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oling period

검색결과 410건 처리시간 0.032초

혈희석 체외순환에 의한 개심수술: 16례 수술 경험 (Clinical Experience of Open Heart Surgery Under The Extracorporeal Circulation With Partial Hemodilution: Operation 16 Cases)

  • 유회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0권2호
    • /
    • pp.299-314
    • /
    • 1977
  • Clinical experience on 16 cases of open heart surgery under the extracorporeal circulation with mild or moderate hypothermia and partial hemodilution technique at the National Medical Center during the period from June 1976 to October 1977. Nine of sixteen were congenital heart disease and seven were acquired heart disease. The age of the patient ranged between 6 and 48 years. The body weight varied from 18.5kg to 60kg and body surface area 0. 79-1.70m2. The average priming volume of pump oxygenator was 2080 ml, which was consisted fresh ACD blood, buffered Hartmann`s solution, Mannitol, 50% dextrose in water and Vit. C. The average hemodilution rate was 27%. The average flow 2.3 L/min/m2 or 80 ml/min and the duration of perfusion varied from 31 min to 270 min with average of 107 min. The perfusion was carried out under the mild or moderate hypothermia using core cooling alone in 10 cases, core cooling and local myocardial cooling with $0-4^{\circ}C$ physiologic saline in 2 cases. From a hemodynamic point of view, the blood pressure dropped down around 80 mmHg after the initiation of perfusion follwed by increase to safety level and stable during the perfusion. The central venous pressure remained within normal limits. In most cases, hemoglobin and hematocrit decreased during and after the perfusion. Hemogiobin level was decreased, average of 20.6 %, hematocrit 18.6%, pletelets 55% postoperatively. Plasma hemoglobin increased moderately, from preperfusion average valve of 7.79 mg % to post-perfusion value of 54.7 mg %. Electrolytes changes during cardiopulmonary bypass showed definite hypokalemia but changes of Na, Ca were not definite. Arterial blood gas analysis during cardiopulmonary bypass suggested that the metabolic acidosis which was accompanied by respiratory alkalosis which was corrected postoperatively. As the opera tive complication, transient hemoglobinuria in 4 cases and neurological signs in 2 cases were all cured. There were 2 death cases and operative mortality rate was 12.5%.

  • PDF

고품질 DAST 결정성장과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rystal growth and properties of high quality DAST)

  • 윤선웅;연석주;김종흠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2-16
    • /
    • 2004
  • 본 실험은 대형의 고품질 DAST 결정을 위한 결정안정성과 재현성의 향상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DAST 결정은 냉각법에 의한 메탄을 포화용액에서 성장시켰으며, 4-methyl-n-methyl pyridinum tosylate의 축합상태로 합성하였다. DAST 분말은 piperidine이 존재한 상태에서 r-picoline. methyl p-tolune sulfonate 그리고 P-dimethylaminobenzaldehyde로부터 제조하였다. 이때 DAST $H_2O$의 생성을 피하기 위하여 dry Argon분위기에서 합성하였다. 이것은 DAST분자가 습한 분위기에서 결정화될 경우 결정구조는 중심 대칭이 되고 그러한 경우에 DAST 미세결정이 습기를 함유하면 2차 비선형 광학특성은 사라지기 때문이다. 우리는 성장방향을 (001)면으로 고정시켰다. 성장조건은 $H_2O$/day로 서냉시켰으며 기간은 4일 동안이었다. seed 결정의 크기는 $2.5\times 3.6\times0.4\textrm{mm}^3$이며 $10\times 10.5\times3.0\textrm{mm}^3$의 DAST 결정을 제조했다. 육성된 DAST는 빨간색이며 메탈릭그린처림 보이는 표면특성을 나타내였다.

1981年 夏季 東海沿岸域의 異常底水溫現象 (On the Abnormal Cooling Phenomenon in the Coastal Areas of East Sea of Korea in Summer,1981)

  • 홍철훈;조규대;양성기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17
    • /
    • 1984
  • 1981년 7월 7일~12일 기간중 동해에서의 해양관측 결과와 국립수산진흥원 (1961~1981년) 및 일본 기상청 자료(1975, 1981년)를 분석한 결과, 1981년 하계의 1$0^{\circ}C$ 등온선이 130 E선의 35 30 N 이남 해역에서 약 75m 이심에 나타났으나 이 이북 해역에서부터 20~30m로 급격히 상승했다. 한편, 1966~1981년의 130 E선 에서 35 N~37 30 N의 3정점의 깊이 100m의 수온표준편차는 2~4$^{\circ}C$로서 변동폭이 매우 컸다. 1981년 하계의 수온 편차는 표준 편자의 1.5배 이상이며, 수심 150m 이천은 평년에 비해 5~1$0^{\circ}C$ 낮았다. 특히 1$0^{\circ}C$ 등온선이 평년보다 20~120마일 남하하여 35 N~36 N 해역에 까지 이르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1981년은 약 15년 (1966~1981년) 동안에 처음 있는 이상 저수온년이었다.

  • PDF

IR 카메라 기반의 풍력발전용 고장검출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IR Camera based Fault Detection System for Wind Turbine Generator)

  • 김세윤;김성호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780-785
    • /
    • 2012
  • 최근 풍력발전은 전 세계적으로 전기의 생산을 위해 사용되는 신재생 에너지원 중 가장 빨리 성장하고 있는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풍력발전 시스템은 설치 후 약 20년 동안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며 따라서 장기간 운전할 경우, 풍력 발전기에서의 고장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특히 풍력발전 시스템의 너셀 내부에는 로터샤프트, 기어박스 및 발전기 등이 설치되며 이들 요소의 정상적인 동작을 보장하기 위한 각종 냉각 시스템이 설치된다. 만일 이들 냉각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된다면 전체 풍력발전시스템의 정상적인 동작을 보장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풍력발전 시스템 너셀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냉각장치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IR 카메라 기반의 풍력발전용 고장검출 시스템을 제안하고 실제 시스템의 구현을 통해 제안된 기법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부산광역시 국지적 기후 패턴에 대한 기온변화율과 불투수면의 영향 (Influences of Temperature Change Rates and Impervious Surfaces on the Intra-City Climatic Patterns of Busan Metropolitan Area)

  • 박선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99-217
    • /
    • 2016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13개 기상관측지점을 대상으로 1997~2014년 동안의 기온상승율과 하강율의 계절적 특성이 연간 기온변화 특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일별 기온 자료를 시계열적으로 단순화하기 위해 푸리에분석법을 적용하였는데, 이는 기상 자료와 같이 연속적으로 수집되는 시계열자료를 몇 개의 한정된 주요 파형으로 환원하여 자료를 단순화하는 수학적 기법이다. 부산광역시의 국지적 기온변화율은 대륙도에 의해 공간적으로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계절적으로는 3월에 가장 높은 기온상승율(평균 $1.121^{\circ}C/month$)을 보였고, 11월에 가장 가파른 기온하강율(평균 -$1.564^{\circ}C/month$)을 나타냈다. 지역적으로 최난월인 8월 평균기온에 지배적인 영향을 주는 7월 평균기온상승율과 대륙도가 높은 지역일수록 최난일이 일찍 출현한 것으로 보아, 해양의 영향이 적은 지역일수록 기온상승률이 높고 해양 인접 지역에 비해 연중최고기온에 도달하는 시기가 앞당겨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지역 관측 지점 전체를 평균한 연도별 분석 결과도 7월 평균기온이 높은 해일수록 최난일 출현은 시기적으로 앞당겨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도시화 정도를 나타내는 불투수면의 면적 비율 역시 기온의 연 변화와 통계적으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측지점의 불투수면 면적비율이 증가할수록 연평균기온이 높게 나타났고, 연평균 기온상승율과 하강율의 장기적 변동 폭도 크게 나타났다.

플라즈마 방식 열분해 가스화용융시설의 공정별 클로로벤젠 및 클로로페놀 배출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lorobenzene and Chlorophenol Behavior in Plasma Type Pyrolysis/Gasfication/Melting Process)

  • 신찬기;신대윤;김기헌;손지환
    • 환경위생공학
    • /
    • 제22권2호
    • /
    • pp.9-20
    • /
    • 2007
  • The incineration process has commonly used for wastes amount reduction and thermal treatments of pollutants as the technologies accumulated. However, the process is getting negative public images owing to matter of hazardous pollutants emission. Specially dioxins became a main issue and were mostly emitted from municipal solid wastes incineration. In this reason, pyrolysis/gasification/melting process i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of incineration process. The pyrolysis/gasification/melting process, a novel technology, is middle of verification of commercial plant and development of technologies in Korea. But the survey about the pollutant emission from the process, and background data in these facilities is necessary. So in this survey, t is investigated that the behavior of chlorobenzenes and chlorophenols in plasma type pyrolysis/gasification/melting plant of pilot scale. We investigated discharging behavior of each phase of chlorobenzene through each process in the plsasma type pyrolysis/gasification/melting process. From this result, it was found that about 99 percent of particle-phase chlorobenzene was removed, but on the other hand gas-phase chlorobenzene was increased by about 600 percent through heat exchanger, flue gas cooling, system and semi dry absorption bag filter(SDA/BF). Also, this investigation presented that di-chlorobenzene(DCB) tri-chlorobenzene(TCB), tetra-chlorobenzene(TeCB), penta-chlorobenzene (PCB), except mono-chlorobenzene(MCB) and hexa-chlorobenzene(HCB) were increased through the flue gas cooling system and the semi dry absorption bag filter(SDA/BF). It was investigated that concentration of particle-phase chlorophenol was decreased by about 66 percent, but on the other hand, concentration of gas-phase chlorophenol was increased by about 170 percent through heat exchanger, flue gas cooling system, and semi dry absorption bag filter(SDA/BF). Also, it was found that di-chlorophenol(DCP), tri-chlorophenol(TCP), and penta-chlorophenol(PCP) were increased through the flue gas cooling system, and the semi dry absorption bag filter(SDA/BF). It can be considered that small-scale pilot facility and short investigation period might cause the concentration increase through the flue gas cooling system and the semi dry absorption bag filter(SDA/BF). A further study on real-scale pilot facility and accurate investigation may be required.

생쥐배아의 동결보존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n Cryopreservation of Mouse Embryo)

  • 이여일;권영숙;박현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8권1호
    • /
    • pp.55-63
    • /
    • 2001
  •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embryonic stage, cryoprotectant, and freezing-thawing method on the rates of survival and development of the cryopreserved mouse early embryo and finally to establish the cryopreservation method of surplus embryos obtained during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Materials and Methods: Two to eight cell embryos were obtained from oviducts of mated $F_1$ hybrid female mice superovulated by pregnant mare's serum gonadotropin (PMSG) and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Two-step 1,2-propanediol (PROH), dimethylsulfoxide (DMSO) and 4-step PROH DMSO were used as cryoprotectant and dehydration and rehydration method of embryos, and slow-cooling or rapid-cooling method was used as frozen program. The survival rates of embryos were measured after thawing and rehydration, and the developmental rates of embryos were compared and observed during culturing embryos for 24, 48, 72, 96 hrs. Results: As for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rates of embryos according to embryonic stage, the survival rate of 2 cell stage in PROH and DMSO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4-8 cell (64.5% versus 62.1 %,79.7% versus 73.2%) (p<0.01, p<0.01), but the development rates of 4-8 cell embryos in PROH and DMSO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2 cell embryos for whole culture period (p<0.01) and the development rates of 4-8 cell embryos in PRO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2 cell embryos in DMSO (p<0.01). As for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rates of embryos according to cryoprotectant, the survival rate of 2 cell embryo in DMSO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PROH (74.4% versus 64.5%) (p<0.01), whereas the development rate of embryos was not differ till 24 hrs. The developmen1 rate from morular to hatching blastocyst, howev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ROH than in DMSO during 48 hr (p<0.01). The survival rate of 4-8 cell embryo was 62.1% in PROH and 73.2% in DMSO. The development rates of embryo in PROH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whole culture periods (p<0.01, 0.05). In respect to the effect of freezing and thawing program on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rates of embryos, method of slow cooling and rapid thawing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rapid cooling and rapid thawing. Conclusions: The survival rate of embryo in 2 cell stage was higher than in 4-8 cell stage, and PROH appears more effective cryoprotectant than DMSO because PROH showed better development rates of embryos in 2 and 4-8 cell stage. Moreover, slow cooling and rapid thawing method was considered as the best cryopreservation program.

  • PDF

금 합금 보철물의 교합면 삭제로 인한 임플란트-골 계면으로의 열전달에 관한 연구 (Study of heat transfer to the implant-bone interface induced by grinding of occlusal surface of implant gold prosthesis)

  • 조재영;강선녀;정창모;윤미정;허중보;전영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9-35
    • /
    • 2012
  • 연구 목적: 임플란트-골 계면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열은 골유착을 저해하여 임플란트의 실패를 유발한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임플란트 금 합금 보철물의 교합면 삭제시 임플란트-골 계면으로의 열전달 양상과 냉각 방식의 효율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온도 감지 장치 제작을 위하여 Internal cone 연결형태의 임플란트에 16개의 K형 열전대를 부착하여 아크릴릭 레진에 포매하였다. 치과용 금 합금과 주조용 abutment를 사용하여 교합면에 3개의 요철을 가지는 시편을 10개 제작하였고, 연결 나사를 이용하여 임플란트와 연결한 뒤 온도 감지 장치를 $37^{\circ}C$ 유지되는 수조에 위치시켰다. 저속 핸드피스와 green stone bur를 이용하여 30초 동안 보철물의 요철을 삭제하였는데, 무냉각군, 공기 냉각 군, 물 분사 냉각 군으로 나누어 요철을 삭제하였다. 보철물이 삭제 되는 동안 임플란트의 부위별로 온도가 0.05초 간격으로 기록되었고, 삭제를 멈춘 뒤에도 무 냉각 군의 경우 임계 온도인 $47^{\circ}C$ 이하로 온도가 하강할 때까지, 공기 냉각군과 물 분사 냉각군의 경우 삭제 중단 후 30초 동안 추가로 온도를 기록하였다. 냉각 방식에 따른 임플란트-골 계면의 온도를 알아보고, 임플란트의 부위별 온도변화의 유의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Turkey HSD 이용하여 95% 유의수준에서 사후 검증하였다. 결과: 무 냉각 군은 임플란트-골 계면의 온도가 $47^{\circ}C$ 이상으로 상승하였으며, 임플란트의 경부에서 유의하게 높은 열이 측정되었다(P>.05). 공기냉각군과물분사냉각군은 임플란트-골 계면의 온도가 $47^{\circ}C$ 이하로 유지되었다. 무 냉각 군에서 임플란트 경부의 온도가 $47^{\circ}C$에 도달되는 데는 약 $10.8{\pm}1.5$초가 소요되었다. 공기 냉각 군과 물 분사 냉각 군 사이에서는 임플란트-골 계면 온도의 유의차가 없었다(P>.05). 결론: 이상의 결과로부터 임플란트 금 합금 보철물의 교합면 삭제 시, 임플란트 주위 조직에 위해를 가할 수 있는 임계 온도 이상의 열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냉각 방식은 공기 냉각과 물 분사 냉각 모두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온도 측정을 통한 상용 쑥뜸의 자극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연소시간 및 연소온도를 중심으로- (Experimental Study on the Stimulating Effect of Commercial Moxa Combustion through the Measurement of Temperature -Focused on Combustion time and temperature-)

  • 이건목;양유선;이건휘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114-127
    • /
    • 2002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and effect of moxibustion objectively and to be used as the quantitative data for developing the new thermal stimulating treatment by observing the combustion time and temperature of commercial moxaes. Methods : We have selected two types(large-size moxa A(LMA), large-size moxa B (LMB)) among large moxaes used widely in the clinic. We examined combustion times, temperatures in each period during a combustion of moxa. Results : 1. The combustion time in the preheating period was about 30sec in both moxaes on the non-contact heated surface. 2. The combustion time in the heating period was about 345sec in LMA and about 1391 sec in LMB, about 4 times longer in LMB on the non-contact surface. 3. The maximum temperature in the heating period was $44.5^{\circ}C$ in LMA and $45.4^{\circ}C$ in LMB respectively, higher by $0.9^{\circ}C$ in LMB. The average temperature in the heating period was $35.5{\sim}37.6^{\circ}C$ in LMA and $36.0{\sim}39.8^{\circ}C$ in LMB, a little higher in LMB. 4. The combustion time in the retaining period in LMA was 45.4sec and 13% of that in the heating period, and in LMB 594.7sec and 43% of that in the heating period on the non-contact surface. 5. On the point(PH) measured maximum temperature, the average temperature during the retaining period was $44.0^{\circ}C$, $42.9^{\circ}C$ respectively and the temperature at an end of the retaining period was $43.0^{\circ}C$, $40.2^{\circ}C$ respectively. 6. The time at a beginning of the cooling period was about 418 sec from ignition in LMA and 2021sec in LMB, and the temperature at that time was $36.9{\sim}39.1^{\circ}C$ on the non-contact surface. Conclusion : It was thought that not only the figure of moxicombustion device, but also the form and size of moxa had influence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deciding the performance of stimulus seriously.

  • PDF

마이크로파 위성관측과 모델 재분석에서 조사된 전지구에 대한 하부 성층권 온도의 추세 (Global Temperature Trends of Lower Stratosphere Derived from the Microwave Satellite Observations and GCM Reanalyses)

  • 유정문;윤선경;김규명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88-404
    • /
    • 2001
  • 하부 성층권 온도의 추세에 대한 위성관측과 모델 결과들의 상대적인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두 종류의 위성관측 MSU 채널 4(57.95GHz) 밝기온도 자료들과 1981${\sim}$1993년 기간의 두 종류의 대순환 모델(ECMWF and GEOS) 재분석 자료들을 시계열 회귀분석으로 상호 비교하였다. 1980${\sim}$1999년 기간의 위성자료는 이 연구에서 유도된 직하점 MSU4와 여러 주사각에서 유도된 SC4(Spencer and Christy, 1993)이다. 위 기간에 전지구에 대한 MSU 하부 성층권 온도는 화산폭발과 관련된 냉각화 경향(-0.35K/decade)을 보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육지보다 해양에서 1.2배 컸다. 자료들의 공통 기간(1981${\sim}$1993년)에 대한 하부 성층권 온도의 아노말리는 두 종류 관측자료와 GEOS에서 전지구적으로 냉각화 경향(-0.14${\sim}$-0.42K/decade)을 보였으나, ECMWF는 북반구를 제외하고 온난화(0.06K/decade)를 보였다. 온도 연주기는 SC4를 제외하고 다른 세 종류 자료에서 유사한 위상과 함께 현저하였다. 온도 추세에 대한 95%신뢰도 조사에서 MSU 채널 4의 하부 성층권 온도에 대한 신뢰도가 채널 2(53.74GHz)의 중간 대류권 온도보다 더 낮았다. 또한 두 기층 사이의 온도 추세 감율이 북반구 육지에서 가장 컸다. MSU4에 대한 SC4 및 모델 재분석 결과들의 상관은 전지구의 경우에 SC4(r=0.96)에서 가장 높았고, ECMWF(r=0.61)에서 가장 낮았다. 한반도의 경우에는 GEOS에서 가장 높았고(r=0.88), ECMWF에서 가장 낮았다(r=0.73). MSU4에 대한 SC4, ECMWF의 상관은 아열대 제트류가 위치하는 $30^{\circ}$ 위도대에서 낮았으나(r<0.6) 그 외의 지역에서는 대체로 높았다(r>0.6). 한반도 부근에서 하부 성층권 온도의 냉각화 경향은 모든 자료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추세는 SC4(-0.82K/decade)에서 가장 컸으며, MSU4(-0.38K/decade), GEOS(-0.28K/decade), ECMWF(-0.07K/decade) 순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