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윤재 (2011), 원전사고와 민주적 위험 거버넌스의 필요성, 경제와 사회, 제91호, pp. 12-39.
|
2 |
강윤재 (2012), 원전사고와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문성의 정치: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제15권 제1호, pp. 35-44.
과학기술학회마을
|
3 |
김서용, 임채홍, 정주용, 왕재선, 박천희 (2014),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사고와 원자력에 대한 위험판단 분석 : 위험지각패러다임과 위험소통모형의 통합 적용을 통해, 한국행정연구, 제23권 제4호, pp. 113-143.
|
4 |
김종영 (2011), 대항지식의 구성 : 미 쇠고기 수입반대 촛불운동에서의 전문가들의 혼성적 연대와 대항논리의 형성, 한국사회학 제45권 제1호, pp. 109-152.
|
5 |
오현철 (2010), 촛불집회와 집합지성 - 토의민주주의적 해석, 민주주의와 인권 제10권 제1호, pp. 167-196.
|
6 |
이영희 (2012), 전문성의 정치와 사회운동: 의미와 유형, 경제와 사회, 제93호, 13-41.
|
7 |
이영희 (2014), 과학기술 시티즌십의 두 유형과 전문성의 정치: 과학기술 대중화 정책과 '차일드세이브'의 활동을 중심으로, 동향과 전망, 제92호, pp. 174-211.
|
8 |
이필렬 (1999), 에너지 대안을 찾아서, 창작과 비평사.
|
9 |
홍성태 (2007), 원자력문화재단의 활동과 문제, 시민과 세계, 11호, 300-322.
|
10 |
Callon, M., Courtial, J., Turner, W., & Bauin, S. (1983), "From translations to problematic networks: An introduction to co-word analysis." Social Science Information, 22/2, 191-235.
DOI
|
11 |
Kasperson, J, Kasperson R., Pidegon, N., & Slovic, P. (2003),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assessing fifteen years of research and theory," in Pidgeon, N., Kasperson, R., & Slovic, P. (eds.) (2003),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12 |
Renn, O. (1992), "The social arena concept of risk debates", in Krimsky, S & Golding, D. (eds.), Social Theories of Risk, London: Praeger, pp. 179-196.
|
13 |
Renn, O. (2008), Risk Governance: Coping with Uncertainty in a Complex World. London: Earthscan.
|
14 |
Slovic, P. (2000), The perception of risk. London: Earthscan.
|
15 |
동아사이언스 (2013.10.14.), "원전 확대정책 포기하면 대안 있을까?: 석탄, LNG, 풍력, 태양광 등 거론…아직은 장점보다 단점 많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