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porate learning transfer climat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디자이너 대상 디자인 역량강화교육과 개인성과와의 관계에서 학습 자기효능감과 기업 학습전이풍토의 매개효과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competency strengthening education for designers and individual performanc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self-efficacy and corporate learning transfer climate)

  • 김건우;김선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897-90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학습 자기효능과 기업의 혁신적 지식전달과 같은 학습전이풍토가 디자이너의 특성을 고려한 디자인 역량강화교육과 개인성과와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을 증명하는 것에 있다. 이는 단순히 교육의 만족도를 조사하는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디자이너의 특성에 근거한 학습 자기효능감과 디자이너가 조직의 문화에 영향을 주는 학습전이 풍토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하여 디자인 교육훈련의 의미를 확장하는데 의의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7개의 가설을 설정하였고, 그 결과 디자이너 대상 디자인 역량강화 교육과 학습 자기효능감, 기업의 학습전이풍토는 개인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이 기업 이러닝 교육의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업무환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Learning Transfer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in Enterprise e-Learning -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

  • 박대범;구자원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3호
    • /
    • pp.1-25
    • /
    • 2018
  • 본 연구는 이러닝 학습 경험이 있는 국내외 기업 종업원 390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유용성, 사용용이성, 자기효능감 및 업무환경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각 요인의 학습전이에 대한 직접효과와 더불어 자기효능감과 업무환경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러닝 학습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은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보였으며, 상사 및 동료 지원과 조직 분위기에도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기효능감은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보였으며, 상사 및 동료 지원과 조직 분위기도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유용성 또한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매개효과 분석결과 자기효능감과 업무환경은 각각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학습전이에 대해 모두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사점은 첫째, 기업교육에서 보편화된 이러닝에 대해 기술수용 단계를 벗어나 수용 후 실질적인 학습전이 효과에 대한 영향요인을 반영한 새로운 연구 모형을 제시하였다. 기술수용모델에서 외부 특성요인에 대한 매개변수로 사용되는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 용이성을 독립변수로, 외부 특성요인으로 연구되었던 자기효능감과 조직 환경을 매개변수로 사용한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 둘째, 기술수용과 학습전이에 관한 연구는 단일국가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26개 국가의 표본을 대상으로 다양한 샘플을 사용하여 연구 모형을 검증함으로써 신뢰성을 높였다. 셋째, 기존의 연구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을 수용의향 및 학습전이의 주요 결정요인으로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수용된 정보기술에 대해 학습자 및 환경 요인의 매개효과를 탐색하여 지각된 유용성, 사용용이성의 학습전이에 대한 경로를 강화하고 보완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다양한 국가의 표본 분석을 기반으로 향후 국제비교연구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