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n seed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9초

고품질 검정 찰옥수수 신품종 "흑진주찰" (A Black Waxy Hybrid Corn, "Heukjinjuchal" with Good Eating Quality)

  • 정태욱;송송이;손범영;김정태;백성범;김정곤;김선림;김시주;김성국;박기진;신현만;허창석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599-602
    • /
    • 2009
  • 흑진주찰(수원찰57호)은 자식계통 KBW24을 종자친으로하고 KBW2를 화분친으로 하여 교잡된 단교잡종이며 고품질 검정찰옥수수이다. 흑진주찰은 2003년 생산력검정시험을 거쳐, '06~'08년 3년 동안 전국 5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8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으로 결정되었다. 이 품종의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흑진주찰의 출사일수는 74일로 중만숙종에 속하며 이삭 길이가 16.0 cm로 찰옥1호와 비슷하다. 2. 품질특성에 있어서 흑진주찰은 과피두께가 얇고 경도가 낮아 씹힘성이 부드러우며 관능검사에서 전체적 기호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내재해성 및 내병성에 있어서 흑진주찰은 그을음무늬병에 강하고 도복에도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4. 흑진주찰의 수량성은 3년, 5개 지역 지역적응시험 결과 평균 수량성은 찰옥1호와 비슷하였다. 5. 모 부본 재식비율을 2:1, 3:1로 모, 부본 동시 파종하여 채종시험을 한 결과, 흑진주찰의 모본 출사기와 부본의 화분 비산기간이 잘 일치하였으며 채종량은 모, 부본 2:1 파종이 ha당 1,220 kg이고 3:1은 1,4900 kg으로 3:1이 높게 나타났다. 6. 흑진주찰은 전국에서 재배가 가능하지만 강풍을 동반한 집중 호우 시 포장 배수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Effects of the Slow-releasing Fertilizer and Sowing Date on Waxy Corn "Mibaek 2" Propagated through Double Cropping without Tillage in the Middle Region of Korea

  • Lee, Jae-Wung;Hwang, Se-Gu;Moon, Hye-Rim;Kim, Ik-Jei;Kim, Young-H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4호
    • /
    • pp.477-484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low-releasing fertilizer and sowing date on waxy corn propagated through double cropping without tillage. "Mibaek 2" was sown for first cropping on March 25th, April 5th, and April 15th, and for second cropping on July 5th, July 15th, and July 25th in 2018-2019. In order to save labor, slow-releasing fertilizer was utilized only one time before sowing. The accumulated temperature from sowing to silking was about 590-700℃. It took 65-77 days when "Mibaek 2" was sown in early April, but the one sown in early July took 42-52 days. In the first cropping, the culm length and ear length caused by the sowing date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ut the kernel set length was the highest at 123 cm in the sowing district on April 5th. The weight of marketable ears was the highest at 100%, in addition to soil testing-based recommended fertilization. Meanwhile, in the second cropping, culm length, ear length, and yield were less compared to the first cropping. The culm length, kernel set length, ear length, and seed set length decreased as sowing date was delayed. The number and yield of marketable ears were the highest at 100%, in addition to soil testing-based recommended fertilization like in the first cropping. It has been found that securing yield by July 15th to finish the second seeding of the crop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is advantageous. Thes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farmers for the double cropping of waxy corn cultivation and management.

2002년 사료작물 수입적응성 인증품종의 생육기성 및 수동성 1. 조숙 양질 다수성 사료작물 옥수수 교잡종 “DK 537”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Recommended Cultivars by Imported Forage Crop Regional Yield Trials in 2002 I. Early Maturing, Good Qualify, and High Yield of Forage Corn Hybrid, “DK 537)

  • 성병렬;최기준;임용우;임영철;박근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47-252
    • /
    • 2002
  • “DK 537”has been selected by forage crop breeding team at the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NLRI), RDA and has been determined by the Deliberative Council of the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NACF) in 2002, as a new recommended hybrid which is early maturing, good quality and hi호 yield of corn for silag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hybrid are as follows ; 1. The seed coat is yellow and the mean of tasseling date is 5th of July, included in early maturing hybrid which is one day delayed than check cultivar, DK 501. The culm length is 246cm. It is resistant to lodging because of its low height from surface to ear. 2. DK 537 shows resistance to H. maydis and Maize Black-Streaked Dwarf Virus(MBSDV). It also shows strength to corn borer as much as DK 501 does. 3. Fresh yield. dry matter yield. and TDN per a ha are 50 tons, 16.9 tons, and 11.4 tons respectively. which are almost same yielding level of DK 501. Its percent ear to total dry matter is 50.8% at the same time. Through all these tests, we could make sure at DK 537 hybrid will be recommended as good forage crop.

Investigation of forage value and usability of soybean varieties for livestock

  • Park, Myoung-Ryoul;Seo, Min-Jung;Yun, Hong-Tae;Park, Chang-Hwa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20-220
    • /
    • 2017
  • Soybean (Glycine max (L.) Merill) is a very outstanding material crop with high protein and oil contents. We conducted this study to evaluate forage value and usability of soybean varieties as livestock forage. Three soybeans cultivars, OT93-26, Geomjeongsaeol, and Pungwon, were evaluated for forage use in this study, and Kwangpyeongok and Yeongwoo were used as check forage corn and rice, respectively. The whole soybean plants were harvested at the R5 (beginning seed development)- and R6 (full seed)-reproductive stages for analyzing forage usability and quality. Days to harvesting of the R5 stage-OT93-26 was the shortest among the tested crops while that of Yeongwoo was 122 days. The fresh and dry matter yields of all 3 soybeans were greater at R6 stage than at R5. Crude protein of the soybean cultivars harvested had a higher compared to the rice and corn regardless of the harvesting stage. Contents of crude fiber, neutral detergent fiber and acid detergent fiber of Yeongwoo had the lowest whereas Pungwon harvested at R5 were the highest. Among the soybeans, digestible dry matter, dry matter intake, and relative feed value of R6-harvested Geomjeongsaeol and Pungwon were high more compared to those at the R5-harvested, but in case of OT93-26 those at R6 stage were inversely measured rather than those at R5 stage. In conclusion, soybean can be used as s forage with high nutritive value for livestock. Moreover, Geomjeongsaeol can be applied to develop new forage soybean varieties with high nutritive value, and R6 stage is the optimum harvesting stage in yield and quality of the tested soybeans more than R5.

  • PDF

Performance of Imported Sweet Corn Hybrids in Korea

  • Seo, Seo-Jung;Yun, Yun-Sang;Lee, Lee-Su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05-310
    • /
    • 2002
  • The performance of 7 sugary (su) and 12 shrunken-2 (sh2) sweet com hybrids which are commercially grown in the United States was tested in Korea. The 100-seed weight of su hybrids (16.5-23.6 g) was much heavier compared to that of sh2 hybrids (10.9-17.5 g). The germination rate of su and sh2 hybrids at $25^{\circ}C$ ranged 93.3-100% and 86.7-98.9%, the emergence rate of su and sh2 hybrids in cold test ranged 78.9-97.8% and 62.2-97.8%, and field emergence rate of su and sh2 hybrids ranged 74.4-100.0% and 79.9-98.2%, respectively. In su hybrids,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germination rate at $25^{\circ}C$ and emergence rate in cold test or early growth. In contrast, in sh2 hybrids seed weigh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rly plant growth, while not with the germination rate at $25^{\circ}C$ or emergence rate in cold test and field. Most sh2 hybrids produced larger and more marketable ears compared to su hybrids althoug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hybrids in the same genotype. At harvest (24 days after pollination) soluble solids content of su hybrids (24.3-27.1 Brix %)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sh2 hybrids (13.8-18.0 Brix %), while total sugars of sh2 hybrids (21.4-28.6% on the dry weight basis) was much higher compared to su hybrids (2.4-15.9%). Considering germination and emergence rates, marketable ear production, and total sugar content, 'GCB 70' and 'Sweet Satin' in su hybrids and 'Ice Queen', 'Aspen', 'Sweet Magic', 'Bandit', 'Xtrasweet 82', 'Aspen', and 'Cambella 90' in sh2 hybrids performed better than other hybrids.

고추씨기름 대체 향미유 개발에 관한 연구 : 제2보. 고추향미유의 제조 (Development of the Seasoning Oil for Replacing Red Pepper Seed Oil : Manufacturing of Red Pepper Seasoning Oil)

  • 구본순;김덕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2-147
    • /
    • 2004
  • 고추씨기름의 수요는 날로 증가하는데 비하여 국내에서 고추씨의 수급은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고추향미유(red pepper seasoning oil, RPSO)의 개발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 동안 몇 군데 업체에서 이와 유사한 향미유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지만 이는 단순하게 매운맛만 부여했을 뿐 향이 전혀 없는 등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옥수수기름을 원료유로 하여 여기에 Oleoresin Capsicum과 Oleoresin Paprika를 첨가하여 기본적으로 매운맛과 고추 고유의 붉은 색상을 부여하였다(simulated seasoning oil, SSO1). 그러나 검붉은 고추 고유의 색상을 얻기 어려워 치자, 고량 등의 천연물로부터 주정추출법을 이용하여 색소를 추출한 후 유화 처리하여 별도로 제조한 검정색 천연색소를 첨가하였다(SSO2). 또한, 통고추가루와 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소량의 인산염을 처리한 후 열수추출 과정을 거쳐 얻어진 고추추출물을 monogly로 유화시켜 SSO2에 혼합함으로써 고유의 매운 맛을 강화하였다(SSO3).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제조된 향미유의 매운 맛과 색상은 고추씨기름과 유사하였으나 매운 향의 부여는 별도의 과정이 필요하였다. 이에 고추 가루와 고추씨를 동시에 이용하여 직화를 통한 roasting을 하고 여기에 옥수수기름 일부를 가하여 용출을 시도하였다(고추씨기름 원액, SSO4). 여기서 얻어진 고추씨기름 원액(SSO4)을 전체의 5%(w/w) 범위로 SSO3와 혼합하여 최종 RPSO를 제조하였다.

사료 단백질의 Fraction과 In situ 단백질 분해율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Feed Protein Fractions and In situ Protein Degradation Rate)

  • 이세영;정유석;송재용;박성호;성하균;김현진;고종열;하종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3호
    • /
    • pp.351-358
    • /
    • 2007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몇 가지 단백질 원료사료를 사용하여 단백질 fraction과 in situ 단백질 분해율을 구한 다음 이들 사이에서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원료사료는 대두박, 콘글루텐, 면실박, 카폭박 및 임자박이었다. 단백질 fraction은 CNCPS에서 제시하는 방법으로 구하였으며, in situ 단백질 분해율은 캐뉼라가 장착된 홀스타인 거세우 3두를 이용하여 반추위에서 원료사료를 4, 8, 12 및 24시간 배양하여 구하였다. 단백질 fraction 중 A fraction은 카폭박이 14.6%로 가장 높았고, 콘글루텐이 0.6%로 가장 낮았다(P<0.05). B1 fraction은 대두박이 8.27%로 가장 높았으며, B2 fraction은 대두박과 면실박이 74%로 가장 높았다. B3 fraction은 임자박이 40%로 다른 원료사료에 비교해 뚜렷하게 높았다. C fraction은 콘글루텐이 약 42.5%로 가장 높았다. In situ 조단백질 분해율은 대두박이 98%로 가장 높았고, 콘글루텐은 28%로 가장 낮았다. 단백질 fraction과 in situ 분해율 사이의 상관관계를 보면, 쉽게 용해되는 부분(A, B1 fraction vs a값) 사이에, in situ 조단백질 분해율과 소화가능한 단백질 fraction 사이에, 그리고 in situ 조단백질 분해율에서 a값을 제외한 값과 B2+B3 fraction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높았다(P<0.01).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단백질 fraction은 원료사료의 반추위내 분해율을 추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 더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더 많은 원료사료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본다.

포도씨유, 들깨유 및 옥수수유의 급여가 흰쥐의 체내 지질패턴 및 간조직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ape Seed Oil, Perilla Oil, or Corn Oil-Containing Diet on Lipid Patterns in Rats and Fatty-Acid Composition in Their Liver Tissues)

  • 강명화;박원종;이지현;정혜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1호
    • /
    • pp.3-10
    • /
    • 2005
  • 포도씨유의 생체 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식이급원이 상이한 들깨유 및 옥수수유를 흰쥐에게 급여하여 체내 지질패턴 및 간조직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식이군과 고지방 식이를 급여받은 쥐의 체중은 7주까지 꾸준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일반식이에 들깨유을 급여받은 쥐는 7주 후 체중이 감소하였고 다른 유지군을 급여받은 군들은 8주째부터 감소하였다. 식이섭취량 은 고지방 식이군 보다 일반식이군이 높았고 식이효율은 일반식이에 들깨유을 혼합하여 급여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청 지질패턴 분석결과, 총지질 농도는 들깨유을 혼합한 일반식이군과 고지방 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중성지방과 인지질 농도는 일반식이군에게 들깨유 급여시 유의적으로 낮았다. HDL-C은 일반식이군이 고지방 식이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일반식이군에 포도씨, 들깨유 및 옥수수유을 혼합하여 급여한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던 반면 고지방 식이군와 들깨유을 급여한 군에서 HDL-C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LDL-C은고지방식이군과 일반식이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는데, 특히 고지방식이에 들깨유을 급여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고 포도씨유 급여군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HDL-ChDL-C 수치가 고지방식이 군에서 다른 식이지방에 비하여 PHF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던 것은 혈중 지질패턴을유익하게 바꾸어준 결과이며, 이로 인하여 동맥경화인자인Al 지수가 CHF군에 비해 PHF군과 GSHF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간조직의 총지방, 총콜레스테를 및 중성지방 함량은 일반식이군은 들깨유군에서 가장 낮았고 그다음이 포도씨유군 및 옥수수유군 순으로 관찰되었다. 간조직의지방산 조성 분석결과 고지방식이군은 포화지방산은 감소하였고 단일불포화 지방산과 다가불포화 지방산은 일반식이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유지 급원에 따라함유하는 지방산 조성의 비율도 달라져 식이 급원에 의해 생체내 지방산 조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옥수수에 대한 정수 슬러지(Alum sludge)의 시용효과와 Aluminum이 옥수수의 유식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Treatment Sludge Application on the Growth of Korean Local Corn(Zeas Mays L.))

  • 장기운;구자공;임재신;김영한
    • 유기물자원화
    • /
    • 제3권1호
    • /
    • pp.73-83
    • /
    • 1995
  • 본 실험은 옥수수에 대한 정수장 슬러지 (Alum 슬러지)의 시용효과와 다양한 pH별로 용출된 alum슬러지 추출물이 옥수수의 유식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Alum슬러지와 부숙된 Alum슬러지 퇴비를 각각 1500kg/ha를 시용하여 옥수수를 재배한 결과 수량, 엽록소함량, 초장 등의 평가에서 대조구에 비해서 비효가 인정되었으며, 뚜렷한 비해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처리구별 옥수수의 종실에 대한 식품화학적 분석에서도 뚜렷한 성분 변화는 발견되지 않았다. pH에 대한 옥수수 유식물의 생육은 pH4 미만에서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저해가 나타났으며 무기이온의 흡수는 pH4 이하에서 크게 장해를 받는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alum슬러지의 추출물에서는 pH가 낮아지면서 지속적인 생육저해와 양이온 흡수저해가 나타났다. 또한 Aluminum함량이 100ppm 이하에서 극심한 생육저해가 나타났다.

  • PDF

옥수수의 발아과정중(發芽過程中) AMYLASE활성(活性) (A Study on Amylase Activities During Germination of Maize Seeds)

  • 최국지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2호
    • /
    • pp.107-111
    • /
    • 1984
  • Corn malt제조(製造)의 기초연구(基礎硏究)의 일환(一環)으로 발아(發芽) 과정중(過程中) 옥수수의 외관형태(外觀形態) 및 건조(乾燥) 중량(重量)의 변화(變化), 전분(澱粉) 및 가용성당(可溶性糖)의 변화(變化), ${\alpha}$- 및 ${\beta}$-amylase의 경시(經時) 활성변화(活性變化)를 보리와 비교(比較)하면서 조사(調査)하였다. 발아(發芽) 과정중(過程中) 배유부(胚乳部)의 전분(澱粉) 분해(分解)는 보리에 비(比)하여 옥수수가 $2{\sim}4$일(日) 늦게 진행(進行)되었으며 분해속도(分解速度)는 약(約) $20{\sim}30%$ 낮았다. 발아종자(發芽種子)에 존재(存在)하는 가용성당(可溶性糖)은 발아(發芽) 초기(初期)에 일시적(一時的)으로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으나 Jelly pandam이외(以外)의 나머지 시료(試料)는 전분(澱粉)의 분해(分解)가 시작(始作)되면서 현저(顯著)하게 증가(增加)하였다. ${\alpha}$- 및 ${\beta}$-amylase활성(活性)은 발아경과(發芽經過)에 따라 증가(增加)하여 발아(發芽) 8일후(日後)에 최대(最大) 활성(活性)을 나타내었다. Jelly pandam은 낮은 amylase활성(活性)을 나타내었으나 보리와 황옥(黃玉)옥수수는 거의 비슷한 활성(活性)을 나타냈으며 ${\beta}$-amylase활성(活性)은 황옥(黃玉)이, ${\alpha}$-amylase활성(活性)은 보리가 각각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