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ntional natural gas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3초

Combustion Instability Mechanism of a Lean Premixed Gas Turbine Combustor

  • Seo, Seonghyeon
    •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7권6호
    • /
    • pp.906-913
    • /
    • 2003
  • Lean premixed combustion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promising solutions for the reduction of NOx emissions from gas turbines. However, unstable combustion of lean premixed flow becomes a real challenge on the way to design a reliable, highly efficient dry low NOx gas turbine combustor. Contrary to a conventional diffusion type combustion system, characteristics of premixed combustion significantly depend on a premixing degree of combusting flow. Combustion behavior in terms of stability has been studied in a model gas turbine combustor burning natural gas and air. Incompleteness of premixing is identified as significant perturbation source for inducing unstable combustion. Application of a simple convection time lag theory can only predict instability modes but cannot determine whether instability occurs or not. Low frequency perturbations are observed at the onset of instability and believed to initiate the coupling between heat release rate and pressure fluctuations.

제올라이트 수지 및 ZnO, AgMnO3 등의 무기흡착제를 이용한 반도체 공정에서 사용되는 염산가스의 처리 및 측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Treatment of Hydrogen Chloride Gas used in Semiconductor Process by using Gas Adsorption Agents such as Zeolite Resins, ZnO, and AgMnO3)

  • 박정준;임흥빈;황청수
    • 분석과학
    • /
    • 제16권3호
    • /
    • pp.218-225
    • /
    • 2003
  • 반도체 공정에서는 많은 종류의 가스를 사용하는데 그들 중 염산 가스는 독성으로 인해 많은 환경오염 문제들을 야기 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염산 가스를 기존의 제거 방식이 아닌 제올라이트수지 등의 흡착제들을 이용한 제거 방법 및 측정을 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 장치는 실험조건을 고려하여 직접 설계 및 제작을 하였다. 그리고 각종 수지를 이용한 흡착제거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제올라이트 A, $Ag^+$ 이온으로 치환된 AgA 제올라이트, ZnO, $AgMnO_3$ 등의 수지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가스의 분석은 적외선 분광기 (FT-IR)를 이용하여 정성 및 정량분석을 하여 각 각의 수지에 의한 염산 가스의 제거량을 계산함으로써 각 수지의 제거 효율을 확인, 비교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수지들 중에서 ZnO 가 수지 1 g에 대해 0.067 g 의 HCl 가스를 제거하는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LNG-FPSO에의 적용을 위한 Hamworthy Mark I Cycle의 최적 운전 조건 결정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Operating Condition of the Hamworthy Mark I Cycle for LNG-FPSO)

  • 차주환;이준채;노명일;이규열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47권5호
    • /
    • pp.733-742
    • /
    • 2010
  • In this study, optimization was performed to improve the conventional liquefaction process of offshore plants, such as a LNG-FPSO(Liquefied Natural Gas-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unit) by maximizing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process. The major equipments of the liquefaction process are compressors, expanders, and heat exchangers. These are connected by stream which has some thermodynamic properties, such as the temperature, pressure, enthalpy or specific volume, and entropy. For this, a process design problem for the liquefaction process of offshore plants was mathematically formulated as an optimization problem. The minimization of the total energy requirement of the liquefaction process was used as an objective function. Governing equations and other equations derived from thermodynamic laws acted as constraints. To solve this problem, the sequential quadratic programming(SQP) method was used. To evaluate the proposed method in this study, it was applied to the natural gas liquefaction process of the LNG-FPSO. The result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could present the improved liquefaction process minimizing the total energy requirement as compared to conventional process.

치밀가스 저류층의 이해와 탐사개발 (Understanding, Exploration, and Development of Tight Gas Reservoirs)

  • 손병국
    • 한국석유지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6-44
    • /
    • 2008
  • 비재래형 탄화수소 자원의 하나인 치밀저류층 내의 천연가스는 중요한 탐사개발 대상이 되고 있다. 치밀가스 저류층은 가스를 배태하고 있는 저류암으로서 투수율이 0.1 md 미만인 저류층을 말한다. 치밀가스 저류층은 광범위하게 두꺼운 층으로 산출되며, 재래형의 가스 집적체와는 달리 과대압력이나 저압력의 비정상적인 압력상태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재래형 가스가 구조트랩이나 층서트랩에서 산출되는 것에 비하여 치밀가스는 이들 트랩들과는 무관하게 산출되고 있다. 치밀저류층에서 가스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수압파쇄(hydraulic fracturing)와 같은 인공 자극법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치밀가스 저류층의 최적 생산지역을 스위트 스폿이라고 하며,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질학적 자연균열 상태를 이해하여야 한다. 친환경 연료자원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치밀가스는 탐사기술과 회수방법이 발전함에 따라서 상업적으로 생산되고 있다. 자연균열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수평시추나 경사시추를 수행할 때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실제로 미국과 캐나다 등에서는 치밀저류층에서 많은 양의 가스를 생산하고 있으며, 생산량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특히, 미국의 치밀사암층에서 생산되는 가스의 경우 1990년에 미국의 총 가스 생산량의 11.1%를 차지하였지만 2005년에는 총 가스 생산량의 24.1%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 대륙붕에서도 치밀가스의 존재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재래형 가스자원의 탐사 및 개발의 파라다임을 완전히 바꾸는 것이 필요하다.

  • PDF

수소생산 공정에서의 이산화탄소 포집 (CO2 Capture from the Hydrogen Production Processes)

  • 홍연기
    • 융복합기술연구소 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9-23
    • /
    • 2022
  • Interest in hydrogen production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is increasing. Until now, hydrogen has been mainly produced through the SMR (Steam Methane Reforming) process using natural gas. A large amount of CO2 is emitted in the hydrogen production process through SMR, and the gas flow including CO2 generated in the SMR process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or each emission source, so it is important to apply a suitable CO2 capture process. In the case of PSA tail gas or synthesis gas, the applicability of an amine-based process has been confirmed or demonstrated close to a commercial level. However, in the case of the flue gas generated from the reformer, it is still difficult to apply the conventional amine-based process because the partial pressure of CO2 is relatively low. Energy-saving innovative absorbents such as phase separation absorbents can be a solution to these difficulties.

LNG 냉열 에너지의 지역 냉방 시스템에 관한 기반 연구 (A Basic Study on the District Cooling System of LNG Cold Thermal Energy)

  • 김청균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6-43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LNG 냉열 에너지를 활용한 지역 냉방 시스템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액상의 LNG는 기상의 가스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많은 냉열 에너지를 발생한다. 최근에 빙축열을 이용한 건물의 냉방 시스템 구축과 심층수를 이용한 지역 냉방 시스템이 도심지의 기존 사무실 건물이나 대규모 건물의 냉방장치로 도입되고 있는 상황이다. LNG의 냉열 에너지는 기존의 냉매에 의존한 개별 냉방 시스템을 대체하는 새로운 냉열 에너지 공정으로 쾌적한 공간을 제공하는 천연의 대규모 냉각매체로 재사용될 수 있다. 버려지는 냉열 에너지는 낮은 코스트로 운영될 수 있는 중요한 청정 에너지원이기 때문에 냉방 시스템으로 개발되면, 기존의 에어콘 시스템에 견주어 볼 때 공기중에 유해한 오염원의 발생과 환경적으로 유해한 냉매 방출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 우수한 냉방 시스템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냉열 에너지를 활용한 지역 냉방 시스템에 대한 환경 친화적 기본적 설계 개념, 여러 가지 냉방 시스템 성능에 대한 유익한 기반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대용량 CO2 감축을 위한 CCS 연계 SNGCC의 경제성 및 환경성에 대한 연구(NETL 보고서를 중심으로) (Economical and Environmental Study on SNG Combined Cycle Integrated with CCS for Large-Scale Reduction of CO2 (Based on NETL Report))

  • 서동균;권원순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499-506
    • /
    • 2015
  • Recently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its decision to select the $3^{rd}$ proposal, which targets reducing $CO_2$ by 37% of the BAU level by 2030, for the Intend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INDC). According to this proposal, natural gas (or equivalent gas) combined cycle (NGCC) are suggested as alternatives for conventional pulverized coal (PC).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nvironmental, economic, and energy mixing aspects of synthetic natural gas combined cycle(SNGCC) using NETL material (2011~2012 version) and other domestic materials (2014 version). We foun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Considering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integration, $CO_2$ emission factors of SNGCC and supercritical PC are the same. However, 60% of $CO_2$ from SNGCC is produced as high pressure and high purity (99%) gas, making it highly suitable for CCS, which is now strongly supported by the government. 2) Based on the economic analysis for SNGCC using domestic materials and comparison with NGCC, it was found that the settlement price of SNGCC was 30% lower than that of NGCC.

Investigation of Essential Oils and Synthetic Fragrances Using the Dynamic Gas Discharge Visualization Technique

  • Vainshelboim, A.;Matravers, P.;Hayes, M.;Momoh, K.S.;Krizhanovsky, E.;Korotkov, K.;Shaath, N.;Giacomoni, P.;Rein, G.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
    • /
    • pp.431-439
    • /
    • 2003
  • The problem of detecting individual differences of chemically similar liquids remains to be unsolved for various areas of the natural sciences, such as medicine, biology, nutrition, and cosmetics 1. This problem is of crucial importance for the cosmetic sciences, including perfumery and aromatherapy. For example, some certain subtle differences of smell and taste between chemically similar liquids are very difficult to detect by using conventional methods of analysis, such as gas chromatography (GC) and the like (except under unique advanced techniques that are expensive, time consuming, and are not readily available). However, a trained human nose and! or mouth of a perfumer and/ or taster can detect differences of that kind. There are two conventional ways to make a fragrance.(omitted)

  • PDF

갈대(Phragmites australls)수초를 적용한 바이오필터에서의 하수처리시설 악취저감기술 (Odor Reduction Technology in Sewage Treatment Facility Using Biofilter with Reed Grass(Phragmites australls))

  • 정진도;김규열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73-382
    • /
    • 2013
  • In this study, a biological odor treatment system was proposed to remove odor(foul smell) materials causing several problems in the closed sewage treatment plant. This odor treatment system was composed of a two-step biofilter system in one reactor. The two-step biofilter reactor was constructed with natural purification layer in upper part and artificial purification layer in lower part. The reed grasses of water purification plants were planted in the surface area and mixed porous ceramic media were filled with the lower part of biofilter reactor. By using the above experimental apparatus, the ammonia gas removal efficiency was attained to 98.3 % and the hydrogen sulfide gas removal efficiency was appeared more than 97.7 % which shows more effective than the conventional odor removal process.

라만분석기를 이용한 LNG 품질 분석 실증 연구 (A Study on LNG Quality Analysis using a Raman Analyzer)

  • 이강진;주우성;고유진;모용기;이승호;김용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2권1호
    • /
    • pp.70-79
    • /
    • 2024
  • 라만분석기는 분자가 가지는 고유 진동에 빛을 조사하여 발생하는 빛의 산란이 생기는 "라만효과"를 이용하여 분자 구분과 성분 분석을 할 수 있는 분석기로, 천연가스 산업에서도 LNG(액화천연가스) 수출 및 수입 기지 외에 벙커링 및 탱크로리 분야에서도 폭 넓게 사용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현장 조건하에서, LNG 성분 분석 및 주요 물성(발열량, 기준밀도 등)을 산출하기 위해 LNG 수입기지에 라만분석기를 설치, 운영하였으며, 측정된 LNG 성분 및 발열량을 기존 검증되어 운영 중인 가스분석기에 의해 분석된 성분 및 발열량과 비교하였다. 시험 결과 라만분석기는 매우 빠르고 안정되게 LNG 성분 및 발열량을 측정하였으며, LNG 거래의 기준이 되는 발열량을 기존 가스분석기 결과값과 비교시에도 적정 오차 기준 내에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측정 결과는 관련 표준(ASTM D7940-14)의 정확도 기준을 만족하였고, 국외 대규모 실증 사례와의 비교 시에도 유사한 결과를 산출하였다.