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untry image

검색결과 515건 처리시간 0.027초

성(性)별 차이에 따른 중국 소비자들의 한국제품 선택에 관한 비교연구: 북경, 상해, 광주 지역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Gender Differences in Relation to Chinese Consumer's Selection of Korean Product: On the Basis of Beijing, Shanghai and Guangzhou Region)

  • 윤성환
    • 통상정보연구
    • /
    • 제18권3호
    • /
    • pp.101-130
    • /
    • 2016
  • 최근 소비시장으로서 중국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중국 소비자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국가이미지와 기능적 속성 및 브랜드개성이 중국 소비자들의 한국제품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성(性)별 비교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있다. 이를 위하여 중국 북경(北京), 상해(上海), 광주(廣州)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산 핸드폰 제품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소비자들이 한국 핸드폰 선택시 남성 소비자들에 비해 국가이미지와 브랜드개성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성과 여성 소비자 모두 한국 핸드폰 선택시 다른 두 요인에 비해 기능적 속성 요인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기업들의 바람직한 대중국 마케팅 전략에 관한 주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PDF

중국 서부지역 소비자들의 한국제품 선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hinese Consumers' Selection to Korean Products: Focusing on the Local Western Region)

  • 윤성환
    • 통상정보연구
    • /
    • 제19권2호
    • /
    • pp.109-141
    • /
    • 2017
  • 최근 소비시장으로서 중국 서부지역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중국 서부지역 소비자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국가이미지와 기능적 속성 및 브랜드개성이 중국 서부지역 소비자들의 한국제품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이를 위하여 중국 서부지역의 6개 도시에 거주하는 성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제품 선택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통계분석에 이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3가지 요인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두 중국 서부지역 소비자들의 한국제품 선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기능적 속성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개성 역시 상징적 속성으로 중국 서부지역 소비자들의 한국제품 선택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기업들의 중국 서부지역에서의 바람직한 마케팅 전략에 관한 주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PDF

Case Study of Design Motifs of National Symbols in Countries Including Korea: Focused on Scarves and Neckties

  • Kyung, Nam-Jae;Keum, Key-Sook
    •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 /
    • 제12권2호
    • /
    • pp.67-82
    • /
    • 2012
  • 21st century is the Age of Culture, and a period that is represented by symbolism and imagery. This is no exception for the countries that want to enhance their imag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order for a country to improve its brand, it has to select a representative emblem, symbols and cultural items. The usual suspects for this are its name, flag, and anthem. Each of these items can elicit different types of symbolism. It can also be used to differentiate the country from others; however, these are not the only sources of symbolism at the country's disposal. Other popular tools include cultural heritage, both tangible and intangible, climate, natural environment, and its national character. A country can use these items to associate itself with certain im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objective way to effectively boost Korea's brand. This will be done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ways countries including Korea have used their national emblems to enhance their image. Data from each of the countr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come empirical evidence in researches aimed to develop fashion designs that use Korea's national emblem as its motif in order to improve its national brand Countries that were used for this research were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Japan, France and Korea, and they were chosen because their national brand rated highly. The items selected for the analysis were scarves and neckties. This was because, compared to other fashion items, it was easier to sort out scarves and neckties that used motifs of national emblems as well as these two items having the highest usage rate of this type of motif. Group of experts looked through a combined total of 370 scarves and ties and they analyzed the following factors in the design: type of motifs, frequency, use of color, methods of expression and images.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의류 제품 만족에 관한 비교 문화 연구 - 청바지에 대한 친숙도와 추구 이미지를 중심으로 - (A Cross-Cultural Study on the Consumer Satisfaction of Clothing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Focusing on Familiarity and Pursuited Image of Jeans)

  • 박수경
    • 복식문화연구
    • /
    • 제15권1호
    • /
    • pp.169-17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onsumers' post acquisition behavior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familiarity of jeans, and pursued image. The data was collected by using survey, three stages of pre-tests, and main survey conducted in the U.S and Korea. A total of 520 participants from each country(260 males and 260 females)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amiliarity of jeans and pursued image of jeans wear were compared between Korean and American students. As a result,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he countries on familiarity that the U.S showed higher familiarity, frequence of wearing and owned quantity. Pursued image was consisted of unique factor and activity factor and Korean students showed higher score on pursuing individualistic im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marketing strategy for fashion marketers of global jean brands.

  • PDF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the Image of Vietnam's Tourist Destinations in the Eyes of Global Tourists

  • Eun-Mi Lee;Pham Thi Quynh Anh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3호
    • /
    • pp.45-50
    • /
    • 2023
  • The number of international tourists is noticeably recovering in many parts of the world, with the number of Vietnamese tourists growing significantly. Consequent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mage of Vietnam's tourist destinations among international tourists interested in visiting the country. Additionally, the study examines whether the perception formed in this manner subsequently affects their intention to visit. The findings reveal that cultural attractions and eWOM (Electronic Word of Mouth) positively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a tourism destination image. However, film tourism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stination image. Moreover, it was observed that the destination image indeed influences the intention to visit.

한식콘텐츠 이용 경험자에게 형성된 한식호감도가 한류호감도, 국가이미지, 한국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베트남 2030세대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he Favorability of Korean Food on the Favorability of Korean Wave, Country Image, and Visit Intention to Korea : Focused on Young Vietnamese)

  • 이지선;정라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320-331
    • /
    • 2017
  • 본 연구는 한식콘텐츠 이용 후 형성된 한식에 대한 호감도가 한류호감도, 한국의 국가이미지, 그리고 한국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한식콘텐츠를 '한국 음식과 관련된 각종 정보나 내용물'로 정의하고, 한식 레시피 콘텐츠, 한식 식문화 콘텐츠, 한식 레스토랑 가이드, 한식 미디어 콘텐츠의 4가지 콘텐츠 유형으로 제시한 뒤 한 가지 이상의 한식 콘텐츠 이용 경험이 있는 2030 베트남 젊은 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LS-SEM 기반의 구조방정식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고, 그 결과, 한식 콘텐츠 이용 후 형성된 한식호감도는 국가이미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거나 또는 한류호감도를 매개로 한국의 국가이미지나 한국 방문의도 모두에 정(+)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 방문의도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유의성이 입증되지 않아 기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식 콘텐츠의 이용경험은 한식호감도, 한류호감도, 국가이미지, 방문의도 등 국가 브랜드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따라서 한류 콘텐츠로서 양적 성장뿐만 아니라 독립적이며 전문적인 질적 성장까지 체계화시키고 고도화시켜 나간다면, 한식 세계화의 미래 방향성을 견인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원산지 이미지, 브랜드 태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중국 소비자의 지각된 품질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untry-of-Origin Image, Brand Attitude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Chinese Consumers' Perceived Quality and Purchase Intention)

  • 김보영;이가영;송니은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3호
    • /
    • pp.1-16
    • /
    • 2017
  • 중국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향상되고 구매경로가 다양해지면서, 자국 제품 외에도 해외 제품에 대한 관심 및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중국 시장에 대한 기업들의 기대감과 함께 각 국가의 기업들이 중국시장에 지속적으로 진출하고 있다. 중국 소비자들은 제품을 선택하고 구매하는데 있어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있으며, 제한된 시간 동안 최선의 대안을 선택하기 위해 여러 요인들을 고려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그 중 원산지 이미지, 브랜드 태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중국 소비자가 품질을 지각하고 구매하는데 있어서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그 결과, 원산지 이미지, 브랜드 태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 모두 소비자의 지각된 품질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그 중 브랜드 태도의 영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지각된 품질도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군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PC보다 유제품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지각된 품질에 미치는 영향과 지각된 품질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원산지 이미지, 브랜드 태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 요인이 함께 고려된 상황에서 소비자의 행동에 대해 조사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으며, 향후 중국에 진출하는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가 있다.

  • PDF

미국 바이어의 고비즈코리아에 대한 충성도 결정요인: 국가이미지, 서비스 품질 및 만족도를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U.S. Buyer Loyalty toward Gobizkorea.com: A Study Focused on Country Image, E-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 정재은;오정석;정소원
    • 무역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203-232
    • /
    • 2018
  • 고비즈코리아는 중소기업진흥공단이 운영하는 온라인 매칭 플랫폼으로 자본이 부족한 중소기업이 저비용으로 해외 바이어들에게 자사제품을 홍보하며 수출을 도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고비즈코리아를 방문하는 해외바이어들의 규모 증대와 이들의 충성도 제고는 중소기업 수출 제고에 기여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이미지, 서비스 품질에 대한 평가 및 만족도를 중심으로 해외바이어들의 고비즈코리아에 대한 충성도 결정요인을 살펴보았다. 고비즈코리아에 등록된 미국 바이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102개의 설문이 수집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서비스 품질에 대한 하위 차원으로 정보 및 효율성, 신뢰 및 프라이버시, 신속한 커뮤니케이션 및 배송 등의 세 차원이 도출되었다. 가설 검증을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국가 이미지가 이 세 차원의 서비스 품질 평가에 강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정보 및 효율성, 신뢰 및 프라이버시에 대한 평가가 바이어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만족도와 신뢰 및 프라이버시 평가가 바이어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미국 바이어들의 고비즈코리아에 대한 충성도 결정요인을 살펴봄으로써 해외바이어들의 국내 전자무역플랫폼 이용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켰다는데 의의가 있다.

대학도서관 웹 페이지의 색채이미지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Color Image of the Web Pages of University Libraries)

  • 이철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9-106
    • /
    • 2007
  • 이미 운용되고 있는 우리나라 국립대학 도서관 웹 페이지의 색채이미지를 분석하여, 웹 페이지를 디자인하는데 있어서 배색이미지와 형용사이미지에 관한 정보와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분석방법은 색채감성척도를 사용하여 분석대상 사이트에 대한 RGB값을 찾아내어 Color Chip을 추출하였으며, 배색이미지와 형용사이미지로 구분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우리나라 국립대학도서관협의회에 가입되어 있는 41개 국립대학 도서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 많은 대학이 흰색이나 회색의 배색 바탕에다, 연한 청색계열의 색조와 녹색계열의 배색이 주를 이루었고, 형용사 이미지는 경쾌한 이미지와 밝은 이미지가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은은한 이미지, 우아한 이미지 순으로 나타났다.

  • PDF

Detection of Rice Disease Using Bayes' Classifier and Minimum Distance Classifier

  • Sharma, Vikas;Mir, Aftab Ahmad;Sarwr, Abid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7권1호
    • /
    • pp.17-24
    • /
    • 2020
  • Rice (Oryza Sativa) is an important source of food for the people of our country, even though of world also .It is also considered as the staple food of our country and we know agriculture is the main source country's economy, hence the crop of Rice plays a vital role over it. For increasing the growth and production of rice crop, ground-breaking technique for the detection of any type of disease occurring in rice can be detected and categorization of rice crop diseases has been proposed in this paper. In this research paper, we perform comparison between two classifiers namely MDC and Bayes' classifiers Survey over different digital image processing techniques has been done for the detection of disease in rice crops. The proposed technique involves the samples of 200 digital images of diseased rice leaf images of five different types of rice crop diseases. The overall accuracy that we achieved by using Bayes' Classifiers and MDC are 69.358 percent and 81.06 percent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