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unter-discourse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3초

Reinventing Butterfly: Contesting Colonial Discourse in David Henry Hwang's M. Butterfly and Shirley Lim's Joss and Gold

  • Chiu, Man Yin
    • 비교문화연구
    • /
    • 제20권
    • /
    • pp.211-224
    • /
    • 2010
  • In David Henry Hwang's M. Butterfly and Shirley Lim's Joss and Gold, two Asian-American texts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merica and Asia, the classic Orientalist motif of the infinitely submissive oriental female is reworked to articulate an Asian response to American hegemony. Both works mobilize the Asian female as a figure of contestation to destabilize and reconceptualize the patriarchal and Orientalist strategies of Western cultural and political domination. This paper explores the tactically different though strategically similar counter-discursive moves adopted in the two works to suggest a broader cultural realignment in Asian-American relations.

'비서구 저항담론'으로서의 세제르(A. Césaire)의 탈식민주의 비평, 그 가능성과 한계: 화자(話者), 언어(言語), 대항담론(對抗談論)의 측면에서 (Aimé Césaire's postcolonial thought as a 'Non-Western resistance discourse': In terms of speaker, language and counter-discourse)

  • 최일성
    • 비교문화연구
    • /
    • 제51권
    • /
    • pp.161-191
    • /
    • 2018
  • 20세기 들어 서구중심적 보편주의에 직접적으로 의문을 제기한 지적 흐름은 이른바 '탈식민주의(Postcolonialisme)이다. 지금까지 제시된 탈식민주의 비평의 주요 성과 가운데 하나는 피식민사회의 정치적 해방이 해당 사회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해방을 담보하지 못하고, 따라서 서구사회의 해방담론- 특히 맑스주의, 민족주의, 여성주의, 해체주의 등이 주창해온 -이 비서구사회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없다는 사실이다. 이로 인해 서구사회와 비서구사회는 안타깝게도 서로 다른 미래와 해방을 꿈꾸고 있으며, 따라서 이들 사이에 소위 '지정학적 대화'가 요구된다는 당위성이 노출되었다. 그러나 탈식민적 해방을 위한 이론가들의 노력은 여러 서구중심적인 전통들과 결별하지 못한 채, 혹은 그것들과 연대하면서, 자신들의 세력권을 구축해온 것도 사실- 그 성과를 폄훼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다. 주지하다시피 탈식민주의 비평의 상당수는, 특히 탈식민주의를 주창하거나 제안하는 '화자(話者)' 혹은 '정체성'의 측면에서, 그러한 탈식민주의 이데올로기를 담아내거나 표출하는 '언어(言語)'의 측면에서 그리고 식민적 폐해를 고발함과 동시에 탈식민적 미래를 모색하기 위해 동원하였던 '대항담론(對抗談論)'의 측면에서 어떻게든 서구와의 연을 이어갔다. 본 연구는 피식민사회의 해방을 제안한 여러 탈식민주의 비평들 가운데 이른바 '네그리튀드($N{\acute{e}}gritude$)'운동의 아버지라 불리는 에메 세제르($Aim{\acute{e}}$ $C{\acute{e}}saire$)의 탈식민주의 정치사상을 중심으로 다시 읽기를 추진해볼 것이다. 그것은 세제르의 탈식민주의 정치사상을 '화자', '언어' 그리고 '대항담론'이라는 세 가지 앵글을 통해서 이론적으로 되짚어보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 과정을 통해 세제르와 그의 정치사상을 새롭게 성찰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해본다.

Counter-Productive Countering-Violent-Extremism Initiatives: The Case of Malaysia

  • Kevin Fernandez
    • 수완나부미
    • /
    • 제15권1호
    • /
    • pp.205-227
    • /
    • 2023
  • This study seeks to examine how the West, particularly United States (US), influences the narratives about terrorism, radicalism, and combating violent extremism (CVE) in Muslim majority nations such as Malaysia. We contend that some local institutions and researchers in Malaysia may have assumed the Faustian bargain by agreeing with the Western narrative that Islam's teachings promote violence and extremism in order to meet the demands of survival, whether it be funding for everyday operations or meeting the demands of universities or research institutions to sustain themselves and meet their performance indicators. We conduc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SLR) from 2001 to 2021 and used Foucauldia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to understand the role of the US in purposefully supporting workshops and research activities of particular institutions with the intent to influence national discourse on securitization and prospective policy implications. More importantly, we wish to alert Malaysian policymakers to pay particular attention and scrutinize ongoing programs such as the "Building Community Resilience" as these may inadvertently foster Islamophobia.

유전자변형식품에 관한 세 가지 논의: 국제기준, 알권리, 대항 전문성 (Three Sides of Korean Genetically Modified Food Controversies: Global Standards, Right-to-know and Counter-experts)

  • 김효민;여재룡;유수형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1권2호
    • /
    • pp.31-66
    • /
    • 2011
  • 우리나라의 유전자변형식품에 관련된 사회 운동은 그동안 주로 표시제를 통해 소비자가 알권리와 선택할 권리를 보장해주어야 할 정부의 책임을 사회운동의 전면에 강조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실질적 동등성 개념에 기반을 두고 유전자 변형식품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현행의 규제 방식에 대항적 전문성을 통하여 맞서고 비판하는 활동은 사회적으로 크게 확산되지 못하였다. 이 연구는 인터뷰와 문헌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의 유전자변형식품에 관련된 논의에 참가한 세 그룹-규제 과학자, 시민단체, 대항 전문가-의 활동이 각각 현행 유전자변형식품 규제의 방식과 어떤 연관을 맺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대항 전문가들은 '국제기준 순응의 담론'의 생산자인 규제 과학자들과 충돌하면서 규제 형성의 과정에서 배제되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유전자변형식품을 둘러싼 논란의 지형을 이해하기 위하여, 대항적 전문지식을 가진 행위자들이 다른 집단과 폭넓은 연대를 형성하지 못했던 과정과 맥락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 PDF

지역사회 대테러활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munity Counter-terrorism)

  • 정우일
    • 시큐리티연구
    • /
    • 제19호
    • /
    • pp.187-205
    • /
    • 2009
  • 2001년 미국에서 일어난 9 11 테러사건과 2005년 7월 영국에서 일어난 지하철 폭탄테러사건 등 일련의 테러사건들은 우리에게 커다란 충격을 주고 있다. 테러리즘의 원인들은 어느 사회에서나 늘 존재하여 왔고 앞으로 살아갈 사회 속에서 계속 야기될 문제들이기 때문에 완벽한 해결책이 제시될 수 없다는데 그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지금까지 논의한 지역사회 대테러활동을 통해서 좀 더 안전한 삶을 추구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새롭게 다가오는 지역사회의 안보 환경은 대테러기관으로 하여금 시의 적절하게 테러리즘을 통제할 수 있는 방안들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도전과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과거에서부터 내려오는 준군사적인 대테러활동 모형으로는 테러리즘에 대처하는데 그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대테러기관이 현존하는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서 전통적 대테러활동 방식과는 다른 새로운 유형의 접근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대테러기관은 지역사회와 신뢰관계를 구축해야만 한다. 둘째, 대테러활동을 위해서는 지역사회 주민들, 즉 '소비자인 시민들'의 입장에서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정도의 수준에 이르러야 한다. 셋째, 대테러기관이 지역사회의 분열을 조장하거나 강제하는 차별적이고 강제적인 활동을 전개해서는 안 되고 사회적 통합과 인권 보호의 목표를 모두 달성할 수 있는 대테러활동을 전개해야 한다.

  • PDF

원자력을 둘러싼 과학기술 시티즌십과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관계에 대한 일고찰 (An essa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communication and scientific citizenship of nuclear power in Korea)

  • 강윤재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45-67
    • /
    • 2015
  • 이 글은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지형과 과학기술 시티즌십을 두 축으로 삼아 대안부재 담론이 여전히 사회적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는 이유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1) 공동출현 핵심어(co-occurrence keywords)의 빈도수 측정, (2) 과학기술 시민인식 설문조사를 분석하였다. 먼저, 빈도수 측정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직후 드러난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지형을 살펴보고 있다. 그런 다음,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원자력발전에 대한 시민 인식을 간략하게 정리하고, 원자력을 둘러싼 과학기술 시티즌십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분석 결과를 다시 정리하면서 종합해주고 있다. 그로부터 원자력 거버넌스의 작동방식을 이해하고, 그 개선점을 찾고 있다.

포스트- 탁신 시대의 '붉은셔츠': 이념·조직·행동 (The Red-Shirted Groups' Ideology, Organization, and Action in the Post-Thaksin Era)

  • 박은홍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3권1호
    • /
    • pp.89-126
    • /
    • 2013
  • The Red shirts came to attract atten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during April to May in 2010 by successfully organizing explosive popular demonstrations. The momentum was the military coup on September 9, 2006. The Red color was chosen amid movements against the new constitution instituted under the military junta. In discourse struggles, the Red shirts compared their resistance against the Democratic Party government lead by Abhisit Vejjajiva to that of phrai (commoner or serfs) against ammart (aristocrats or bureaucrats) under the pre-modern reign of sakdina. The Red shirts strongly accused Prem Tinsulanonda, the chief of the Privy Council, of being a mastermind of 2006 military coup, who symbolically represents the cohesion between the palace and the military. It has constituted an unprecedented defiance towards national taboo where the trinity of Nation, Religion, and King has been consecrated.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Red Shirts' ideology, organizations and activities in terms of the modernized phrai's struggles for expanding counter-hegemony. While Antonio Gramsci focused on why socialist revolution had failed to materialize in capitalist Western Europe, I pay attention to why political liberalism has failed to wash away pre-modernity and take root in capitalist Thailand, applying the Gramscian concept of hegemony by contrasting 'hybrid ammart' with 'modernized phrai'.

『모래언덕 위의 정원』에 나타난 레슬리 마몬 실코의 탈식민화 작업과 혼합주의적 비전 (Leslie Marmon Silko's Decolonizing Efforts and Syncretic Vision in Gardens in the Dunes)

  • 강자모
    • 영어영문학
    • /
    • 제55권4호
    • /
    • pp.597-618
    • /
    • 2009
  • Leslie Marmon Silko, in her novel Gardens in the Dunes, primarily focuses on revealing the white colonialists' plan to exterminate and destroy American Indians and their culture. In this regard, this novel is clearly an Indian counter narrative to interrogate and abrogate the authority of the oppressive and destructive discourse of the whites who are full of colonialist impulses to sterilize Indians and their culture.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Silko is very careful not to insist on cultural exclusivism and reverse ethnocentrism, since these only mean a return to the violent colonialists' discourse based on dualism and cultural authenticity which, she believes, has led to the marginalization and eventual deterioration of Indians and their culture. White values and culture are something to recognize and tolerate as long as they are not the products of witchery, also known as the destroyer or evil for Silko, which promotes disruption and antagonism between races and classes. As she reveals in her interview, her major concern in the novel is to dismantle political and/or racial distinctions like Native Americans versus EuroAmericans and thus to enhance the idea of the reconciliation and coexistence of whites and Indians. Silko's Gardens in the Dunes can be regarded as an experiment in the possibility of the universal and homogeneous (at least in its roots) global culture which tolerates all forms of culture. Global culture does not mean a uniform totalitarian culture but a vision of a harmonious world characterized by hybridity and heterogeneity, in which different cultures associate freely without the notion of inferiority or superiority of any one culture. Silko's belief in syncretism emphasizes the spirit of tolerance and exchange between different cultures, dismantling the authority of exclusive ethnocentrism. The ultimate message implied in Gardens in the Dunes is that the syncretic spirit is not only an effective means to correct the white colonialists' hegemonic desire aimed at the extermination of Indians and their culture but also a source of energy for the life and prosperity of modern Indians and their societies.

제국의 혼동과 고통의 분담 -탈식민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본 『요코 이야기』와 『떠나보낼 수 없는 세월』 (Anarchy of Empire and Empathy of Suffering: Reading of So Far from the Bamboo Grove and Year of Impossible Goodbyes from the Perspectives of Postcolonial Feminism)

  • 유제분
    • 영어영문학
    • /
    • 제58권1호
    • /
    • pp.163-183
    • /
    • 2012
  • This paper is one of those attempts to explore some possibility of agreement between feminist discourse and postcolonial discourses through the approach of postcolonial feminism in the reading of the controversial novel, So Far from the Bamboo Grove and Year of Impossible Goodbyes. So Far from the Bamboo Grove, when read from the perspective of postcolonial feminism, reveals 'domestic nationalism' of imperial narratives in which the violence of imperial history in Korea is hidden behind the picture of every day lives of an ordinary Japanese family and Japanese women. Furthermore, postcolonial feminist's perspective interprets Yoko family's nostalgia for their 'home,' Nanam in Korea, as 'imperialist nostalgia' working as a mask to hide the violent history of colonization of Empire. In this way, postcolonial feminist reading of the story detects the ways the narrative of Empire appropriates women, family image and even nostalgia for childhood. At the same time, this perspective explains the readers' empathy for Yoko family's suffering and the concerning women issues caused by wartime rape and sexual violence by defining Yoko as a woman of Japanese Empire, whose life of interstice between imperial men and colonial men cannot be free from violence of rape during anti colonial wars. Year of Impossible Goodbyes as a counter discourse does not overcome the traditional binary opposition of nationalism which quietens gender and class issues. As an attempt to fill in the interstice between the two perspectives of feminism and postcolonialism. postcolonial feminist reading turns out to be a valid tool for the reading of the two novels chosen here.

사회적 약자와 함께 하는 기독교교육 (Christian Education with the Socially Disadvantaged in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 김도일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4권
    • /
    • pp.51-79
    • /
    • 2020
  •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에 사회적 약자들과 함께 하는 기독교교육을 추구하기 위해 수행된 연구이다. 코로나-19는 생태계를 파괴하고 착취한 인간의 탐욕으로 야기한 인재이다. 무차별적으로 번져가는 전 지구적 전염병이 창궐하는 시기에 우리는 이기적인 자기중심성을 극복하여 어려움을 겪으며 애통해 하는 이웃과 함께 해야 한다. 더욱이 코로나 시대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인류가 어떻게 서로를 도와 생존할 수 있을지 모색하여야 한다. 무엇보다 국가와 인종과 경제적 능력 사이에 너무나도 큰 차별이 존재하고 있고 결국 자본주의의 극단적인 차별이 사회와 국가 전반에 나타나고 있는 것 또한 문제다. 코로나-19가 침투했을 때 확진율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사망률은 가진 자와 덜 가진 자 사이에 큰 차이를 보였다. 평소에 덜 가짐으로 인하여 삶이 힘든 사람들이 바이러스의 공격을 막아내고 물리치는 일에 훨씬 더 취약하다는 점이 결과적으로 드러나고 있는 것이 안타깝지만 오늘의 현실이다. 거시적으로는 기후변화 및 생태환경에 대한 주의를 기울이고, 미시적으로는 지구상의 거의 모든 나라에 존재하는 빈부, 성별, 인종, 장애 유무, 국적의 격차에 따라 엄청난 차별을 받으며 살아가는 수많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구체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사회적 약자들의 현실을 파악하기 위하여 백신 불평등에 대한 담론, 장애인의 필요에 대한 담론, 인종별 피해 정도의 상이함에 대한 담론, 양극화와 디스토피아에 대한 담론, 교육적 불평등에 대한 담론 등을 코로나19 시대에 사회적 약자들의 당면한 현실로 다루었다. 그리고 사회적 약자와 함께 하는 기독교교육을 위해 다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1. 예수님의 제자로서 세상의 건강한 시민으로서 살게 돕기 위해 가정과 교회가 함께 하는 기독교교육 교재 '해피투게더'를 대안으로 제안하였고, 2. 아스머와 슈바이쳐의 연구 분석을 통해 인류의 상호의존성과 상호책임성을 강화하는 공적 신앙의 계발에 대해 다루었으며, 3. 학습자의 분별력 증진을 위해 비판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폴 길스터의 담론을 분석하였고, 4. 피조물의 제자리를 찾기 위한 기독교교육 생태계를 복원을 위한 호모 사피엔스의 역할을 구약학자 강사문의 석의(釋義)적 시각으로 다루었으며, 5. 최종적으로 약한 자의 친구로 살게 하는 우정신앙을 품어 온전성을 추구하는 기독교교육적 정신 제안하기 위해 파커 파머의 온전성에 대한 글과 크리스틴 폴의 우정신학을 분석하여 제안하였다. 유일무이한 삶의 잣대인 성경 말씀 위에 터한 기독교교육자들이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에 염두에 두어야 할 소명은 굶주리고, 헐벗으며, 갈 곳이 없고, 병에 걸려도 치료제 주사를 맞지 못하여 결국 죽어갈 수밖에 없게 될 나그네와 같은 이웃을 내 형제로 친구로 알고 섬기며 돌보는 우정 신학을 굳건히 세워 사고와 실천이 어우러지는 삶을 추구해 나아가야 한다. 그럼으로써 사회적 약자를 위하여 어떤 일을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 약자들과 함께 애통해 하며 작은 것부터 실천하고자 하는 기독교교육 정신과 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