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metic stability test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33초

포공영을 이용한 마이크로캡슐 에멀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icrocapsule Emulsion Containing Taraxacum platycarpum)

  • 조우아;김영훈;장민정;천순주;이진태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45-148
    • /
    • 2007
  • The aims of this study was assess to preparation and stability of emulsion containing Taraxacum platycarpum ethanol extract our team was found to shape and size of capsule by optical micr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n the stability test of the emulsion including Taraxacum platycarpum ethanol extract, it was stable of pH, viscosity during 30days. According to all the test results that have been given, it is possible that the ethanol extract of Taraxacum platycarpum can be used as a new cosmetics material.

  • PDF

아스코빅애씨드 고함량 안정화 수계 조성물 제조 방법 (The Stabilization of 20.0% Ascorbic Acid in Aqueous Cosmetic Formulation)

  • 박정미;은소희;고은아;한상근;강학희;현승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25-131
    • /
    • 2018
  • 아스코빅애씨드(비타민 C)는 스킨 케어 조성물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아스코빅애씨드는 항산화, 콜라겐 생합성 촉진, 피부미백효과 등 특별한 효과를 나타내며, 안티-에이징 활성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아스코빅애씨드의 산화, 갈변, 변취와 같은 불안정한 문제가 있어 높은 함량을 적용하기에는 문제가 많다. 우리는 폴리올을 사용하여 아스코빅애씨드를 녹인 무수제형 조성물로 안정화를 진행했다. 무수제형은 아스코빅애씨드의 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조성물이다. 하지만, $5^{\circ}C$ 이하의 온도 조건일 때 무수제형 내에서 결정화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우리는 수계에 아스코빅애씨드를 안정화하여 결정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징크설페이트, 글루타치온, 강황뿌리추출물과 같은 항산화제를 사용하여 아스코빅애씨드를 안정화할 수 있는 최적의 비율을 찾고자 하였다. 조성물은 - $16^{\circ}C$, $5^{\circ}C$, $25^{\circ}C$, $40^{\circ}C$, $50^{\circ}C$ and cycle($5-40^{\circ}C$) 인큐베이터를 사용하여 8주에 걸쳐 안정도를 확인하였다. 안정성 분석은 색상, 향, 상 분리, 침강 정도를 검토하였다. 아스코빅애씨드의 안정성은 HPLC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피부 주름 개선 소재인 페오니플로린의 에멀젼 안정성 (Stability of Paeoniflorin used as Anti-wrinkle Agents in Emulsions)

  • 조완구;경기열;유상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1-198
    • /
    • 2009
  • We have tested the stability of paeoniflorin, a new cosmetic ingredient, extracted from the roots of Paeoniae lactiflora. The stability of aqueous paeoniflorin solution at pH 3, 5 and 7 varied by adding buffer solution was tested at $0^{\circ}C,\;25^{\circ}C,\;40^{\circ}C,\;and\;65^{\circ}C$. The test was performed with or without UV light. The solution of paeoniflorin was stable at pH 3.0, however, the recovery rate of paeoniflorin was 40% at pH 7.0. The stability of paeoniflorin solution was decreased as the pH of paeoniflorin solution was increased by pH 7.0. The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of paeoniflorin solution shows that the stability of paeoniflorin solution was decreased as the temperature was increased. The stability of paeoniflorin was rather good under UV light than the condition given above $40^{\circ}C$. The stability of paeoniflorin in W/O emulsions shows similar pattern to that of aqueous solution.

경옥가루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화장품 제형 응용 연구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Jadeite Powder and Its Application to Cosmetic Formulations)

  • 김경미;김용우;홍인기;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9권1호
    • /
    • pp.81-9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천연 소재인 경옥가루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이를 함유한 워시오프 팩과 리퀴드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다. 또한 이들 제형을 대상으로 각 제형이 주는 효과와 사용자 관능 평가, 제형 안정성 및 피부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워시오프 팩 중의 경옥가루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원적외선 방사율과 방사에너지 값이 증가하였고, 경옥가루를 3% 함유한 제품에서는 피부 적용 시 피부 온도가 약 $0.5^{\circ}C$ 상승하였다. 경옥가루를 첨가한 리퀴드 파운데이션은 피부 본래의 색을 더욱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는 채도를 나타냈다. 경옥가루를 첨가한 워시오프 팩과 리퀴드 파운데이션은 각각의 수분 보유량이 최대 5.0% 및 63.0%로 나타났다. 사용자 관능 평가에서 경옥가루를 함유한 워시오프 팩 제형은 피부친화력, 밀착력, 가려움 및 촉촉함을 개선시켰다. 경옥가루를 함유한 리퀴드 파운데이션도 대조군 제형과 비교했을 때 커버력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개선이 이루어졌다. 경옥가루 함유 제형에 대해 8주간 안정성 평가를 한 결과 육안상으로 변색이나 분리현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pH는 8주까지, 점도는 4주까지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피부 안전성 평가에서 경옥가루 함유 제형은 모두 자극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경옥가루는 무기안료로써 안정성과 안전성이 확보된 새로운 다기능 소재로써 화장품에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새로운 증점제 Purecell 첨가 시 샴푸와 크림의 안정화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Stability of Shampoo and Cheam Adding New Thickening, Purecell)

  • 안봉전;이진영;손준호;이창언;박태순;박정미;이인철;배호정;송미애;편정란;조영제;이성우;박정호;이창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1호
    • /
    • pp.70-76
    • /
    • 2006
  • Purecell, hydroxyethyl-cellulose-2-hydroxypropyltrimethyl ammonium chloride ether, was developed as a thickener and evaluated its functions for stability and safety when it was add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Compared with a commercially available thickener Natrasol, Purecell have a basic chemical backbone of hydroxyethylcellulose which has been widely used in the cosmetic industry. pH and viscosity of Purecell was lower than those of Natrasol, however, a similar pH value to was shown when the Purecell was added into a shampoo or cream. The Purecell was stable to temperature and light. When 0.5% of the Purcell was added to a shampoo having cationic surfactant, a separation occurred due to the same cationic surfactant of the Purecell and shampoo. However, the shampoo and cream made with Purecell improved a smoothness and adaptability of hair. It also showed a negative response for Patch test of human, indicating the Purecell was safe for use.

N-Acetyl-D-glucosamine (NAG)의 피부주름 개선 효과 (Anti-wrinkle Effect of N-Acetyl-D-glucosamine (NAG))

  • 김광수;최근호;최장우;최준학;한송희;남상윤;이승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57-462
    • /
    • 2004
  • N-Acetyl-D-glucosamine (NAG)는 보습제로 사용되어지는 히아루론산의 구성물질인 뮤코 다당류의 일종이며, 특히 화장품으로서 응용은 보습제로서의 사용이 최초이다. 본 실험에서는 게나 새우의 껍데기에서 추출된 키틴을 탈아세틸화 하여 얻은 NAG를 화장품 원료로서 적용하고자 하였다. 현재 기능성 주름 원료로 알려진 레티놀(retinol)과 NAG를 비교하기 위하여 섬유아세포의 활성능력 및 콜라겐 생성촉진 효과를 비교 실험하였으며, 제형 내에서의 안정성을 위하여 HPLC로 역가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게의 껍질로부터 유도된 NAG는 피부에 자극을 전혀 주지 않으면서 섬유아세포의 세포활성 및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헤어리스 마우스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한 결과 피부층의 변화를 통하여 주름의 감소 효능을 볼 수 있었다.

3-O-cetyl-L-ascorbic acid의 주름 개선 효과 (Anti-wrinkle effect of 3-O-cetyl-L-ascorbic acid)

  • 박창민;이순영;정민석;최종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03-309
    • /
    • 2008
  • 건강한 피부 기능의 악화 원인으로는 콜라겐 섬유 감소, 탄력섬유 변성, 활성산소종의 과다 생성 등이 있다. 이로 인하여 피부 탄력 저하나 주름이 생성된다. 피부 탄력 저하 및 주름 생성과 같은 피부 노화를 개선하기 위해 대표적으로 비타민 A, C 및 그 유도체들이 화장품에 적용되고 있지만 화학적 불안정성의 문제점이 있어 새로운 유도체들의 합성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피부개선을 위한 화장품 원료로 최근 비타민 C로부터 새롭게 합성된 3-O-cetyl-L-ascorbic acid (VCCE)의 주름 개선과 관련된 효능 효과를 평가하였다. VCCE의 in vitro 실험 결과 procollagen type I의 합성을 0.002%에서 최대 149% 증가시켰다. 또한 인체적용시험에서 일차적으로 폐쇄 첩포 실험 결과 자극이 유발되지 않았으며, 모사판 분석 및 PRIMOS system을 이용한 주름측정결과에서도 주름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VCCE는 주름 개선을 위한 화장품 성분으로서 높은 응용 가치를 제시한다.

편백나무 잎 추출물 함유 크림의 안정성 평가 (Stability Test for the Cream Containing Chamaecyparis Obtusa Leaf Extract)

  • 임명선;이동숙;권순식;박수남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05-21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함유한 크림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다양한 저장 온도($4^{\circ}C$, $25^{\circ}C$, $37^{\circ}C$$45^{\circ}C$) 및 태양광선에의 노출 하에서 12주 동안 추출물 함유 크림의 pH, 점도 및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위에서 언급된 온도별 저장조건에서 추출물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대조군 크림은 pH 변화가 거의 없었다. 추출물 함유 크림의 경우는 $4^{\circ}C$$25^{\circ}C$에서 pH가 평균 0.11 감소하였고, $37^{\circ}C$, $45^{\circ}C$ 저장과 태양광선 노출 시는 각각 0.55, 0.84 및 0.59 감소하였다. 온도별 저장 조건에서 12주 후 추출물 함유 크림과 대조군 크림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추출물 함유 크림은 초기 점도보다 평균 2,404 cPs 감소를 나타내었고, 대조군은 평균 1,296 cPs 감소하였다. $45^{\circ}C$ 조건에서 대조군은 12주 후 점도가 1,915 cPs로 감소되었지만, 동일 조건에서 추출물 함유 크림의 점도는 3,810 cPs 감소하였다. 12주 동안 $4^{\circ}C{\sim}37^{\circ}C$에서 추출물 함유 크림의 흡광도 변화는 거의 없었다. 반면에 $45^{\circ}C$ 저장과 태양광선 노출시킨 경우는 흡광도는 각각 32.5 % 및 35.2 % 감소하였다. 크림으로부터 추출물을 용출시킨 에탄올 용액을 태양광선에 직접 노출시켰을 때 4주 만에 흡광도가 54.8 %감소한 것에 비해서는 작은 감소를 나타낸다. 이는 추출물크림이 크림 내에서 비교적 안정화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추출물 함유 크림과 대조군 크림은 12주 동안 동일한 실험 조건에서 변취나 변색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크리밍이나 응집과 같은 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편백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이 비교적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추출물 함유 크림을 장기간 저장할 때 안정성은 아직 확실치는 않으며, 추출물을 화장품에 응용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키토산 마이크로캅셀 및 비드의 제조와 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hitosan Microcapsule and Bead.)

  • 하병조;이옥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7-51
    • /
    • 1994
  • Glutaraldehyde를 사용하여 화학적인 가교반응에 의해 empty cross-linked chitosan microcapsule을 제조하였다. 또한 chitosan bead는 sodium hydroxide 용액을 이용한 coaervation에 의해 제조하였다. 이들의 제조를 위해 수상/유화제/유기상으로 이루어진 w/o emulsion을 형성시킨 후 에멀젼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해 조사하였다. 보조계면활선제로 n-hexanol을 첨가한 결과 유화안정성이 상승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Chitosan microcapsule은 광택이 나는 형태로 내부가 투명한 반면 chitosan bead는 백탁으로 내부가 불투명하며 매우 porous한 구조를 하고 있었다. Chitosan bead의 유리 아미노기의 분석은 picric acid titration으로 수행하였으며, 아미노산 반응의 종결여부는 ninhydrin color test에 의해 판정하였다. 또한 fluoroscamine에 의한 형광분석으로 chitosan bead의 표면에 많은 반응성 아미노기가 존재하고 있음을 정성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생리활성 펩티드의 커플링 반응에 이용할 수 있었다. 모델 펩티드로서 콜라겐의 receptor 부분에 해당하는 생체내 growth factor로 알려진 Gly-His-Lys를 각 아미노산 유도체를 차례로 커플링하여 chitosan bead 위에서 합성할 수 있으며, 세포 성장인자와 같은 여러 가지 생리 활성 펩티드의 운반체로서 chitosan bead가 쉽게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 PDF

효소 생전환 시스템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개발 (Development of Cosmeceutical Cosmetics Using Enzyme Bio-Conversion System)

  • 이강태;권지연;배동준;유창선;이명희;오세량;장동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1-114
    • /
    • 2005
  • 본 논문은 효소 생전환 시스템을 적용, 안정한 2-O-$\alpha$-D-glucopyranosyl-L-ascorbic acid (AA2G)를 ascorbic acid (AA)와 glucose로 분해하여 이 물질의 피부에서의 효과를 분석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A는 높은 환원력을 가지고 있으며, 화장품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지만 수용액 상에서 불안정하기 때문에 사용에 제약이 많이 있다. AA2G는 AA를 안정화시킨 미백 기능성 원료이지만 AA와 비교해서 효과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AA2G의 안정성과 AA의 효과를 동시에 갖는 효소 생전환 시스템을 이용한 기능성 제품을 개발하였다. AA2G는 당 분해 효소인 amigase에 의해 30min 경과 후에 약 $80\%$가 AA로 전환되며 이 시스템의 미백 효과를 측정한 결과 같은 농도의 AA와 비교해 유사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AA2G는 타이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가 없음). 또한 AA2G와 amigase를 함유한 제형은 인공 색소 침착 후의 미백 효과 시험에서 AA2G 만을 함유한 제형과 비교하여 높은 미백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효소 생전환 시스템은 불안정한 AA를 보다 효과적으로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