 3%이 상으로 함유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의 분포를 보면, 대게의 육에는 arginine, proline, glycine을, 털게와 꽃게 의 육에는 공통적으로 arginine, taurine, glycine을 많이 함유하였으며, 종류에 따라 그 조성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3종 게의 내장에는 arginine과 taurine을 많은 비율로 함유하였다. 유리아미노산과 유기 염기류의 양은 자숙하므로써 많은 증가를 보였으나, nucleotides는 그 양이 감소하였다. 유기 염기류 중 slycine betaine과trimethylaminoxide의 양은 조직별로 총 함질소 엑스분에 대하여 평균 30%이상의 많은 양을 함유하는 것이 특기할 점이었다. 본 연구에서 다룬 3종 게의 맛에 영향을 미치는 주 요 함질소 엑스성분은 육과 내장에 많은 양으로 분포하는 arginine, proline, glycine, taurine 등의 유리아미 노산과 glycine betaine과 trimethylaminoxide 등의 유기 염기류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어육연제품의 세균학적 품질 및 내열성세균의 특성에 관한 연구 (Bacterial Quality of Fish Meat Paste Products and Isolation of Thermoduric Bacteria)

  • 김동판;장동석;김성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09-415
    • /
    • 1985
  • 시판 어육연제품의 보장성과 식품위생학적인 기초자료를 얻고자 1984년 5월부터 10월사이에 연제품 가공공장과 수퍼마켓등에서 구입한 게맛살, 판어묵, 부들어묵, 튀김어묵 및 어육소시지등 5종총 70점의 시료를 대상으로 세균학적 품질, 세균특징별 분포, 내열성세균의 배양적 세균학적 특성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열후에 포장하는 부들어묵과 튀김어묵은 위생지표세균 및 효모와 곰팡이의 오염이 대체로 높았으며, 가열전에 포장하는 게맛살과 판어묵은 세균학적으로 매우 깨끗하였다. 포도상구균은 튀김어묵에서만이 검출되었으며, Salmonella균은 모든 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가공공장 시료에서 연제품 가공공정중 열처리전의 게맛살과 판어묵 시료중에 호기성 및 염기성균이 $10^{6}$-$10^{7}$ g으로 함량이 높았으나, 열처리직후의 제품은 호기성균이 <$10^2$/g 이었으며 염기성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그리고 어육소시지에서는 전혀 세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2. 분리된 세균중 단백질분해능이 있는 세균의 분포는 대부분의 시료에서 87% 이상으로 높았고, 지방분해능이 있는 세균의 분포는 20%미만이었다. 3. 분리된 세균에 대한 Gram 염색결과는 게맛살과 판어묵에서는 Gram양성균이 70%이상이었고 튀김어묵에서는 47.3%이었으며, 형태별로는 간균이 분리균주의 90%이상을 차지하였다. 4. 분리균중 내열성이 제일 강한 균주는 Bacillus licheniformis CR-11이었는데, 단백질분해능이 있을 뿐 아니라 2$0^{\circ}C$이상에서는 발육이 양호하였으며 또한 염기적 조건에서도 발육이 좋았다. 5. CR-11 균주의 배양온도별 비증식속도와 평균세대시간은 2$0^{\circ}C$에서 각각 0.31$hr^{-1}$, 2.24hr, 3$0^{\circ}C$에서 0.64$hr^{-1}$, 1.09hr, 그리고 35$^{\circ}C$에서는 0.78$hr^{-1}$, 0.89hr이었고, 포자의 내열성은 D$_{85}$ $^{\circ}C$=41.9min, D$_{90}$ $^{\circ}C$=27.9min, D$_{95}$ $^{\circ}C$=10.2min, D$_{100}$ $^{\circ}C$=4.3min이었으며, Z-value는 13.8$^{\circ}C$이었다.

  • PDF

기능성 물질의 첨가가 폐계육이 함유된 게맛살의 저장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Bioactive Components Addition on Qualities of Imitation Crab Meat Containing Spent Laying Hen Meats During Storage)

  • 진상근;허선진;신택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61-869
    • /
    • 2010
  • 폐계육 가슴살에서 회수한 단백질을 첨가하여 제조한 게맛살의 저장기간 중 품질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제조 초기 시험구간의 일반성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이후에도 회분을 제외한 일반성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H는 제조초기 유의적이 차이가 없었으나, 저장 4주경과 후에 누에고치분말(T2) 및 CLA(T3) 처리구가 다른 시험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초기 보수력은 T3가 시험구중 가장 낮았고, 가열감량은 T2 및 T3이 가장 낮았고, 전단가는 T2 및 T3가 낮게 나타났다. $L^*$ 및 W는 대조구와 T3이 시험구 중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적색도($a^*$)와 황색도($b^*$)는 T2 및 T3이 낮게 나타났으며, T3는 저장기간 동안 육색의 안정을 보였다. 파괴강도, 겔강도 및 젤리 강도는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며, T3가 시험구중 가장 낮은 파괴강도, 겔강도 및 젤리강도를 나타내었다. 조직감 중 T2가 모든 항목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은 수치를, T1은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특히, T3은 저장기간 동안 경도, 파쇄성, 검성, 저작성 및 부착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지방산패도(TBA)와 휘발성염기질소(VBN)는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의 경과에 의해 TBA값은 감소하였고, VBN값과 총세균수는 저장기간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전체적인 기호도를 포함한 육색, 향, 풍미, 연도 및 다즙성 모든 항목에서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 결과 기능성 물질의 첨가가 기계적인 품질 측정항목에서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관능적 품질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계적인 품질 측정항목에서는 전체적으로 T3이 다른 처리구에 비교해 품질의 차이가 많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 및 저장온도에 따른 꽃게풍미 볶음밥의 품질변화 (Changes in quality of fried rice with crab meat depending on the storage period and temperature)

  • 정지희;임지훈;김동수;김영명;김병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6-43
    • /
    • 2015
  • 꽃게 조미소재, 야채, 천연조미료 등을 활용하면서, 편의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꽃게풍미 볶음밥을 제조하였다. 꽃게풍미 볶음밥의 저장 중 품질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20, 4, $25^{\circ}C$에서 6주 동안 저장하면서 pH, 산도, 총균수, TBA, VBN, 관능적 기호도를 조사하였으며, 총균수 결과를 활용하여 볶음밥의 유통 기한을 예측하였다. pH 변화를 조사한 결과, $-20^{\circ}C$에 저장된 볶음밥의 경우 저장 0주째 pH는 7.74이었고 저장 6주에는 pH 7.76으로 나타나 저장 중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정산도를 조사한 결과, $-20^{\circ}C$에 저장된 볶음밥의 경우 저장 0주째에 0.4%이었고 저장 6주에는 0.4%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반면, $4^{\circ}C$$25^{\circ}C$의 저장 6주에는 각각 2.7%, 4.6%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TBA 값을 측정한 결과, $-20^{\circ}C$에 저장한 볶음밥의 경우 저장 0주째 $1.07{\mu}g/g$이었고, 저장 6주까지 $1.39{\mu}g/g$으로 나타나 저장 중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휘발성염기질소를 조사한 결과, $-20^{\circ}C$에 저장된 볶음밥의 경우 저장 0주째에 26.60 mg%이었고, 저장 6주에는 28.14 mg%로 나타나 신선도가 유지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4^{\circ}C$$25^{\circ}C$의 저장 6주에는 각각 65.15 mg%, 68.00 mg% 수준으로 나타났다. 총균수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20^{\circ}C$ 저장된 볶음밥의 경우 저장 0주째 3.58 log CFU/g이었고 저장 6주째에는 4.11 log CFU/g으로 나타나 미생물변화는 안정적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관능적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20^{\circ}C$에 저장된 볶음밥의 경우 종합적 기호도의 변화를 보았을 때, 저장초기 7.8이었고 6주째에는 6.7으로 나타나 저장 기간 동안 처리구 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25^{\circ}C$의 경우 저장초기 7.5이었으나, 저장 6주째 1.0 수준의 평가를 받아 저장온도 및 저장기간 동안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미생물 결과를 토대로 볶음밥의 유통기한을 예측한 결과, $-20^{\circ}C$에 저장할 경우 14.9주, $4^{\circ}C$에서 저장할 경우 0.4주 인 것으로 각각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꽃게풍미 볶음밥은 $-20^{\circ}C$에서 저장하는 것이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인 측면에서 저장성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고, 편의식품화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저장기간 및 저장온도에 따른 붉은대게풍미 볶음밥의 품질변화 (Changes in Quality of Fried Rice with Red Snow Crab Meat Depending on the Storage Period and Temperature)

  • 정지희;임지훈;정민정;정인학;김병목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87-394
    • /
    • 2015
  • 붉은대게 조미소재, 야채, 붉은대게풍미 유화소스 등을 활용하여 편의성을 부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붉은대게풍미 볶음밥을 제조하였다. 붉은대게풍미 볶음밥의 저장 중 품질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20, 4, $25^{\circ}C$에서 5주 동안 저장하면서 pH, 산도, 총균수, TBA, VBN, 관능적 기호도를 조사하였으며, 휘발성염기질소 함량 변화 결과를 활용하여 볶음밥의 유통 기한을 예측하였다. pH 변화는 $-20^{\circ}C$에 저장할 경우 저장기간동안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4 및 $25^{\circ}C$에 저장할 경우 저장 1주째부터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적정산도는 $-20^{\circ}C$에 저장할 경우 저장기간 동안 거의 변화가 없었고, 4 및 $25^{\circ}C$에 저장할 경우 저장 1주째부터 급격하게 증가하여 pH의 변화와 상반되는 결과를 보였다. TBA 값은 $-20^{\circ}C$에 저장할 경우 저장기간 동안 0.53~0.82 mg MA/kg로 나타나 거의 변화가 없었고, 4 및 $25^{\circ}C$에 저장할 경우 저장 1주째부터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휘발성염기질소 함량은 $-20^{\circ}C$에 저장할 경우 저장기간 동안 23.44~24.33 mg%로 나타나 저장기간 동안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4 및 $25^{\circ}C$에 저장할 경우 저장 1주째부터 급격하게 증가하여 저장 5주째에는 각각 43.51 mg%, 57.18 mg%로 나타나 $-20^{\circ}C$ 저장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일반세균수의 변화는 $-20^{\circ}C$에 저장할 경우 저장기간 동안 2.0 log CFU/g으로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4 및 $25^{\circ}C$ 저장군은 저장 1주째부터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관능적 기호도의 경우, $-20^{\circ}C$ 저장군은 저장기간 동안 5.5~8.4점의 평가를 받아 4 및 $25^{\circ}C$ 저장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휘발성염기질소 함량 결과를 토대로 볶음밥의 유통기한을 예측한 결과, $-20^{\circ}C$에 저장할 경우 40.3주, $4^{\circ}C$에서 저장할 경우 0.1주, $25^{\circ}C$에서 저장할 경우 -0.07주 인 것으로 각각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붉은대게풍미 볶음밥은 $-20^{\circ}C$에서 저장하는 것이 미생물학적으로나 관능적인 측면에서 저장 안정성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