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tton waste media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초

느타리버섯 배지개발을 위한 폐면포 이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edia Development of Pleurotus ostreatus by Waste Cotton Stuff)

  • 유정;이공준;정기태;나종성;황창주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3호통권78호
    • /
    • pp.176-179
    • /
    • 1996
  • 느타리버섯의 볏짚 배지 대용으로 산업폐기물인 폐면포(메리야스 조각)를 이용하여 배지의 가능성이 인정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균사 생장 및 수량성은 볏짚 배지에 비하여 폐면포에 미강 20%를 첨가한 배지에서 균사활착이 양호하였고 수량도 $47.5\;kg/3.3\;m^2$으로 11%가 증수되었다. 느타리버섯의 영양성분은 볏짚 배지보다 폐면포 배지에서 생성된 자실체가 조단백질이 많았고 조회분은 적었으나 조지방과 조섬유는 같은 함량이었다. 느타리버섯의 아미노산 함량은 Glutamic acid가 많았고, Cystine이 가장 적었으며 볏짚 배지보다 폐면포 배지에서 생성된 자실체가 총 아미노산과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많았다.

  • PDF

느타리버섯의 배지별 Amino acid 함량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anges of Amino acid Contents on Pleurotus ostreatus)

  • 유정;이공준;정기태;나종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38-342
    • /
    • 1994
  • 배지 재료를 달리한 느타리 버섯의 갓 크기와 자루속의 아미노산을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지 재료별 느타리 버섯의 아미노산 함량은 톱밥배지와 폐솜배지에 비해 볏짚배지에서 적었으며 아미노산 17종이 확인 정량되었다. 2. 느타리버섯의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Cystine 함량이 가장 적었다. 3. 느타리 버섯의 갓 크기별 아미노산 함량은 볏짚재배는 $3{\sim}7\;cm$, 톱밥재배는 3cm 이하, 폐솜재배는 7cm 이상에서 많았으며 버섯의 부위별은 자루보다 갓에서 많았다.

  • PDF

무살균 배지를 이용한 느타리버섯 재배 (Cultivation of Oyster Mushroom Using Non Sterilized Media)

  • 장현유;김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96-205
    • /
    • 2001
  • NSM으로 무살균 재배를 여러 가지 배지를 혼합하여 균사생장과 밀도, 오염율을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울솜을 주재료로 하여 옥수수강과 비트, 미강을 각각 10, 20, 30, 40%를 혼합하였을 때 옥수수강, 미강, 비트 순으로 균사생장과 밀도가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방울솜:옥수수강을 80 : 20(V/V)으로 혼합한 경우가 가장 양호하다. 특히 방울솜에 비트를 10% 이상 혼합하면 균사생장과 밀도가 현저히 불량한 특징이 있다. 둘째, 면자각을 주재료로 하여 옥수수강과 비트, 미강을 각각 10, 20, 30,40%를 혼합하였을 때 비트, 미강, 옥수수강 순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방울솜과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면자각에 미강을 20%이상 혼합하면 잡균오염도 높아질뿐만 아니라 균사생장과 밀도도 현저히 낮아지는 특징이 있다. 셋째, 방울솜을 주재료로 하여 옥수수강과 비트를 각각 혼합한 경 우 방울솜:옥수수강:비트를 70:20:10(V/V)로 혼합한 배지가 가장 양호 하였다. 넷째, 면자각을 주재료로 하여 옥수수강과 비트를 각각 혼합한 경우 면자각:옥수수강:비트를 70:20: 10(V/V)로 혼합한 배지가 가장 양호하였다. NSM의 적정 약제 농도별로는 500배가 가장 좋았으나 2,000배액에서도 균사생장은 비교적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잡균오염율은 희석을 많이 하면 오염율이 높았다. NSM 배지의 적정수분함량은 77%가 적당하였으며, $25^{\circ}C$에서 배양하였을 때 균사밀도와균사속도가 양호하였다. NSM에 배지를 침지한 시간별로 조사한 결과 침지한 즉시 꺼내어 접종한 것이나 32시간 동안 침지한 것이나 동일한 효과가 있었으며 48시간 이상 침지하면 균사속도와 균사밀도가 약간 나빠지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NSM에 침지한 즉시 꺼내어 접종하면 균사생장과 균사밀도가 양호하였다. 즉 N.S.M을 이용하여 느타리버섯 폐면재배에 있어서 방울솜을 주재료로 하여 옥수수강, 비트, 미강을 혼합하여 균사생장, 균사밀도, 잡균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방울솜에 옥수수강을 20~30% 혼합하였을 때 균사생장이 76mm/10일 정도로 가장 양호하였고 균사밀도도 양호하였다.

  • PDF

느타리버섯 배지에 담배가루의 처리가 버섯균과 푸른 곰팡이병원균의 균사생장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Additive effect of tobacco waste in substrates on yield and mycelial growth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spp. and Trichoderma disease)

  • 전창성;장갑열;공원식;조용현;도은수;백수봉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8-53
    • /
    • 2003
  • 담배가루를 첨가하므로서 버섯균의 균사생장을 촉진하고, 푸른곰팡이병원균의 발생 감소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시험을 실시한 결과. 볏짚배지의 담배가루 표면처리에서는 느타리버섯은 0.1g의 처리구까지는 무처리구보다 약간의 균사생장이 빠르며, 혼합처리에서는 1.0g처리구까지 무처리구보다 균사생장이 빠르고 2.0g에서는 생장이 감소되었다. 푸른곰팡이병원균 처리구는 담배가루의 모든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하여 균사생장이 억제되었다. 느타리버섯 품종별 담배가루 처리에 따른 균사생장 조사에서는 표면처리에서는 ASI 2072 담배가루 처리량 처리방법에 상관없이 억제되었으며, ASI 2180 균주의 0.1, 0.2g처리에서 약간 억제되었고, 혼합처리구에서는 ASI 2072균주는 전체적으로 억제되었으며 그 이외의 균주들은 2.0 g처리에서만이 억제되었다. 포장시험 중 볏짚재배 시험에서는 3%처리시 수량이 높았으며, 폐면재배에서는 6% 처리구가 수량이 높았으며 담배가루 처리에 따른 푸른곰팡이병의 방제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 PDF

느타리버섯 균상재배 중 배지에서 분리한 미생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microorganism isolated from Cotton Waste Media for the Oyster Mushroom Cultivation)

  • 이찬중;전창성;정종천;오진아;한혜수;엄나나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20-124
    • /
    • 2010
  • 본 시험은 재배과정 중 균상배지에서 분리한 세균들의 특성을 조사하여 버섯균의 생육 및 병원균과의 연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정상적으로 버섯을 수확한 농가의 경우 버섯생육초기에 분리한 세균일수록 버섯균주에 대해 저해정도가 감소하였으나, 생육이 진행될수록 저해균의 수가 증가하였으나, 버섯 수확에 실패한 농가의 경우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또한 합성배지에 분리세균을 도말한 후 느타리버섯 균의 생육을 조사한 결과 정상적 농가의 경우 살균 직후 보다 생육이 진행될수록 저해균의 수가 증가하였지만, 실패한 농가는 오히려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톱밥배지에서는 버섯생육초기보다 후기에 분리한 세균이 저해하는 정도가 오히려 낮았다. 또한 이들 분리 세균은 분비성 물질을 통해서 버섯균의 생육과 증식에 영향을 미쳤다. 분리 미생물 중 세균성갈반병의 원인균인 Pseudomonas tolaasii을 강하게 억제하는 미생물은 거의 없었으며 소수의 균주에서 약한 길항력을 보였다. 그러나 세균성갈색무늬병을 일으키는 P. agarici에 대해서는 강한 억제력을 보이는 균주가 많이 존재하였으며, 푸른곰팡이병의 원인균인 Trichoderma harzianum을 강하게 억제하는 미생물도 배지내에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배지내에는 다양한 미생물이 존재하고 이들 다양한 미생물과 버섯균의 상호작용에 대한 면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느타리버섯 재배과정 중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느타리버섯 병재배 면실박 대체배지 선발 (Selection of substitute medium of cotton seed pomace on the oyster mushroom for bottle cultivation)

  • 김정한;하태문;주영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05-108
    • /
    • 2005
  • 톱밥:비트펄프:면실박(50:30:20) 배지의 면실박 대체배지로서 아주까리박, 유채박을 사용한 경우 C/N율은 대조와 유사하였고, 야자박, 코코넛박을 이용한 배지에서는 대조보다 높은 C/N율을 나타났다. 아주까리박, 유채박 사용시 배양일수는 2~5일, 초발이소요일수는 2일 지연 되었고 수량 또한 대조보다 20g이상 낮게 나타났으며 야자박, 코코넛박 사용시 배양일수는 3일 지연되었으나 수량은 관행재배 128g/병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경제성 분석결과, 미송톱밥:비트펄프:면실박(50:30:20)의 관행재배에서 면실박 대체배지로 야자박, 코코넛박을 이용시 1000병규모로 연간 8.2회 재배 경우 소득이 각각 2,864천원, 2,733천원으로 관행재배의 2,849천원 대비 101%, 96%의 소득지수를 보였다.

  • PDF

치과위생사의 감염성 폐기물 처리실태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n Dental Waste Treatment of dental hygienes)

  • 박영남;민희홍;이혜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7-48
    • /
    • 2006
  • Dental personnels faced risks of infection in the clinic. For infection control, recognition and practice of dental personnels are important facto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and practice of dental hygiene for infection control and infection waste control. A stratified convenience sample of dental hygienists in dental health-care settings. The major finding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1. The existence of education about Standard Precaution and low of infection waste storage was higher dental hospital than dental clinic. 2. The degree of practice in the storage of dental wastes was low in absorbent cotton and body tissue exclude damage waste. And the degree of practice in the disposal of dental wastes was high in all three. 3. Practice in the storage of dental waste was higher dental hospital than dental clinic. 4. At the conclusion of this investigation, systematic refresher training of infection control should be prepared by campaign an various media, Dental health care workers should be encouraged to practice those action items from training.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nfection control in every dental health-care settings, it is highly demanded as well that development of effective safe-guard tools, stategic support, and standardized action items against infection problems.

  • PDF

느타리버섯 균상재배 중 배지내 미생물상의 변화 및 분포양상 (Changes and Distributional Pattern of Microflora in Cotton Waste Media of Oyster Mushroom Cultivation)

  • 이찬중;윤형식;전창성;정종천;한혜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50-154
    • /
    • 2009
  • The diversity of microflora according to growth stage of Pleurotus ostreatu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microbe and medium fermentation were investigated. In farmhouse I, the aerobic bacteria and fungi as longer of growing period were increased. And, thermophilic bacteria and fluorescent Pseudomonas sp. showed high density at the early stage of spawn inoculation. The thermophilic actinomycetes were distributed evenly during all the growing period, but mesophilic actinomycetes were not observed. In farmhouse II, thermophilic actinomycetes were not observed in fermented medium and density of fungi were suddenly increased at 60 days after spawn inoculation. And also, mushrooms can hardly be harvested due to Penicillium spp. After medium fermentation, density of aerobic bacteria, thermophilic bacteria, and fluorescent Pseudomonas sp. was higher at farmhouse I than those of farmhouse II. In farmhouse I, Bacillus sp. and Pseudomonas sp. dominated at early stage of mushroom growth but as time goes by, density of Bacillus sp. was higher than the others. And also, the kind of microbe showed a few at early stage of mushroom growth but increased as time goes by. In farmhouse II, Bacillus sp. was dominated at early stage of mushroom growth. And the growth of Bacillus sp. and Pseudomonas sp. showed intersect aspect each other in the farmhouse I but Bacillus sp. dominated during all growth periods in the farmhouse II.

공기유입시스템에서의 섬유매체에 의한 방사성액체폐기물 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atment of Radioactive Liquid Wastes using Synthetic textile by Air Intake System)

  • 김태국;이영희;안섬진;손종식;홍권표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논문집
    • /
    • pp.101-104
    • /
    • 2003
  • 저준위 방사성액체폐기물 처리방법으로 에너지 소모가 적은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처리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면 과 Polyester 가 함유된 합성섬유를 증발매체로 하여 자연기상 상태의 건조한 공기를 유입하여 방사성 액체폐기물과 접촉시켜 증발하는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상태의 공기를 강제 유입시켜 액체의 증발현상, 증발매체표면에서의 물질전달 등 이론을 토대로 방사성액체폐기물을 처리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은 방사성폐액을 직접 사용하였으며, 증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따라 증발 단위 면적당 방사성 폐액의 증발량측정 및 제염계수를 조사하였다. 증발효과는 유입공기의 습도가 낮고 공기의 유속과 공급액의 유량이 증가하고 폐액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발량이 증가하였다. 실험결과 습도는 70% 이하, 공급폐액의 유량이 $3.4{\ell}/hr\cdotm^2$ 이상, 공기유속은 1.14~l.47 m/sec 범위가 조업조건이며, 이때 제염계수는 $5.1{\times}10^3$, 배출공기의 방사능 농도는 $4.7{\times}10^{-13}{\mu}Ci/\textrm{m}{\ell}{\cdot}air$로 측정되었다. 공급유량이 $4.6{\ell}/hr\cdotm^2$와 공기유속이 1.47 m/sec일때 최대 증발조건으로 확인되었으며 대기의 온.습도 및 풍속에 따른 실험을 통하여 달톤형의 증발식 Air factor $[\textit{Eh}=(0.018 + 0.0141\textitv) {\delta}textitH]$를 도출하였다.

  • PDF

Bacillus amyloliquefaciens M27에 의한 오이 흰가루병의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Cucumber Powdery Mildew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M27)

  • 이상엽;원항연;김정준;한지희;김완규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68-273
    • /
    • 2013
  • 흰가루병균(Podosphaera fusca)에 의한 오이 흰가루병의 생물적 방제를 위하여 검정한 길항세균 B. amyloliquefaciens M27 균주는 4.0% 흰가루병이 발생하였고 무처리는 80.5% 발생하였다. MH와 LB배지에서 배양한 B. amyloliquefaciens M27 균주의 배양여액은 TSB, NB와 KB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여액보다 오이 흰가루병 방제효과가 우수하였다. M27 균주를 LB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여액 2, 5, 10, 20, 50배와 100배 처리한 경우 오이 흰가루병이 0%, 0%, 0%, 1.3%, 3.1%, 5.0%와 33.3%를 나타낸 반면에 무처리는 60.0%를 나타내었다. 7월, 10월과 12월에 오이 흰가루병이 발생할 때 LB배지에서 배양한 M27균주의 배양여액를 10배로 처리한 결과 88.9~98.9% 방제효과를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B. amyloliquefaciens M27 균주의 배양여액은 오이 흰가루병에 방제에 매우 효과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