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operation tool

검색결과 573건 처리시간 0.021초

초소형 자유전자레이저 모듈에 있어서 위글러 구조에 따른 전자빔 특성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on Beam Dependent with the Structure of Wiggler in the Miniaturized Free Electron Laser Module)

  • 김영철;안성준;김대욱;김호섭;안승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319-1326
    • /
    • 2011
  • 상업용 3-D simulation tool(OPERA)을 이용하여 슬릿형 위글러가 장착된 초소형 자유전자레이저 모듈에 있어서 위글러 구조에 따른 전자빔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자렌즈의 중앙 전극에 일정한 potential을 인가하여 전자빔이 평행빔이 되도록 divergence를 줄여서 위글러에 입사시켰으며 위글러의 구조 의존성에 따른 위글러 내부에서의 전기장과 potential 분포를 계산하여 위글러에서의 전자빔 궤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소자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Circuit Model Parameter 생성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Circuit Model Parameter Generation Using Device Simulation)

  • 이흥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177-182
    • /
    • 2003
  • Flash memory는 device 특성상 peripheral circuit을 구성하는 transistor의 종류가 다양하고, 이에 따른 각 transistor의 동작 전압 영역이 넓다. 이에 따라 설계 초기의 전기적 특성 사양 결정을 위해서는, 실리콘상에서 소자의 scale down에 따른 전기적 특성을 선 검증하는 과정이 필수적이었으며, 이로 인해 설계 및 소자 개발의 기간을 단축하기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TCAD tool을 사용하여 실리콘상에서의 제작 공정을 거치지 않고, 효과적으로 model parameter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하여 전기적 특성 사양 결정과 설계 단계의 시간 지연을 감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성공적 TCAD tool적용을 위해 필요한 process/device simulator의 calibration methodology와 이를 flash 메모리 소자에 대해 적용 검증한 결과를 분석한다.

  • PDF

프로엔지니어(Pro/E) 기반 금형설계 지원 소프트웨어 툴 개발 (Development of A Software Tool for Supporting Metal Mold Design Based on The Pro/E CAD System)

  • 유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014-1020
    • /
    • 2012
  • 본 논문은 3D 캐드모델을 기반으로 작업자의 수작업 및 설계오류를 최소화하는 금형설계 지원 툴 개발에 초점을 맞춘다. 금형설계 지원범위는 자동차 산업의 프레스 금형설계 공정에서 필수 요소인 선직 곡면 생성 및 옵셋, 패딩력 자동산출, 수정사항을 반영하는 재료표 자동출력, 홀 가공데이터 자동 산출, 원소재 크기 출력 및 검증 등 이다. 개발한 시스템을 주요 범용 3D 모델러 중 하나인 프로엔지니어의 확장 메뉴형태로 탑재하기 위하여 프로엔지니어 API와 Visual C++를 사용하여 개발하였다.

다중 사용자용 VRML Authoring Tool 구조 설계 (Design on the Structure of VRML Authoring Tool for Multi-user)

  • 최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59-66
    • /
    • 2001
  • 본 논문은 네트워크에서 가상현실 입체영상을 응용하여 현실과 가까운 실감형 입체영상을 볼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또한 멀티미디어 영상분야에서 제작할 수 있는 저작도구의 구현을 목표로 하였다. 네트워크 가상현실 시스템은 원격지의 사용자에게 일관성 있는 가상의 세계를 제공하며, 군사ㆍ오락ㆍ네트웍게임ㆍ건축ㆍ쇼핑몰 등의 응용 분야에서 실감형 시스템으로 볼 수 없었던 것을 네트워크 가상현실 시스템의 가장 보편적 플랫폼 구조인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서 인터넷 상에서 가상현실 입체영상을 표현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네트워크 상에서 쉽게 응용할 수 있도록 저작도구를 설계하여 Library(Parser 및 Scene Graph생성)를 구축하고, 여러 사용자가 네트워크 상의 3차원 가상세계를 쉽게 구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연구 하였다.

  • PDF

전기품질개선을 위한 효율적인 고조파 진단 툴 개발 (Effective Harmonic Diagnose Tool for Power Quality Problems)

  • 설용태;이의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63-68
    • /
    • 2002
  • 본 연구는 산업용 전력계통에서의 전기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고조파 진단 툴의 개발에 대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계통의 다양한 운전상태에서 시뮬레이션과 계측을 통한 전기품질 분석에 적합하도록 구성하였다. 시뮬레이션은 PTW(Power Tools for Windows)를 이용하였고, 고조파 측정에는 Dranetz사의 PP-4300 장비가 RS-232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되어 시뮬레이션과 실측 데이터를 비교분석 할 수 있게 하였다. 케이블의 영상분 임피던스 등 미진한 입력자료는 수정된 T&D와 BICC를 이용하였고, IEEE표준 데이터가 변압기 입력자료 측정에 적용되었다. 제안된 시스템은 대규모 실제 산업용 수변전 계통에 적용한 결과 고조파 진단의 유연성과 효율성을 입증할수 있었다.

  • PDF

정보보호 시스템기반의 보안 수준 평가 도구(ISSPET) 개발 (Development of Security Level Evaluation Tool(ISSPET) Based on Information Security System)

  • 소우영;김완경;김석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911-1919
    • /
    • 2009
  • 현재의 정보보호시스템 위험 분석 수준 측정에 대한 시험 평가업무는 미국, 영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만 평가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위험분석 수준측정을 위한 인프라와 평가기술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보보안 위험분석 수준 측정 기술 및 평가방법에 대해 연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보안통제항목의 개발 및 이를 적용한 보안 수준 성능 평가 도구를 제시한다. 제시한 도구를 이용한 정보보호 시스템의 보안 관리 수준 분석을 통해 현 시스템과 보안 환경에 대한 보안 관리 수준을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매너교육을 위한 UCC 콘텐츠 활용제안 (The suggestion on the application of UCC contents)

  • 남숙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182-4187
    • /
    • 2010
  • 매너교육은 단순한 지식적 이론 전달이 아닌 실천 중심의 실용 가치를 지닌 교육이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매너교육의 활성화에 따른 다양한 교육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에 가장 부합하는 학습도구로서 UCC 콘텐츠의 활용을 제안하고 사례를 제시하였다. UCC콘텐츠를 활용한 매너 교육은 학생들에게 수업에 대한 관심과 흥미도 그리고 성취도 향상 차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제작 실습을 통해 학생들의 매너 의식이 고취되었으며, 매너를 고려한 긍정적인 행동 변화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새롭게 시도된 UCC 콘텐츠는 매너교육에 유용한 학습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며, 이에 매너교육의 기초 자료로서의 다양한 UCC의 활용을 제안한다.

기본간호학실습에서 학습성과 평가도구의 적용 사례: 의사소통능력 평가를 중심으로 (Application of the Evaluation Tool for the Performance Outcomes in Fundamental Nursing Practicum: A Case Study Focused on Evaluating of Communication Ability)

  • 김해진;천의영;김은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73-180
    • /
    • 2020
  • 본 연구는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에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시 의사소통능력 평가에 사용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구성하고 적용 결과를 기술한 사례연구이다. 문헌고찰과 전문가 검토를 통해 의사소통능력 평가도구를 구성하였고, 2019년 10월부터 11월까지 일 대학 기본간호학실습 교과목을 수강 중인 94명을 대상으로 적용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시 평가되어야 할 의사소통능력 항목으로 5가지 요인(자기 소개, 눈맞춤, 정서적 지지, 정보제공, 치료적 접촉)이 도출되었으며 활력징후를 측정하는 기본간호술 수행 시 평가된 의사소통능력은 5점 만점에 평균 3.96점으로 나타났다. 루브릭에 따른 학습성과 달성도는 전체 학생의 95.8%가 '중' 이상에 도달하여 목표 성취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졸업 시 역량으로 핵심기본간호술과 의사소통능력이 요구되는 현실에서, 기본간호학실습 교육과정에서 사용 가능한 의사소통능력 평가도구를 구성하고 적용하여 학습성과 달성도를 확인함으로써 학습성과 평가과정을 개선하고 체계적인 평가 체계를 구성하는데 중요한 근거를 제공하는 의의가 있다. 향후 본 연구에서 도출된 의사소통능력 평가도구의 타당성과 신뢰도 확보를 위한 연구, 다양한 평가도구와의 비교 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Measuring Tool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Nurses)

  • 김민영;최순옥;김은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38-147
    • /
    • 202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측정을 위한 검증된 도구가 부족한 실정으로 간호사의 간호환경 특성을 반영하면서 그 사용이 검증된 도구 개발이 필요함에 따라 한국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2019년 1월부터 12월까지 간호사 총 5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문헌 고찰 및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고, 타당성과 신뢰성을 측정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을 하였으며, IMB(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모델을 적용하여 개념 틀을 구성하였다. 그 결과 간호사로서의 자아개념(2 문항), 병원생활관리(4 문항), 건강에 대한 지식 및 정보(5 문항), 신체적·정신적 스트레스관리(3 문항), 근무적응(2 문항)의 5가지 요인 16 문항으로 도출되었다. 모델 적합도는 346.23 (��<.001), PNFI는 .60, PCFI는 .63으로 허용 기준을 충족했으며 RMSEA는 .10이었다. GFI .88, CFI .85, IFI .85는 기준치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모든 항목은 Cronbach의 �� .85로 안정적인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 한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측정도구는 간호 실무 측면에서 간호사의 건강 증진 행동을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될 것이며 간호사의 건강 증진 행동을 폭넓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부동산 투자가치와 사업타당성 분석기법 연구 -개발사업 사업타당성 분석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A study of real estate investment value and analytic technique -mainly by case study of real estate development projects-)

  • 이택수;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6128-6134
    • /
    • 2012
  • 부동산투자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서 정교하고 투명하게 투자가치와 성과를 분석할 수 있는 기법의 도입이 절실히 필요하게 됐다. 본 연구에서는 합리적이고 타당한 투자의사결정을 하기 위하여 신뢰도 높은 투자가치분석의 핵심이 되는 재무적 타당성 분석방안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동산 개발사업 사례와 자산관리사업 사례를 선정했다. 각 사례를 통해 손익이나 투자가치를 어떻게 분석했으며 변수에 따라 수익률과 현재가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과정을 추적했다. 분석 결과, 기존에 발달해 온 여러 기법들을 실제 개발프로젝트에 직접 적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해당 프로젝트에서 의사결정을 위해 가장 중요시되는 부분이 무엇인지 파악한 다음 여러 투자분석 기법들 가운데 가장 적절한 기법들을 복수로 선정한 뒤 각 투자분석기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대체적 및 보완적 기법들을 동원해 실제 투자가치분석에서 활용한다면 투자가치분석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일 것이라는 점을 발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