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urfactant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3초

The Functional Behaviors of Cosurfactant in Design of Self-nano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s

  • Yang, Su-Geun;Shin, Hee-Jong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40권5호
    • /
    • pp.263-267
    • /
    • 2010
  • Nanoemulsions have been widely investigated for many years because of their attractive and unique characteristics. Nanoemulsions are composed of oil, surfactant, co-surfactant and water. Especially, cosurfactant plays a critical role in formation of nanoemulsions. In pharmaceutical area, a pre-concentrate form of nanoemulsions which is known as self-nano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s (SNEDDS) was available for some water-insoluble drug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functional behaviors of cosurfactant in design of SNEDDS and nanoemulsions. Cremophor RH 40$^{(R)}$, Propylene carbonate and medium chain triglyceride were selected for surfactant, cosurfactant and oil, respectively. Cyclosporine was employed as a drug. Phase diagrams showed the area of isotropic o/w region which forms o/w nanoemulsions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compositional ratio of cosurfactant. But, drug solubilization capacity, droplet size of nanoemulsions and drug release rate were greatly affected by the cosurfactant.

고압유화장치를 이용한 emulsion의 제조 (Preparation f emulsion by Microfluidizer)

  • 백승석;한창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7-138
    • /
    • 1993
  • 고압유화 장치인 Microflridizer를 이용하여 4성분계의 emulsion을 제조하기 위한 최적조건을 알아보았다. Oil은 squalane, isopropyl myristate, PPG-15 stearyl benzoate ester를 사용하였으며, surfactant는 POE(20) sorbitan monolaurate, POE(20) sorbitan monopalmitate, POE(20) sorbitan monostearate를, cosuractant는 glycerine을 사용하여 Micro-fluidizer의 작업압력 및 순환횟수, oil의 종류 및 농도, cosurfactant의 농도에 따른 eumlsion의 상태를 비교하였다. 입자의 크기는 작업압력 및 순환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율이 점점 둔화되었으며 이 때의 적정압력은 1400bar 정도, 순환횟수는 4회 정도임을 알았다. 또한 cosurfactant인 glycerine의 농도가 30wt.%일 때 가장 작은 emulsion입자를 얻을 수 있었고, oil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입자의 크기는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 PDF

헥사데칸에 의해 안정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나노입자의 미니유화 중합 (Miniemulsion Polymerization of Poly(vinyl acetate) Nanoparticles Stabilized by Hexadecane)

  • 박수진;김기석
    • 폴리머
    • /
    • 제28권1호
    • /
    • pp.10-17
    • /
    • 2004
  •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PVAc) 나노입자는 공유화제로 헥사데칸을 사용한 수중유형 미니유화 중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고, 제조 조건에 따른 나노입자는 약물 전달체로서의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제조된 나노입자의 형태를 SEM으로 관찰하였고, 평균 입자크기와 입자의 분포는 입도 분석기로 측정하였다. 또한 항생제와 함께 제조된 PVAc 나노입자에 대한 항생제의 함입은 FT-IR의 CHO, C=O 그리고 OH 피크로서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단량체 입자의 크기는 균일화 속도 및 유화제와 공유화제의 양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었고, 제조된 고분자 라텍스의 입자크기는 80∼300 nm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또한 공유화제를 사용한 미니유화 중합방법은 전통적인 에멀젼 제조 방법과 비교하여 균일하고 안정한 단량체 입자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헥사데칸을 공유화제로 사용함으로써 단량체 입자간의 오스트발드 숙성과 유착을 방지 또는 지연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Tergitol 계열 비이온 계면활성제 시스템에서 첨가제가 원유의 황화합물 가용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Additives on Solubilization of Sulfur Compounds in the Crude Oil by Tergitol Series Nonionic Surfactants)

  • 한지원;임종주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5권3호
    • /
    • pp.226-23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Tergitol 계열 비이온 계면활성제 시스템에 이온 계면활성제와 보조 계면활성제를 각각 첨가한 경우에 있어서의 원유 중에 포함되어 있는 황화합물 가용화도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Sodium oleate, potassium oleate, CTAB와 DTAB 등의 이온 계면활성제 첨가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에 의한 황화합물 가용화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에 사슬 길이가 긴 알코올을 보조 계면활성제로 첨가한 경우에는 원유 중의 황화합물 가용화도가 증가하였다. 알코올의 첨가 효과는 계면활성제가 수용액 상으로부터 오일 상으로 이동하는 partitioning 현상으로 인하여 사용한 원유 양이 증가할수록 작아지며, 또한 사용한 알코올의 사슬 길이에 따른 가용화도 증가 차이도 작게 나타났다. 원유와 계면 활성제 수용액 사이의 계면장력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소수성의 계면활성제일수록 감소의 폭이 증가하였다. 수용액의 pH 변화에 따라 황화합물의 가용화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탈황 미생물 성장 영향 실험에서 계면활성제 혹은 보조계면활성제의 첨가는 탈황 미생물의 성장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계면활성제와 보조계면 활성제가 O/W형 microemulsion의 안정성과 유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urfactant and cosurfactant on the stability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O/W microemulsion)

  • 오주영;백승석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2-63
    • /
    • 1994
  • 4성분계 o/w 형 microemulsion의 안정성과 유동특성에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보조계면 활성제의 혼합비가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보조계면 활성제의 혼합비에서 계면활성제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입자의 크기가 작아졌고, 경시안정성이 양호하였으며, 이 때의 혼합비는 20/40 - 30/30으로 나타났다. Rheogram을 통하여 시료에는 일정한 내부구조가 형성됨을 의미하는 항복점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으며, 전단속도 증감 시 전단응력이 일치하지 않는 hysteresis를 나타내었다. hysteresis의 면적은 혼합비에서 계면활성제의 양이 많아짐에 따라 커졌으며 제조된 microemulsion은 rheopetic한 특성을 보였다.

  • PDF

자가미세유화를 이용한 이부프로펜 액상제제의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iquefied Ibuprofen Using Self-Microemulsion Drug Delivery System (SMEDDS))

  • 안용산;송지희;강복기;김문석;조선행;이종문;이해방;강길선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4권1호
    • /
    • pp.35-42
    • /
    • 2004
  • Ibuprofen (IBU), is a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used to treat rheumatoid arthritis, removal of fever and mild to moderate pain. Because of small dosage and very low accumulation in the body, IBU has been used to heal children's fever. However, IBU was very low solubility in a low pH and water (in water $0.03{\sim}2.5$ mg/ml). A nanoemulsion containing IBU by means of self-microemulsion drug delver system (SMEDDS) was prepared in order to enhance the solubility of IBU. The SMEDDS was composed of cosurfactant, oil and surfactant The solubility of IBU in various components such as cosurfactant, oil and surfactant was examined. $Carbitol^{\circledR}\;(386.99{\pm}20.5\;mg/ml)$ as a cosurfactant, $Labrafil^{\circledR}$  M1944CS $(90.16{\pm}1.60mg/ml)$ as an oil and $Cremopher^{\circledR}$  RH-40 $(239.01{\pm}2.8\;mg/ml)$ as a surfactant were used in this study for preparing SMEDDS. Optimized formulation of SMEDDS was obtained by phase diagram which express the section of nanoemulsion formation. The SMEDDS containing IBU had higher dissolution rate than conventional IBU sirups. Thus the SMEDDS was a potential candidate of stable conventional and effective oral dosage form for IBU.

역마이셀에 의한 TiO(OH)$_2$ 미세분말 제조 (Formation of TiO(OH)$_2$ Ultrafine Particles by Reverse Micelle)

  • 장화익;강석원;이광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94-602
    • /
    • 1998
  • 유기용메인 이소옥탄(isooctane)에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물을 역마이셀 형태로 생성시킨 후,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e alcohol)에 묽힌 티타늄알코옥사이드(tetraisopropyl orthotitanate)를 가하여 가수분해 반응를 거쳐 TiO(OH)2 분말을 제조하였다. 역마이셀에 의한 TiO(OH)2 분말 제조에 미치는 공정변수들인 계면활성제의 종류, 농도, 보조계면활성제, 가수분해 반응온도, pH등이 생성된 입자의 크기, 모양, 입도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비이온계활성제인 Span 80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Span 80의 농도변화, 가수분해 반응온도 변화, pH변화에 무관하게 입도분포가 uninodal형태였으나, 음이온계면활성제인 Aerosol-OT(AOT)를 사용하였을 경우, binodal형태를 나타내었다. 에타올(ethanol)을 cosurfactant로 첨가한 계(AOT, 1.0CMC, isooctane+ethanol, pH2.5, 30$^{\circ}C$)로 부터 생성된 입자는 평균입경이 0.12${\mu}{\textrm}{m}$ 으로서 미세할 뿐아니라 입도분포도 매우 좁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cosurfactant의 유무가 생성 입자의 입도분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FT-IR 분석으로 T1-O 결합과 Ti-OH 결합에 의한 흡수피크를 확인하였고, TGA-DTA 분석결과에 의하면 41$0^{\circ}C$ 부근의 발열피크로 부터 비정질 구조에서 anatase 구조로 결정화가 시작됨을 알 수 있었으며, 온도 상승과 더불어 결정이 성장하여 약 45$0^{\circ}C$ 정도에서 비정질상이 anatase상의 결정구조로 완전히 전이됨을 확인하였다.

  • PDF

Alkyl Ethoxylate 비이온 계면활성제, 물과 윤활유를 포함한 시스템에서 보조계면활성제가 중간상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Cosurfactant on Intermediate Phase Formation in Systems Containing Alkyl Ethoxylate Nonionic Surfactant, Water and Lubricant)

  • 임종주
    • 공업화학
    • /
    • 제16권6호
    • /
    • pp.778-784
    • /
    • 2005
  • Alkyl ethoxylate 비이온 계면활성제, 산업용 윤활유, 물로 이루어진 3성분계에 대하여 $30{\sim}60^{\circ}C$의 온도 범위에서 상평형 실험을 수행한 결과, 세정력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가운데 상의(middle-phase) 마이크로에멀젼(${\mu}E$) D상은 매우 제한된 조건 하에서만 생성되며, 따라서 D상이 보다 넓은 온도 영역에서 형성되기 위해서는 보조계면활성제 첨가가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 $C_{12}E_4$ 시스템에 n-펜탄올과 n-헥산올을 보조계면활성제로 각각 첨가함에 따라 3상이 형성되는 온도는 A/S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3상 영역에서 생성된 가운데 상은 많은 양의 물을 함유한 $D^{\prime}(L_3)$상이었다. 한편 $C_{12}E_5$ 계의 경우에는 보조계면활성제로 n-펜탄올을 첨가한 경우에는 D'상이 형성되었으며, 반면에 n-헵탄올, 옥탄올, 노난올 등을 첨가할 경우에는 D상이 형성되었다. 한편 보조계면활성제로 n-헥산올을 첨가한 경우에는 $30{\sim}40^{\circ}C$의 온도 범위에서는 D'상을 형성하며, $45{\sim}60^{\circ}C$의 온도 범위에서는 D상이 형성되었다. 두 비이온 계면활성제 시스템의 차이는 거대한 윤활유 오일 분자가 계면활성제 필름 지역으로 관통하여 가용화될 수 있는 정도와 계면활성제의 오일 상에 대한 분배에 주로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Transdermal Delivery of Diclofenac Using Microemulsions

  • Kweon, Jang-Hoon;Chi, Sang-Cheol;Park, Eun-Seo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3호
    • /
    • pp.351-356
    • /
    • 2004
  • A transdermal preparation containing diclofenac diethylammonium (DDA) was developed using an O/W microemulsion system. Of the oils tested, lauryl alcohol was chosen as the oil phase of the microemulsion, as it showed a good solubilizing capacity and excellent skin permeation rate of the drug. Pseudoternary phase diagrams were constructed to obtain the concentration range of oil, surfactant and cosurfactant for microemulsion formation, and the effect of these additives on skin permeation of DDA was evaluated with excised rat skins. The optimum formulation of the microemulsion consisted of 1.16% of DDA, 5% of lauryl alcohol, 60% of water in combination with the 34.54% of Labrasol (surfactant)/ethanol (cosurfactant) (1:2). The efficiency of formulation in the percutaneous absorption of DDA was dependent upon the contents of water and lauryl alcohol as well as Labrasol: ethanol mixing ratio. It was concluded that the percutaneous absorption of DDA from microemulsions was enhanced with increasing the lauryl alcohol and water contents, and with decreasing the Labrasol:ethanol mixing ratio in the formulation.

O/W형 microemulsion의 생성영역과 입자크기 및 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region, droplet size and stability of O/W microemulsion)

  • 조주영;한창규;조춘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2-48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ME의 각 성분의 구조가 그들의 생성영역, 입자의 크기 및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surfactant로서 POE sorbitan fatty acid 계를 사용하였고, oil로는 포화탄화수소계인 liquid paraffin, squalane, 방향족계열인 alkyl benzoate, Isostearyl benzoate를 그리고 cosurfactant로는 glycerine, propylene glycol, sorbitol, 1, 3-butanediol을 사용하여 4성분계 ME을 제조하고, 이 계에서 cosurfactant의 구조적 특성이 ME 생성영역에 미치는 영향과 그리고 oil과 surfactant의 구조 특성이 제조된 ME 입자크기 및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 결과, cosurfactant로 polyol류를 사용했을 때, polyol 분자 중 탄소가 같은 경우 OH수가 많을 때, OH기 수가 같을 경우 탄소수가 적을 때 ME생성영역이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제조된 ME의 입자 크기를 비교했을 때 oil의 극성이 클수록, surfactant 소수부분의 alkyl chain의 탄소수가 클수록 입자크기가 작게 나타났다. 또한 분산상으로 사용된 oil 중 alkyl benzoate나 Isostearyl benzoatbenzoate 에 비해서 포화탄수소계인 liquid paraffin, squalane으로 구성된 ME의 경시 안정성이 더 양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