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pepoda

검색결과 287건 처리시간 0.022초

Artotrogus gordoni n. sp. (Copepoda: Siphonostomatoida: Artotrogidae) Assocaited with the Bryozoan Schizosmittina cinctipora (Hincks) from New Zealand

  • Kim, Il-Hoi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5권1호
    • /
    • pp.5-9
    • /
    • 2009
  • Artotrogus gordoni n. sp. is described as an associate of the bryzoan Schizosmittina cinctipora (Hincks, 1885) collected from an intertidal shore in New Zealand. The new species is similar to A. sardae McKinnon but distinguishable from it by the different shapes of antennule where the first segment is the longest and urosome where the anal somite is distinctly narrower than the genital double somite and posterolateral processes on the genital double somite which is tapered and much more developed than in A. sardae.

Taxonomy on Freshwater Canthocamptid Harpacticoids from South Korea V. Genus Bryocamptus

  • Lee, Ji-Min;Chang, Cheon-You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2권2호
    • /
    • pp.195-208
    • /
    • 2006
  • Five freshwater harpacticoid species of the genus Bryocamptus are identified as one of the serial taxonomic studies on the family Canthocamptidae in South Korea: B, zschokkei caucasicus (Borutzky, 1930), B. nivalis (Willey, 1925), B, pacificus Ishida, 1992, B. vejdovskyi (Mrazek, 1893) and B. umiatensis Wilson, 1958. Bryocamptus pacificus, B. vedjovskyi and B. umiatensis are newly known from Korea. A key to the species of the genus Bryocamptus in Korea is provided.

남한강에 서식하는 몰개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Cyprinidae)의 개체군 생태 (Population Ecology of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Cyprinidae) in the Namhan River, Korea)

  • 변화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67-373
    • /
    • 2012
  • 몰개(Squalidus japonicus coreanus)의 개체군 생태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2011년 1월부터 12월까지 남한강(양평군 양평읍 창대리)에서 조사하였다. 본 종은 하천 하류에 분포하며 하상구조는 주로 모래로 이루어져 있었다. 서식지 수심은 80~120cm이었고 유속은 0.14~0.38m/sec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성비는 1 : 0.82 이었고 산란기는 6~7월이며 산란기 수온은 $18.5{\sim}24.3^{\circ}C$이었다. 만 2년생 이상부터 성적 성숙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전장이 34~50mm의 집단은 만 1년생, 51~74mm의 집단은 만2년생, 75mm 이상은 만 3년생으로 추정된다. 포란수는 평균 1,871개이었고 먹이생물은 남조류(Cyanophyta), 녹조류(Chlorophyta), 규조류(Bacillariophyta), 윤충류(Rotatoria), 갑각류(Crustaceae), 요각류(Copepoda), 수서곤충(Aquatic insect)에 속하는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파리목(Diptera), 선충류(Nematoda) 등이었다. 잡식성이었으며 깔다구류(Chironomidae) 유충을 주로 섭식하였다.

가을-겨울철 황해 북부의 동물플랑크톤 시공분포 특성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Northern Yellow Sea During Autumn and Winter)

  • 임동현;윤원득;양준용;이윤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39-344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중국 간의 황해 환경에 대한 조사 필요성에 의하여 공동으로 수행한 결과 중 일부이다. 계절에 따른 황해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변동을 보기 위하여 1998년부터 2003년까지 6년에 걸쳐 매년 1회 3개 선 24개 정점에서 동물플랑크톤을 채집하였다. 채집된 동물플랑크톤 시료는 일정 비율로 분할 후 생물량을 측정하였으며, 1998, 2000, 2002년 등 3개년에 걸쳐 주요 분류군의 경우 종수준까지 동정하였고, 1999, 2001, 2003년 등 3개년은 주요 분류군 수준까지 동정하였다. 이러한 결과에서 황해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분포 변동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였다. 조사시기에 따른 공간적 분포 양상에 있어 반복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가장 중요 분류군인 요각류의 경우 한국측 해역에서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모악류의 경우 중국측 해역에서 높았다. 현 결과에서 조사시기 동안 황해를 대표하는 요각류는 Calanus sinicus, Paracalanus parvus s.l., Oithona atlantica, Corycaeus affinis 등 4종으로 이들 종의 밀도 변화가 수산자원의 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할 수 있다.

  • PDF

중국의 모식산지에서 채집한 갈고리노벌레류 Canthocamptus mirabilis Sterba의 재기재 (Redescription of Canthocamptus mirabilis Sterba (Copepoda, Harpacticoida), Based on the Topotypic Material from China)

  • Chang, Cheon-You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7권1호
    • /
    • pp.1-11
    • /
    • 2001
  • 동아시아의 계류와 하천에 우점적으로 서식하는 딱정장수노벌레속 Canthocamptus (요각아강, 갈고리노벌레목)의 mirabilis 종군은 Attheyella속과의 중간 형질을 나타내는 특이한 분류군으로서, 이소적 또는 측소적으로 매우 빠르고 다양하게 종분화한 것으로 최근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대표종이라 할 수 있는 C. mirabilis Sterba가 매우 불완전하게, 그것도 암컷만으로 기재되었고 모식이 남아있지 않아서 이 종군의 분류에 많은 지장과 혼란이 있어 왔다. 저자는 중국 북경 근교의 모식산지에서 새롭게 채집한 표본을 근거로 재기재를 하였고, 이를 통해 앞서 일본산 표본을 근거로 하여 작성되었던 과거의 재기재와의 차이점을 열거함으로써 일본산 표본들은 별개의 종임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본 종군에 속하는 여하 종과의 형태적 차이와 유연관계에 대하여서도 간략히 고찰하였다.

  • PDF

옥정호 육봉형 은어 Plecoglossus altivelis(Pisces: Osmeridae)의 성장에 따른 식성 및 섭식기관의 변화 (The Change of Feeding Habits and Feeding Organ of Land-locked Plecoglossus altivelis (Pisces: Osmeridae), in Relation to Growth in the Lake Okjeong, Korea)

  • 고명훈;김익수;박종영;이용주
    • 생태와환경
    • /
    • 제40권2호
    • /
    • pp.337-345
    • /
    • 2007
  • 2004년부터 2005년에 걸쳐 옥정호 육봉형 은어(Plecoglossus altivelis)의 성장에 따른 식성 및 섭식기관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호소에 서식하는 체장 $25{\sim}40$ mm의 후기자어는 요각류, 물벼룩류 및 윤충류를 주로 섭식하였고, 체장 $50{\sim}60$ mm의 치어는 파리목의 깔다구류, 요각류 및 물벼룩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반면에 추령천에 소상한 $60{\sim}70$ mm의 치어는 동물성 먹이와 조류를 같이 섭식하였으며, 70mm 이상의 미성어는 Synedra, Cymbella, Navicula 및 Pinnularia와 같은 부착 조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또한 성장 및 먹이생물과 관련하여 이(teeth)와 위 (stomach)의 형태도 바뀌었다.

팔당호에서 인공 수초재배섬 설치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군집 변화 (Changes of Zooplankton Community in an Artificial Vegetation Island of Lake Paldang)

  • 유경아;박혜경;변명섭;전남희;최명재;윤석환;공동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39-347
    • /
    • 2007
  • Zooplankton community dynamics were studied after establishment of an artificial vegetation island (AVI) in Lake Paldang, from April 2005 to November 2006. There were distinct seasonal and inter-annual changes of total zooplankton abundance at the survey site. Total zooplankton abundance rapidly increased in spring and fall, while it remained low throughout winter. During summer, the dynamics of zooplankton community seemed to be largely affected by hydrological parameters such as, precipitation and inflow. Total zooplankton abundance and biomass below AVI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pelagic zone (L1) in Lake Paldang. Copepoda and cladocera represented the main bulk of the zooplankton community from summer to fall at the both sites. Copepods were more dominant at AVI area, while cladocera were more dominant at pelagic zone (L1). Water quality, prey and habitat condition, species competition between zooplankton seemed to play important roles in dominance of the copepoda and cladocera in zooplankton community at AVI area. Our results conclude that artificial vegetation island provide the stable habitat and besides phytoplankton, diverse food to zooplankton, and consequently influence the diversity and richness of zooplankton community.

한강 수계 주요 댐호에서의 동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와 천이 (Structure and Success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Several Artificial Lakes in the Han River System)

  • 유경아;박혜경;공동수;황순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850-859
    • /
    • 2010
  • Structure and succession of zooplankton community studied by hydraulic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targeting the five lakes in the Han river system from March to December 2008. Results separated by river-type lake and lake-type lake depending on the type of hydraulic, Paldang lake and Cheongpyeong lake were river-type lake, while Chungju lake, Hoengseong lake and Doam lake was lake-type lake. The Paldang lake was a eutrophic lake, zooplankton community density and species number were the most among the five lakes. Relative dominance of the rotifera was the largest and the yearly first dominant species was a small cladocera Bosmina longirostris. The Cheongpyeong lake was a mesotrophic-eutrophic lake,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zooplankton community changes were similar the Paldang lake. Relative dominance of the cladocera was the largest and the yearly first dominant species was a small cladocera Bosmina longirostris. The Chungju lake was a oligotrophic-mesotrophic lake, zooplankton community density was the least among the five lakes. Relative dominance of the copepoda was the largest and the yearly first dominant species was a large cladocera Daphnia galeata. The Hoengseong lake was a oligotrophic-mesotrophic lake, relative dominance of the rotifera was the largest and the yearly first dominant species was a small cladocera Bosmina longirostris. The Doam lake was a mesotrophic-eutrophic lake, zooplankton community density showed dramatic difference at the investigation time. Relative dominance of the rotifera was the largest and the yearly first dominant species was the copepoda Nauplius.

요각류 Paramphiasella vararensis(T. Scott) (Hapacticoida: Diosaccidae)의 유생 발생: I. nauplius 유생의 발생 (The larval development of Paramphiascella vararensis(T. Scott) (Copepoda: Harpacticoida: Diosaccidae) reared in laboratory: I. Larval development of nauplius stages)

  • 정민민;이화자;김형신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5권3호
    • /
    • pp.233-237
    • /
    • 2000
  • Harpacticoida 목, Diosaccidae 과에 속하는 Paramphiascella vararensis를 실험실내에서 배양하여 nauplius 단계의 유생 발생을 기술, 도시하였다. P. vararensis는 부화 후 VI단계의 nauplius 유생기가 관찰되었으며, 제 VI nauplius 단계 이후에는 copepodid로 탈피하였다. 22${\sim}$23$^{\circ}$C의 배양 온도, 33${\sim}$34ppt의 염분 농도 그리고 구멍 갈파래의 분말을 먹이로 급이하면서 사육한 결과, 부화 후 nauplius VI 단계까지 12일이 소요되었다. nauplius 유생의 형태는 납작하고 체장의 길이보다 체폭의 길이가 긴 타원형이며, 전방에 하나의 붉은색 안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크기의 범위는 35${\sim}$98${\mu}$m였다. 그리고 제 2촉각의 저절과 기절의 강모식에 의해 제 I nauplius 유생기에서 제 IV nauplius 유생기까지 발생 단계의 식별이 가능하며, 제 V nauplius 유생기와 제 VI nauplius 유생기는 제 2소악과 미부의 강모식에 의해 식별이 가능하였다. P. vararensis의 nauplius 유생기에서 제 1소악의 원기는 제 III nauplius 유생기에서 관찰되었으며,제 2소악의 원기는 제 V nauplius 유생기에서 관찰되었다.

  • PDF

하계 남해연안에 출현하는 Acartia속 요각류의 공간 분포 (Spatial distribution of Acartia(Copepoda, Calanoida) specie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during summer)

  • 최서열;서민호;신경순;장민철;서호영
    • 환경생물
    • /
    • 제37권3호
    • /
    • pp.299-308
    • /
    • 2019
  • 2012년 8월 1일부터 7일까지 한국 남해 연안의 목포에서 부산에 이르는 37개의 정점에서 채집된 Acartia속 요각류의 공간 분포 양상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A. erythraea는 용존산소가 2 mg L-1 이하인 반 폐쇄적인(가막만, 마산만)만에서 높은 출현 개체수를 보였다. A. sinjiensis는 엽록소-a 농도가 2 ㎍ L-1 이상인 반 폐쇄적인 만에서 높은 출현 개체수를 보였다. A. ohtsukai는 수온 26℃ 이상, 염분 30 이하일 때 높은 출현 개체수를 보였다. A. hongi, A. hudsonica는 수온이 27℃ 이하, 용존산소 5 mg L-1 이상인 해역에서 출현하였다. 이러한 결과 환경요인이 여름철 남해 연안에 출현하는 Acartia속 요각류의 공간적 분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