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gence era

검색결과 938건 처리시간 0.032초

IoT 시대 기업 내부 네트워크의 가시성 확보를 위한 단말 식별 시스템 설계 (Device Identification System for Corporate Internal Network Visibility in IoT Era)

  • 이대효;김용권;이동범;김협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1-59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IoT) 시대의 안전한 기업 내부 네트워크 환경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네트워크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단말 식별 시스템을 제안한다. 최근 기업 네트워크의 영역은 점점 더 넓어지고 복잡해지고 있다. 더 이상 데스크톱과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업무용 패드, 바코드스캐너, AP, Video Surveillance, 디지털 도어, 방범장치, 기타 IoT 장비 등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보안위협 역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oT 시대의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프로세스 및 모듈별 기능을 포함하는 단말 식별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기업의 보안 관리자에게 다양한 단말의 정보 및 취약점 등을 제공하여 사내 네트워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사이버 위협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종합적인 위협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뉴 노멀(New Normal) 시대 초등학교 교장의 역할 연구 (A study on the role of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in the New Normal era)

  • 양지혜;박정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85-194
    • /
    • 2021
  • 이 연구는 COVID-19로 인한 학교 교육의 혼란스러운 상태를 파악하고, 국가적 위기에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한 학교장의 역할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부산·대구·대전·제주지역 초등학교 교장 34명을 대상으로 COVID-19에 대처하기 위해 학교장에게 어떤 리더십이 필요한지를 1차 SNS를 통해 개방형 문항으로 설문을 하고, 2차는 전화를 통해 심층 면접을 진행했다. 뉴노멀 시대에 교장의 리더십은 위기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신속한 예산 확보 및 투입, 교원 간 소통 촉진으로 발생할 수 있는 교육활동 지원, 수업 지원, 문제 예방 등에 대한 통찰력 있고, 책임 있는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COVID-19과 같은 위기 상황에서 학교가 안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학교장 역할을 정립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학생의 배움이 일어나는 교육 환경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적, 교육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언택트 시대 줌 기반 영어 수업에서 학습 앱 활용의 효율성 (The Efficacy of Using a Learning-App in a Zoom-Based English Class in the Untact Era)

  • 김혜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71-177
    • /
    • 2021
  • 본 논문의 목적은 줌을 기반으로 학습용 앱 활용이 학습자들의 영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줌 기반의 학습용 앱을 활용한 영어 수업의 효율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줌 기반 수업에서 English Central 앱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양하면서도 학습자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영어 활동을 수행하였다. 줌 기반의 EC 앱 활용 수업의 효율성을 파악하기 위해 1차와 2차 성취도 테스트, 개방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두 차례의 테스트 결과 줌 기반의 EC 앱 활용 수업은 학습자들의 영어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조사결과 학습자들은 줌 기반 수업과 EC 앱 활용에 대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줌 기반 수업에 대한 만족의 이유는 "부족한 수업 내용 보완", "영어 연습", "실시간 소통과 의견 공유" 으로 나타났다. 학습용 앱 활용에 대해 만족하는 이유는 "지루하지 않음", "영어의 4기술 훈련", "즉각적인 피드백"으로 나타났다. 변화된 언택트 시대 교수자들은 변화된 환경에 맞는 변화된 수업 도구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언택트 시대, 간호학과 신입생의 대인관계 능력, 자아존중감이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Untact Era,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Ability, Self-esteem on Communication skills in Nursing Freshman)

  • 정순영;강균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85-94
    • /
    • 2022
  • 본 연구는 언택트 시대의 간호학과 신입생의 대인관계와 자아존중감이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W시에 소재한 일 개 대학 간호학과 1학년 336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20년 05월 11일에서 2020년 05월 21일까지였고, 수집된 자료는 t-test,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대인관계 능력은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능력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아존중감과 의사소통 능력도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대인관계 하부요인은 의사소통, 이해성, 개방성, 민감성, 만족감으로 나타났다. 언택트 시대에 간호학과에 입학한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대인관계 능력과 자아존중감을 활용하여 의사소통 능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중재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New Distribution Strategies of Korean SMEs in Post COVID-19 Pandemic Era: Focusing on the Innovation of Official Distribution Channels

  • Lee, Min-Jae;Jung, Jin-Sup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5권3호
    • /
    • pp.153-168
    • /
    • 2021
  • Purpose - In this study, we aim to explore new distribution strategies for sustainable growth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ing on SME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Korea, and suggest ways to upgrade the government's official distribution channel to the next level. Design/methodology - First of all, this paper explored the prior research, the current status of sales support for SMEs, and the changes in the distribution industry due to COVID-19 pandemic. Based on Moon (2016)'s ABCD strategic model - Agility, Benchmarking, Convergence, and Dedication, the study then derived directions in which official distribution channels should move and the new distribution strategy for Korean SMEs to secure competitive advantage. Findings - First, in terms of 'Agility', in order to upgrade official distribution channels, which are currently at some competitive disadvantages compared to private distribution companies, we must quickly introduce technologie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uch as AI, Big Data, etc., and establish precise strategies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SMEs. Second, in terms of 'Benchmarking', the use of "Chamelezones" has been increasing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offline stores in line with recent ontact trends. Therefore, official distribution channels should also benchmark such cases, strengthening their competitiveness by utilizing offline spaces mor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Third, in terms of 'Convergence', in line with the rapidly changing trend of the times, official distribution channels should also promote active partnerships with media commerce, e-commerce and ICT platforms, as well as cooperation with private retailers, and focus on creating synergy effects through them. Finally, from the perspective of 'Dedication', digitalization should be promoted step by step, finding the sector that can accelerate digital among the value chains of official distribution channels, and continuing to discuss how to digitize it realistically. Originality/value - Based on this analysis, we have presented strategies and implications for innovating official distribution channels for SMEs, which will contribute to enhancing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official distribution channels in the post COVID-19 pandemic era.

웹 3.0시대의 주얼리 산업에서의 NFT 현황 분석 (A Situation Analysis of NFT on the Jewelry Industry in Web 3.0 Era)

  • 강혜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439-445
    • /
    • 2022
  • 본 연구는 웹 3.0시대의 NFT가 촉발하는 사회적 현상을 중심으로 주얼리 산업에 관련된 사례들을 분석하고, 주얼리 산업에 적용 가능한 방향성을 찾아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NFT의 개념과 정의, 그리고 특성을 분석하여 NFT 현황의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NFT의 투명성, 영원성, 유일성의 세 가지 특성들은 연구를 통해 분석된 현황들의 전략 속에 내포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 NFT의 주요 고객층인 MZ세대의 소비성향 분석이 중요하며, 웹 3.0시대에 필요한 디지털 어질리티(digital agility)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메타버스와 NFT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주얼리 산업체에 있어서 융합형 보완 연구를 통해 실질적으로 국내 주얼리 브랜드들의 경쟁력 강화에 조력하고자 한다.

과학 기술 시대 평생교육 방향 탐색 (Exploring Direction of Lifelong Education in Age of Science and Technology)

  • 윤옥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65-73
    • /
    • 2023
  • 과학 기술 시대 평생교육은 국가의 교육정책의 한 방편으로 도입되면서 공적 지원이 어느 때 보다 확대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기술 시대에서의 평생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과학 기술 시대 평생교육의 방향성을 결정하는데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주로 과학 기술 시대에 초점을 맞춘 방향성을 제시하면 첫째, 직업교육으로서 평생교육이 필요하며, 둘째, 디지털 심화 교육으로 평생교육이 필요하며. 셋째, 생태전환 관점에서 평생교육이 필요하다. 과학 기술 시대 평생교육의 방향은 이러한 세 가지 관점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어떻게 평생교육이 구체적으로 이바지할 것인가에 대한 후속 논의가 있기를 기대한다.

융복합 시대에서 지속가능경영활동이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Corporate Sustainable Management Activities on Innovation in Convergence era)

  • 윤재창;이욱기;김동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115-125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 시대에서 지속가능경영활동(사회적 활동, 경제적 활동, 환경적 활동)과 혁신성(관리혁신, 기술혁신)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영역에서 시행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지속가능 경영활동과 혁신성간의 관계에 대한 모형을 구성하고 기업에 근무하는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의 검정은 기술적 분석, 신뢰성 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여 실시되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지속가능경영활동의 세 가지 측면 모두 혁신성에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지속가능경영활동의 각 활동들이 적절하게 수행된다면 혁신성을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행적인 측면에서 기업의 혁신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기업 구성원들이 지속가능경영활동을 잘 이해할 수 있는 교육이나 실행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기업은 지속가능경영활동과 혁신성의 적절한 조화를 이루어 수행해 나감에 따라 지속가능한 기업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nalysis of Covid-19, Tourism, Stress Keywords Using Social Network Big Data_Semantic Network Analysis

  • Yun, Su-Hyun;Moon, Seok-Jae;Ryu, Ki-H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204-210
    • /
    • 2022
  • From the 1970s to the present, the number of new infectious diseases such as SARS, Ebola virus, and MERS has steadily increased. The new infectious disease, COVID-19, which began in Wuhan, Hubei Province, China, has pushed the world into a pandemic era. As a result, Countries imposed restrictions on entry to foreign countries due to concerns over the spread of COVID-19, which led to a decrease in the movement of tourists. Due to the restriction of travel, keywords such as "Corona blue" have soared and depression has increas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ess meaning network of the COVID-19 era to derive keywords and come up with a plan for a travel-related platform of the Post-COVID 19 era.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of travel and stress caused by COVID-19 using TEXTOM, a big data analysis tool, and conducted semantic network analysis using UCINET6. We also conducted a CONCOR analysis to classify keywords for clustering of words with similarities. However, since we have collected travel and stress-oriented data from the start to the present, we need to increase the number of analysis data and analyze more data in the future.

포스트 코로나 시대 안양시 도서관의 온라인 미디어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Online Media Usage Strategies of Anyang Municipal Library for the Post-Covid-19 Era)

  • 송민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499-512
    • /
    • 2022
  •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해 안양시 공공도서관이 온라인 미디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21년 전국 도서관 운영 평가에서 정부 포상을 받은 우수 도서관 5곳의 운영 사례를 분석해 주요 시사점들을 정리하고, 분석 내용들을 바탕으로 안양시 도서관이 온라인 미디어를 활용해 도서관 운영을 활성화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성과들을 바탕으로 우수 도서관으로 선정된 도서관들의 실제 사례를 토대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해 안양시 도서관의 온라인 미디어 활용 전략을 정리해 제안한 실증적이고 경험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