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pper slag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32초

케이슨 속채움재로서 동슬래그의 안정성 검토 (The Stability of Copper Slag in The Caisson Filling Material)

  • 노기만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1370-1376
    • /
    • 2010
  • In this study, usability and stability in the caisson filling material were reviewed that copper salg(one million tons per one-year) were produced by smelter. In order to complete these studies, chemical and physical comparing analyses were performed by sea-sand materials as to the materials suitability, After construction, the structural displacement of caisson was measured by the instrument and was examined for stability.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determined that copper slag is eco-friendly, and can be used as recycled alternative to aggregates materials.

  • PDF

동제련 슬래그를 혼입한 모르타르의 강도 특성 연구 (The Study on Properties of Mortar with Copper Smelting Slag)

  • 박조범;지석원;서치호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63-268
    • /
    • 2000
  • Recently, the recycling of the by-products was attempted to various fields. One of the major industry, the copper manufacturing industry produced a lot slags. in this study, the copper smelting slag was used to use practically application for the aggregate of concrete. To find the optimum mixing ratio of mortar with the copper smelting slag as substitution for sand, the mixing ratio was increased 1:2 to 1:5 step by step and every mixture was contained 5 steps sand substitutive ratio. The substitutive ratio of sand was increased 25% st대 by step from 0% to 100%.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shown as follows. 1. In the every mixture, as the substitutive ratio was increased, the flow was decrease 3.64% from 18cm, and the unit content weigth was increased 5.5% in average. 2. The property of the strength was judged that it was more affected W/C and mixing ratio than the copper smelting slag.

  • PDF

동슬래그 골재를 함유한 콘크리트의 내구성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Durability of Concrete Using Copper Slag Aggregates)

  • 이문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773-784
    • /
    • 2008
  • 동의 제련과정에서 생성되는 동슬래그의 건설용 골재 활용이 국내에서도 2004년부터 가능하게 되었으나, 현재까지 장기적인 안정성 즉, 내구성에 대한 충분한 판단자료가 미흡하여 실용화를 저해하는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슬래그를 천연모래 (잔골재)의 부분 치환재로 사용한 콘크리트의 내구적 특성을 18 MPa 및 27 MPa급 상용 콘크리트에 대해 촉진 및 폭로 실험을 수행하여 규명하고, 이를 통해 동슬래그 콘크리트의 실용화를 가속시키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동슬래그 30% 치환조건에서는 대부분의 천연모래를 사용한 배합과의 내구특성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순모래를 사용한 경우는 대체로 50% 치환조건과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8년간 진행된 폭로실험 결과에서도 천연모래만을 사용한 경우와 대비하여 동등한 정도의 내구성을 확보함은 물론, 저품위인 18 MPa 콘크리트의 경우에도 피복두께 20 mm까지 중성화에 도달하는 수명을 50년 이상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동제연소 전노슬래그로부터 동의 회수(II) (Recovery of copper from the copper converter slag(II))

  • 오재현;김만;김미성;유택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권4호
    • /
    • pp.33-41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전로슬래그 중에서 슬래그 부산에 의한 Cu의 회수 및 자산, 체질에 의한 Cu의 조기회수방법을 조사하였으며, 부산공정 시 부산용수로서 폐수사용의 가능성을 검사하였다. 또한 부산 등의 산별과정에 의해 얻어진 산물의 화학분석을 통하여 각 성분별 신화력을 조사하였다. 건식자산의 경우 300 Gauss에서 2시간 영각고화 슬래그에 있어서는 Cu 품위 60.7%, 회수율 39.2%의 정광을 얻고, 10시간 영각 고화 슬래그에 있어서는 Cu품위 54.0%, 회수율 17.9%의 정광을 얻었다. 습식자산의 경우 600 Gauss에서 10시간 영각 고화 슬래그의 경우 Cu품위 64.1%, 회수율 1.8%의 정광을 얻었다. 마광을 행한 영각 고화 10시간 시과에 대해, 사상산물에 대새서는 자산을 행하였고, 사하산물에 대해서는 부산을 행하였다. 이 결과 Cu품위 45.2%의 정광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때 회수율은 93.5%를 나타냈다. 부산정광에서 Cu품위가 높을수록 As 품위는 상승하였으냐, Zn 및 Fe 품위는 감소하였으며, Pb 품위는 무관하였다. 이 결과 Cu품위 37.74%의 정광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때 회수율은 94.79%를 나타내었다.

  • PDF

동제련 슬래그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경시별 유동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 Study on the Flowing Characteristic of Concrete with Copper Smelting Slag)

  • 김정욱;지석원;이세현;전현규;유택동;서치호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19-324
    • /
    • 2001
  • Recently new practical use way of industry product is required. In this study, to find flowing property of slump, unit weight, the air amount, compressive strength etc. Compressive strength 240, 270kgf/$cm^{2}$, slump 8$\pm$2.5(I), 152$\pm$.5(II)cm, mixing ratio of copper smelting slag decided by 0, 25, 50, 75, 100% graduall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follows ; 1. Unit weight increased 2.2%~4.4% according as mixing ratio of copper smelting slag increases. 2. Slump increased about 2~5% as the mixing ratio increased gradually 3. Compressive strength was increased about 4~28% in copper smelting slag mixing ratio 25~50% and 8~20% decreased more than mixing ratio 75%.

  • PDF

동제연소 전노슬래그의 생성에 관하여 -동제연소 전노슬래그로 부터 동의 회수(I)- (Characterisitics of the Copper Converter Slag -Recovery of Copper from the Copper Converter Slag(I)-)

  • 김만;김미성;유택수;오재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권1호
    • /
    • pp.14-22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전로슬래그를 부선공정하기 앞서 전로슬래그의 물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회소코자 하는 Ca 성분의 분포특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슬래그의 재용융시 반응특성과 수용액중에서의 특성 및 마광시 필요한 Work Index값을 구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로슬래그의 조직은 금속동(Cu), 황동광(Cu$_{2}$S), 자철광(Fe$_{3}O_{4}$), Fayalite(2FeO${\cdot}$S$_{1}O_{2}$) 및 편석부의(silicate 와 철산화물0로 되어 있으며, 이중 슬래그 내부로 혼입된 매트상들은 Cu 단상, Cu$_{2}$S 단상, Cu-Cu$_{2}$S 이혼공창화직으로 되어있다. 2. 전로슬래그는 재용융시 720$^{\circ}C$ 부근에서 Magnetite가 Hematite로 산화되어 Fayalite와 고락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3. 전로슬래그는 수용액 중에서 용액의 pH를 상승시키며, 용액중의 중금속이온을 흡착하였다. 4. 본 연구는 사용한 전로슬래그의 work index는 10시간 영각 고화 슬래그의 경우 25~27 kWh/ton이고, 2시간 영각 고화 슬래그의 경우는 35kWh/ton이다. 5. 전로슬래그의 성분별 마광특서을 조사한 결과, Faylite(2FeO${\cdot}SiO_{2}$에 비해 Magnetite(Fe$_{3}O_{4}$가 마광도가 낮았다.

  • PDF

Total value recovery in the copper smelting and refining operations

  • Kim Joe. Y.;Kong Bong S.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fusion technology
    • /
    • pp.590-597
    • /
    • 2003
  • Processing and smelting of copper containing sulphide concentrates result in the accumulation of impurities into various process streams. All primary copper smelters and refineries around the world produce significant amounts of slag, dust, sludge, residues and others, which contain copper and precious metals. The recovery of these valuable metals is essential to the overall economics of the smelting process. Physical, chem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zation of particular slag and Cottrell dusts from primary smelters and $Dor\'{e}$ furnace (TBRC) slag and Pressure Leached Anode slimes from a copper refinery have been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basic behind the recovery processes. Various process options have been evaluated and adapted for the treatment of slag from different smelting furnaces and Cottrell dusts as well as the intermediate products from copper refineries. Besides the hydro- or pyro-metallurgical treatments, the above mentioned physical separation options such as magnetic, gravity separation, flotation and precipitation flotation processes have been successfully identified and adapted as the possible process options to produce a Cu-rich or precious metal-rich concentrates for in-house recycling and other valued by-product for further treatment. The results of laboratory, pilot plant and production operations are presented, and incorporation of several alternative flowsheet is discussed in this paper.

  • PDF

MINERAL PROCESSING and COPPER EXRACTIVE METALLURGY Complete Metal Recovery

  • Kim, J.Y.
    •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3년도 추계정기총회 및 국제심포지엄
    • /
    • pp.22-34
    • /
    • 2003
  • Processing and smelting of copper containing sulphide concentrates result in the accumulation of impurities into various process streams. All primary copper smelters and refineries around the world produce significant amounts of slag, dust, sludge, residues and others, which contain copper and precious metals. The recovery of these valuable metals is essential to the overall economics of the smelting process. Physical, chem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zation of particular slag and Cottrell dusts from primary smelters and Dore furnace (TBRC) slag and Pressure Leached Anode slimes from a copper refinery have been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basic behind the recovery processes. Various process options have been evaluated and adapted for the treatment of slag from different smelting furnaces and Cottrell dusts as well as the intermediate products from copper refineries. Besides the hydro- or pyre-metallurgical treatments, the above mentioned physical separation options such as magnetic, gravity separation, flotation and precipitation flotation processes have been successfully identified and adapted as the possible process options to produce a Cu-rich or precious metal-rich concentrates for in-house recycling and other valued by-product for further treatment. The results of laboratory, pilot plant and production operations are presented, and incorporation of several alternative flowsheet is discussed in this paper.

  • PDF

잔골재를 동슬래그로 대체한 콘크리트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Concrete Substituting Copper Slag for Fine Aggregate)

  • 배주성;김남욱;고상훈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51-158
    • /
    • 2007
  • 최근 들어 정부의 환경정책이 폐기물의 발생량을 줄이되 발생되는 산업부산물을 적극적으로 재활용하는 자원순환형 폐기물 관리로 추진됨에 따라 산업 각 부분에서 발생되는 산업부산물의 재활용에 대한 연구 및 적용성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잔골재의 대체재로 주목 받고 있는 동슬래그는 본격적인 활용이 진행된다면 잔골재 수급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되나 천연골재에 비해 높은 비중 및 대체율이 30%를 초과하면 재료분리가 발생하는 등의 단점 또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슬래그의 혼입 시 발생되는 블리딩의 발생을 혼화제의 사용을 통하여 억제하고 압축강도 시험 결과 등의 종합적인 고찰을 통하여 잔골재 대체시의 동슬래그의 적정 혼입률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동제련 슬래그를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유동특성에 관한 연구 (The Fluidity Properties of High Strength Concrete adding Copper Slag as Mineral Admixture)

  • 이동운;윤종진;김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271-27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고강도 콘크리트에 광물성 혼화재로서 동제련 슬래그를 혼입하였을 때 유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동제련 슬래그를 고강도 콘크리트의 결합재로 사용하여 10 %, 20 %, 30 %, 40 %, 50 %를 시멘트로 대체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굳지않은 콘크리트에서 슬럼프플로, 500mm도달시간, V-Funnel과 U-Boxt시험을 실시하여 유동성 및 충전성을 알아보았고, 굳은 콘크리트에서는 재령 3, 7, 14, 28일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의 실험결과, 동제련 슬래그를 광물설 혼화재료로 혼입한 콘크리트의 굳지 않은 콘크리트 특성을 살펴보면 동제련 슬래그의 치환율이 30%까지는 유동성이 증가하였으며, 충전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굳은 콘크리트의 특성을 살펴보면 동제련 슬래그의 치환율이 30 %일때까지 모든 재령에서 압축강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동제련 슬래그의 치환율이 30%를 초과하였을 때는 유동성, 충전성 및 압축강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동제련 슬래그의 최적 치환율은 30 %이내가 적정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