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metic ingredient

검색결과 450건 처리시간 0.022초

선학초 추출물의 미백활성 (Whitening Activities of the Agrimonia pilosa L. Extracts)

  • 김동희;안봉전;이진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4호
    • /
    • pp.284-289
    • /
    • 2011
  • 선학초 추출물을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미백효과를 검증하였다. 세포 내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결과 선학초 에탄올 추출물 $500{\mu}g/mL$에서 42%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선학초 추출물이 세포 내 tyrosinase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서 멜라닌 합성 또한 저해 하는 것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선학초 추출물의 단백질 발현과 mRNA 발현 억제효과를 검토한 결과 선학초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B16F10군에서는 tyrosinase protein의 발현이 처리하지 않은 군보다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선학초 추출물의 미백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식품 및 화장품의 기능성 소재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N-Acetyl-D-glucosamine (NAG)의 피부주름 개선 효과 (Anti-wrinkle Effect of N-Acetyl-D-glucosamine (NAG))

  • 김광수;최근호;최장우;최준학;한송희;남상윤;이승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57-462
    • /
    • 2004
  • N-Acetyl-D-glucosamine (NAG)는 보습제로 사용되어지는 히아루론산의 구성물질인 뮤코 다당류의 일종이며, 특히 화장품으로서 응용은 보습제로서의 사용이 최초이다. 본 실험에서는 게나 새우의 껍데기에서 추출된 키틴을 탈아세틸화 하여 얻은 NAG를 화장품 원료로서 적용하고자 하였다. 현재 기능성 주름 원료로 알려진 레티놀(retinol)과 NAG를 비교하기 위하여 섬유아세포의 활성능력 및 콜라겐 생성촉진 효과를 비교 실험하였으며, 제형 내에서의 안정성을 위하여 HPLC로 역가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게의 껍질로부터 유도된 NAG는 피부에 자극을 전혀 주지 않으면서 섬유아세포의 세포활성 및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헤어리스 마우스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한 결과 피부층의 변화를 통하여 주름의 감소 효능을 볼 수 있었다.

THE STUDY ON TISSUE CULTURED WILD MOUNTAIN GINSENG(Panax Ginseng C.A. Meyer) ADVENTITIOUS ROOTS EXTRACT AS A COSMETIC INGREDIENT

  • Jung, Eun-Joo;Park, Jong-Wan;Kim, Joong-Hoi;Paek, Kee-Yoeup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
    • /
    • pp.611-616
    • /
    • 2003
  • Korean ginseng(Panax Ginseng C.A. Meyer) known as a oriental miracle drug is an important medicinal plant. Ginseng has been used for geriatric, tonic, stomachic, and aphrodisiac treatments for thousands years. Also, it is an antibiotic and has therapeutic properties against stress and cancer. Ginseng is widely distributed all over the world. Among them, Korean mountain ginseng has the most valuable effect on pharmaceuticals. The roots of mountain ginseng contained several kinds of ginsenosides that have many active functions for the human body. However, the study of mountain ginseng has a limit because the mountain ginseng is very expensive and rare. So, we artificially cultured mountain ginseng adventitious roots using the bioreactor culture system. We induced callus from original mountain ginseng, directly dug up in mountain and aged about one hundred ten years. Separated adventitious roots were precultured in 500ml conical flasks and then, transferred in 20L bioreactors. The adventitious roots of mountain ginseng were harvested after culturing for 40days, dried and then, extracted with several solven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whitening effect, anti-wrinkle effect and the safety of tissue cultured adventitious roots extract of mountain ginseng in order to identify the merit as a cosmetic ingredient. Particularly, extract of mountain ginseng adventitious roots showed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The inhibitory effect of this extract on the melanogenesis was examined using B-16 melanoma cell. When B-16 melanoma cells were cultured with adventitious root extract, there was a dramatically decrease in melanin contents of 8-16 melanoma cell. And we identified this extract inhibited Dopa auto-oxidation significantly. Also, when transformed mouse fibroblast L929 cells were treated with this extrac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collagen synthesis. The results show significant inhibited melanization and wrinkle without inhibiting cell viability.

  • PDF

Risk Assessment of Drometrizole, a Cosmetic Ingredient used as an Ultraviolet Light Absorber

  • Lee, Jae Kwon;Kim, Kyu-Bong;Lee, Jung Dae;Shin, Chan Young;Kwack, Seung Jun;Lee, Byung-Mu;Lee, Joo Young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5권2호
    • /
    • pp.119-129
    • /
    • 2019
  • As the use of cosmetics has greatly increased in a daily life, safety issues with cosmetic ingredients have drawn an attention. Drometrizole [2-(2'-hydroxy-5'-methylphenyl)benzotriazole] is categorized as a sunscreen ingredient and is used in cosmetics and non-cosmetics as a UV light absorber. No significant toxicity has been observed in acute oral, inhalation, or dermal toxicity studies. In a 13-week oral toxicity study in beagle dogs,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NOAEL) was determined as 31.75 mg/kg bw/day in males and 34.6 mg/kg bw/day in females, based on increased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ctivity. Although drometrizole was negative for skin sensitization in two Magnusson-Kligman maximization tests in guinea pigs, there were two case reports of consumers presenting with allergic contact dermatitis. Drometrizole showed no teratogenicity in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toxicity studies in which rats and mice were treated for 6 to 15 days of the gestation period. Ames tests showed that drometrizole was not mutagenic. A long-term carcinogenicity study using mice and rats showed no significant carcinogenic effect. A nail product containing 0.03% drometrizole was nonirritating, non-sensitizing and non-photosensitizing in a test with 147 human subjects. For risk assessment, the NOAEL chosen was 31.75 mg/kg bw/day in a 13-week oral toxicity study. Systemic exposure dosages were 0.27228 mg/kg bw/day and 1.90598 mg/kg bw/day for 1% and 7% drometrizole in cosmetics, respectively. Risk characterization studies demonstrated that when cosmetic products contain 1.0% of drometrizole, the margin of safety was greater than 100. Based on the risk assessment data, the MFDS revised the regulatory concentration of drometrizole from 7% to 1% in 2015. Under current regulation, drometrizole is considered to be safe for use in cosmetics. If new toxicological data are obtained in the future, the risk assessment should be carried out to update the appropriate guidelines.

생태교란종 영국갯끈풀의 기능성화장품 원료로서 효능 연구 (A Study on functional cosmetic ingredients of the invasive plant Spartina anglica)

  • 송솔이;이지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44-15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생태교란종으로 지정되어 대량으로 방제되는 영국갯끈풀의 에탄올 추출물을 활용하여 여러가지 생리활성을 평가하고 화장품 원료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라디컬 소거법인 DPPH와 ABTS assay 및 환원력을 통한 FRAP과 같은 화학적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영국갯끈풀 지상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였다. 각 추출물 농도 0.5 mg/mL 이하 조건에서 RAW264.7 cell과 NHDF cell에 대한 세포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LPS로 활성화 된 RAW264.7 세포에서 증가된 염증매개물질 NO와 사이토카인 생성량은 지하부 에탄올 추출물에 의해 뚜렷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NHDF cell을 지상부와 지하부 두 추출물로 처리하여 collagen 합성과 피부 수분 유전자 발현을 조사한 결과 높은 항주름 및 보습 효능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영국갯끈풀 에탄올추출물은 기능성화장품의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유용한 바이오 자원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Inhibition Mechanism of Endothelin-l-induced $Ca^{2+}$ Mobilization of Antimelanogenic Ingredient: 1,2-Ο-Diferulylglycerol

  • Lee, K. M.;Park, J. B.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I
    • /
    • pp.73-86
    • /
    • 2003
  • Endothelins secreted from keratinocytes are intrinsic madiators for human melanocytes in UVB-induced pigmentation. Antimelanogenic ingredient, 1,2-Ο-diferulylglycerol(SM709) isolated from bamboo extract inhibited the melanin synthesis of Bl6F10 melanoma cells by 62%. To understand the cellular mechanism of antimelanogenic activity of SM709 in human melanocytes, the effects of SM709 on the ET-l-induced $Ca^{2+}$ mobilization were investigated. ET-l receptors in human melanocytes were characterized by using specific antagonist and found that ET-l increased intracellular $Ca^{2+}$ by activating ET-B receptor. SM709 completely blocked the ET-l-induced intracellular $Ca^{2+}$ increase and its inhibitory effect showed dose- and time- dependent manners. To investigate the role of SM709 on intracellular $Ca^{2+}$ store, when the $Ca^{2+}$ store was partially depleted by thapsigargin; a specific inhibitor of ER-type $Ca^{2+}$-ATPase, caffeine-induced $Ca^{2+}$ mobilization did not changed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M709, suggesting that SM709 has no effect on the $Ca^{2+}$ store. It is known that LPA receptor and P$_2$ receptor are linked to InsP$_3$ second messenger system. When these receptors in melanocytes were activated by LPA and ATP, the intracellular $Ca^{2+}$ signaling was observed even in the presence of SM709.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SM709 has an antimelanogenic activity by antagonizing the ET-B receptor, resulting in subsequent intracellular $Ca^{2+}$ signaling, in UV induced pigmentation.nduced pigmentation.

  • PDF

화장품소재로서 곽향 추출물 및 발효물의 생리활성 연구 (A Study on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Agastachis herba Extract and Fermented Products as Cosmetic Materials)

  • 이정로;한갑훈;오태구;강정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557-1566
    • /
    • 2023
  • 곽향은 서양에서 Korea mint라고 불릴 정도로 허브와 쓰임새가 매우 유사하다. 서양의 허브는 화장품의 소재로 많이 사용하지만 곽향은 우리나라에서 약재로 더 많이 사용되어 화장품 소재로서의 기능성을 비교해보았다. 곽향 추출물과 추출물을 이용한 유산균과 효모 발효물, 에센셜오일, 플로럴워터에 대한 항산화, 미백,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항균력 실험을 진행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모든 샘플에서 높은 효과가 보였고, 미백과 폴리페놀, 항균력에서 에센셜오일이 가장 높은 효과가 보였다. 반면에 플라보노이드는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효과가 보였다. 이런 결과로 에센셜오일이 기능적으로 가장 큰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추출물을 가지고 효모 발효를 진행한 시료들이 에센셜오일 만큼의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해 에센셜오일의 적은 추출량에 비해 효모 발효를 진행한 시료가 화장품소재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본다.

화장품 성분으로서의 Coumarin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umarin as a Cosmetic Ingredient)

  • 윤미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373-1380
    • /
    • 2023
  • 본 연구는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물질로써 항바이러스, 항암, 항균작용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물질로 알려져 있는 coumarin의 항산화 및 항염증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함으로써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로써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세포독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 coumarin은 실험에 적용한 모든 농도에서 이렇다 할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에 적용된 농도 범위 내에서는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안전한 물질이라 사료된다. coumarin 물질 자체의 항산화 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DPPH radical 소거능을 관찰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소거능을 나타내었지만 농도에 따라 큰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세포내에서 생성되는 hydrogen peroxide을 DCF-DA 형광물질을 이용하여 ROS를 측정한 결과 silica에 의해 생성된 ROS의 억제효과가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coumarin의 항염증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Nitric oxide 생성억제와 histamine release를 측정한 결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Coumarin이 화장품 소재개발에 있어서 항산화와 항염증에 관련된 천연물로써 효과적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오미자 씨 오일의 화장품 소재로서 유효성 평가 (The Evaluation on the Effectiveness as a Cosmetic Material of Oil Extracted from Schizandra Chinensis Seed)

  • 양재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31-237
    • /
    • 2012
  • 오미자 씨 오일의 화장품 소재로서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GC와 GC/MSD를 사용하여 안정성 평가 및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주요성분은 팔미틱산과 올레익산으로 나타났다. 오미자 씨 오일은 열에 의한 성분변화가 없고, 소재 자체의 안정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능 실험을 통하여 항산화 효능을 측정한 결과 오미자 씨 오일이 마카다미아 오일과 올리브 오일에 비하여 높은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었다. 콜라겐 합성능 또한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오미자 씨 오일은 화장품 소재용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화장품 소재로서 후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미백활성에 관한 효과 (A Study of the Whitening Activities of Magnolia obovata Bark Ethyl Acetate Fractions as Cosmetic Ingredient)

  • 강희철;주광식;주세진;하영애;김학수;차미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43-52
    • /
    • 2017
  • 천연물인 후박(Magnolia obovata Bark, M. obovata Bark)을 에탄올 추출 및 농축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층으로 분획한 분획물이 피부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미백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미백 화장품 원료 소재로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후박의 에탄올 농축물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하여 유효물질 honokiol을 HPLC로 정량하였다. 후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in vitro 미백활성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외 멜라닌 분비를 감소시켜 $IC_{50}=11.05{\mu}g/mL$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에 독성을 가지지 않는 최대농도인 $12.5{\mu}g/mL$ 처리 시 최대 약 60%의 멜라닌 분비 억제로 세포 외로 분비되는 멜라닌의 양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alpha}-MSH$ (50 nM) 처리한 그룹과 비교하여 $IC_{50}=10.85{\mu}g/mL$로 우수한 세포 내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세포에 자극이 되지 않는 최대농도인 $12.5{\mu}g/mL$ 처리 시 최대 약 59%의 멜라닌 생성 억제를 확인하여 세포 외 멜라닌 분비 뿐만 아니라 세포 내에 존재하는 멜라닌의 양 또한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alpha}-arbutin$의 경우, $IC_{50}=59.99{\mu}g/mL$로 후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양성대조군 ${\alpha}-arbutin$과 비교하여 우수한 세포 내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임상연구의 경우, 후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적용한 화장품 크림은 (주)대한피부과학연구소(KDRI) 윤리위원회의 IRB 승인(KDRI-IRB-1536) 후 반복 첩포를 통한 인체 누적첩포시험을 진행하여 무감작 물질로 확인하였다. 또한 후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적용한 화장품 크림은 대조군 대비 국소적 미백효과와 신뢰성 있는 피부 안전성을 보여주었다. 최종적으로 후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미백효과를 가지는 화장품 소재로 충분한 이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