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gence theory

검색결과 1,278건 처리시간 0.023초

신뢰도를 가진 SNP 단편들과 유전자형으로부터 일배체형 조합 (Haplotype Assembly from Weighted SNP Fragments and Related Genotype Information)

  • 강승호;정인선;최문호;임형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5권11호
    • /
    • pp.509-516
    • /
    • 2008
  • Minimum Letter Flips(MLF) 모델과 Weighted Minimum Letter Flips(WMLF) 모델은 일배체형 조합문제(haplotype assembly problem)를 해결하기 위한 모델들이다. 그러나 MLF 모델이나 WMLF 모델은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단편들에 손실과 오류가 적은 경우에만 효과적이다. 본 논문은 WMLF 모델의 개선을 목적으로 유전자형 정보를 추가한 WMLF/GI 모델과 문제를 제시한다. 새로 제시한 문제가 NP-hard임을 증명하고, 정확성이 높고 효율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유전자 알고리즘을 설계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새로운 모델이 기존의 모델들에 비해 SNP 단편들에 손실과 오류가 많은 경우에도 높은 정확성을 가짐과 유전자형 정보가 유전자 알고리즘의 수렴속도를 크게 개선함을 보인다.

현대영화에 나타난 스토리텔링의 구조적 경향에 관한 연구 -구조영화와 아피찻퐁 위라세타쿤의 영화양식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Structural Aspect of Storytelling in Contemporary Cinema -Focused on the style of Structural Film and Apichatpong Weerasethakul's Film-)

  • 서원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9호
    • /
    • pp.325-333
    • /
    • 2014
  • 현대영화에 나타난 스토리텔링의 구조적 경향을 아피찻퐁의 영화와 구조영화를 통해 비교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구조적 특징과 관련하여 주요하게 논의된 개념은 반환영성인데 이는 1960,70년대 영미권을 중심으로 활동한 구조/물질주의 영화작가들의 형식적 실험에 영향을 받은 측면이 있다. 하지만 구조/물질주의 영화가 영화형식에 대한 극단적인 실험에 중심을 두고 있었다면 아피찻퐁의 영화는 이를 수용하고 넘어선 포스트모던 영화의 미학으로 확장되었다. 아피찻퐁은 주류적 스토리텔링방식을 거부하거나 무시하기 보다는 환영과 비환영의 개념사이에서 균형을 잡는다. 아피찻퐁은 이를 위해 영상과 음향의 외재성과 내재성을 창의적인 방식으로 활용한다. 현대 영화에서 관찰할 수 있는 주류적 스토리텔링 방식이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에서 언급한 방법론들의 현대적 변용에 기초하여 여전히 환영적 디제시스 창조에 관여하고 있는 반면 아피찻퐁은 구조/물질주의 실험영화의 미학적 성과 위에서 스토리텔링 전략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한다.

비대칭 이중대역 전력분배기 (Unequal Dual-band Wilkinson Power Divider)

  • 김병철;이수정;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4호
    • /
    • pp.343-348
    • /
    • 2014
  • 본 논문은 이중 대역에서 높은 분배 비율로 동작하는 비대칭 윌킨슨 전력 분배기의 설계에 대해 이론적인 접근 방법과 제작을 제안하였다. 비대칭 전력 분배기가 이중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T-자형 전송선과 Monzon의 이론식을 이용하여 두 개의 직렬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을 구현하도록 제안하였고, 높은 분배비율을 가지는 분배기에서 높은 임피던스에서는 T-자형구조를 가지는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을 낮은 임피던스에서는 주기적 병렬 오픈 스터브를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이 분배기의 이론적 설계의 검증을 위해, 5:1의 비대칭 듀얼 밴드 전력 분배기를 1GHz와 2GHz에서 시뮬레이션을 하고 측정을 하였다. 이 측정 값 들은 시뮬레이션과 거의 동일함을 보였다.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업무와 비업무간 간섭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ferences Between Work and Nonwork in the Smart Work Context)

  • 오상조;김용영;이희진;이종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4호
    • /
    • pp.213-226
    • /
    • 2014
  • 스마트워크를 통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 수월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면서 업무와 비업무 경계가 더욱 희미해지고 있다. 기존 연구들에서는 업무와 비업무 경계의 모호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로 간섭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업무의 비업무 영역에 대한 일방향적인 간섭을 경계가 모호해 지면서 발생하는 부정적 효과로 보는 경향이 있다. 스마트워크로 인해 업무와 비업무 간의 경계가 더욱 모호해짐으로써 간섭이 쉽게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스마트워크가 지향하는 일하는 방식의 변화를 통한 일과 삶의 균형을 저해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따라서 간섭에 대해 관심을 갖고 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 과정에서 업무의 비업무 영역에 대한 간섭뿐 아니라 반대 방향으로의 간섭에 대해서도 고려하는 양방향적 시각이 전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계이론을 바탕으로 스마트워크 상황에서 간섭에 영향을 주는 선행요인을 파악하고, 스마트워크를 도입하기 위해 준비 중이거나, 이미 추진하고 있는 조직에서 이를 적절히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과업을 제시하였다.

비등방성 복합 적층판의 임계좌굴하중 및 모드의 수치 해석 (Numerical Analyses of Critical Buckling Loads and Modes of Anisotropic Laminated Composite Plates)

  • 이상열;임성순;장석윤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0권3호통권36호
    • /
    • pp.451-461
    • /
    • 1998
  • 1차전단변형 판이론에 의한 비등방성 복합적층판의 임계좌굴하중 및 좌굴모드는 기존의 해석적인 방법으로는 다양한 조건에 대하여 해를 제공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근사해법인 수치해석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수치해석기법으로 기존 상용프로그램에서는 유한요소법이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least upper bound 특성을 가지고 있는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적층판의 좌굴해는 구조적인 안정성을 보장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유한차분법에 의한 좌굴해석을 수행하여 유한요소법과 상호 비교함으로서 각 경우에 관한 두 가지 수치해석기법의 장단점을 규명하고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유한차분법에 의한 좌굴하중 및 좌굴모드는 신소재를 사용하는 적층 구조물의 실용화에 앞서 다양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공공기관의 정보보안 관리 모델 연구 (Study of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Model in Public Institution)

  • 김재경;정윤수;오충식;김재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43-50
    • /
    • 2013
  • 최근 지능화 고도화 되고 있는 사이버위협으로부터 기업의 정보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분야뿐만 아니라 관리적, 환경적 분야 등 전방위적 대응체제를 구축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보안적으로 안전한 망 설계를 위해 물리적 망분리와 논리적 망분리등 보안 망 이론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여 기업 환경에 적합하고 상시적 대응 및 관리가 가능한 정보보호 관리 모델을 제안한다. 특히, 제안 모델은 기존 망에서의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개선사항이 적용된 망을 설계하기 위해서 중앙 관리성을 향상시킨 실시간 보안 대응 능력, 보안 위협 발생 시 선제 탐지 및 능동적 대처, 중요 장비 이중활르 통한 고가용성, 고성능, 고신뢰성 확보, 개별 네트워크의 보안 정책 통합 관리, 개별 네트워크의 망 분리로 보안성 향성 등의 기능을 적용하였다.

A Nonlinear Sliding Mode Controller for IPMSM Drives with an Adaptive Gain Tuning Rule

  • Jung, Jin-Woo;Dang, Dong Quang;Vu, Nga Thi-Thuy;Justo, Jackson John;Do, Ton Duc;Choi, Han Ho;Kim, Tae Heoung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15권3호
    • /
    • pp.753-762
    • /
    • 2015
  • This paper presents a nonlinear sliding mode control (SMC) scheme with a variable damping ratio for 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s (IPMSMs). First, a nonlinear sliding surface whose parameters change continuously with time is designed. Actually, the proposed SMC has the ability to reduce the settling time without an overshoot by giving a low damping ratio at the initial time and a high damping ratio as the output reaches the desired setpoint. At the same time, it enables a fast convergence in finite time and eliminates the singularity problem with the upper bound of an uncertain term, which cannot be measured in practice, by using a simple adaptation law.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a system in the constant torque region, the control system incorporates the maximum torque per ampere (MTPA) algorithm. The stability of the nonlinear sliding surface is guaranteed by Lyapunov stability theory. Moreover, a simple sliding mode observer is used to estimate the load torque and system uncertaintie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nonlinear SMC scheme is verified using comparativ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linear SMC scheme when the speed reference and load torque change under system uncertainties. From these experimental results, the proposed nonlinear SMC method reveals a faster transient response, smaller steady-state speed error, and less sensitivity to system uncertainties than the linear SMC method.

프로슈머로서의 팬덤: 팬덤의 정보행동에 관한 연구 (Fandom as a Prosumer : Study on Information Behavior of Fandom)

  • 이소영;김향미;주경희;서정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747-759
    • /
    • 2013
  • 최근 본 연구는 프로슈머로서의 팬덤이 갖고 있는 동기 및 욕구유형을 내용이론에 기초하여 확인한 후, 이러한 동기가 팬덤 행동, 특히 팬덤 정보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팬덤이 보이고 있는 행동유형을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네트워크에서 다루었던 정보관련 행동 유형 3가지(정보획득, 정보확산, 정보생산)에 적용하였다. 또한 어떠한 개인적 욕구(인정욕구, 소속욕구, 준거집단순응욕구, 독특성욕구, 감각추구욕구)로 인해 팬덤 행동 유형이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팬카페에 회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팬덤이 과거의인식과는 달리 사회적인 욕구에 기초한 하나의 문화이자 시장에서 가치를 창출하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WoS와 SCOPUS에 등재된 국내 발행 학술지의 편집위원회 구성 분석 - 사회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Composition of Editorial Board Members of Domestic Journals Listed in WoS and SCOPUS: Focusing o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 이승민;오동근;여지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39-259
    • /
    • 2020
  • 학술지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고 국제적 이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 가운데 하나로 편집위원회 구성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학 분야의 국내 발행 학술지 가운데 WoS와 SCOPUS에 등재된 학술지를 대상으로 편집위원회(Editorial Board Member: EBM)의 구성을 분석하여 학술지의 국제화를 도모하기 위한 고려사항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과학 분야 학술지의 국제화를 위해서는 이론과 실무의 융합을 도모할 수 있는 EBM의 구성, EBM의 업무 효율화를 위한 지역적 측면의 고려, 영어 기반의 학술 커뮤니케이션 효율화를 고려한 EBM의 구성, 학계와 현장을 연계할 수 있는 연구진의 EBM 참여 등을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GrabCut의 자동 객체 추출을 위한 저주파 영역 탐지 기반의 윈도우 생성 기법 (Window Production Method based on Low-Frequency Detection for Automatic Object Extraction of GrabCut)

  • 유태훈;이강성;이상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8호
    • /
    • pp.211-217
    • /
    • 2012
  • 기존의 GrabCut 알고리즘은 자동 객체 추출이 아닌 사용자가 객체 영역에 사각형 윈도우를 설정해야하는 알고리즘이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 시스템으로 변환하기 위해 인간의 시각 시스템을 기반으로 영상에서 가장 눈에 띄는 영역을 탐지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주의 시각 영역인 Saliency Map을 생성하기 위해서 인간이 색채를 감지하는 '적/녹' '황/청'의 대립색설을 기반으로 하는 Lab 색공간을 이용하여 생성한다. 생성된 Saliency Map을 주파수 공간으로 변환하여 저주파 영역에 국부적인 경계를 나타내고 경계를 탐지해내어 Saliency Point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Saliency Point의 좌표 값을 이용하여 윈도우를 자동으로 생성한 후 GrabCut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객체를 추출하였다. 다양한 영상에 제안한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 객체 영역에 자동으로 윈도우가 생성되었고 객체가 추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